angio(혈관) 질환 스텐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stent

2. TACE

3. TFCA

4. PTBD

5. TIPS

6. Perm Cath

7. PCN

8. CTAP

본문내용

입(8mm 정도 확장)
5. Stent Insertion ( Wallstent 삽입 후 필요에 따라 balloon한다.)
6.varix embolization. varix가 남아 있어도 색전시키지 않으나 active bleeding시 에탄올이나 코일로 색전시킨다.
6. Perm Cath
Perm Cath는 silicone로 만들어져 유연하므로 심장 박동에 관계없이 혈관 벽을 자극하지 않아 혈관 협착 등을 일으키지 않는다. 복막 카테터와 같이 출구 쪽에 cuff를 가지고 있고 피하에 tunnel을 만들게 되어 있어 내경 정맥이나 쇄골하 정맥을 통해서 삽관하면 장기간에 걸쳐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수개월간은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혈액투석을 시작한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수술한 동정맥루가 성숙되기를 기다리는 동안 사용할 수 있고, 또 혈관 수술을 시행하기에는 미숙한 혈관을 갖고 있는 환자에서 일시적으로 사용하면서 혈관 수술을 준비할 수도 있다. cuffed catheter를 삽관하기 위해서는 fluroscopy 하에서 시행해야 한다. 도관의 끝이 정확하게 우심방에 위치하게 되면 시행 초기에 400ml/min 정도의 혈류를 얻을 수 있으나 시행 후 시간이 지날수록 내강에 섬유소등이 침착되어 혈류가 떨어진다. 그 외에도 혈전 형성이나 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7. PCN : Percutaneous nephrostomy(경피적 신루설치술)
요로폐쇄 시 소변배출을 위해 인위적으로 길을 만드는 방법.
8. CTAP
정상 간 조직은 주로 간문맥으로부터 혈액공급을 받고 간세포암이나 전이성암 등의 간 종양은 간동맥으로부터 혈액공급을 받는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문맥시기에 CT 촬영을 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조영되는 간 조직 내에 간문맥의 공급을 받지 않는 간 종양은 조영결손으로 CT 영상에서 나타나게 함으로써 종양을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한 것이 CT 문맥조영술의 원리이다.
CTAP는 상장간막동맥이나 비장동맥에 선택적으로 카테타를 삽입한 후 조영제를 주입하여 조영제가 비장이나 장관을 통한 후 비장정맥과 상장간막정맥을 통하여 문맥이 조영되는 시기에 CT 영상을 얻는 방법이 있다.
정상 간에 공급되는 혈류 중 소화기관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는 Portal vein이 산소공급이 많은 Hepatic artery보다 비율이 높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CTHA는 Hepatic artery를 선택하여 검사하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9.12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