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경제협력][동북아시아경제협력]국가간 경제협력의 동향, 동북아경제협력(동북아시아경제협력)의 필요성, 동북아경제협력(동북아시아경제협력)의 조건과 가능성, 동북아경제협력(동북아시아경제협력)의 추진 과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북아경제협력][동북아시아경제협력]국가간 경제협력의 동향, 동북아경제협력(동북아시아경제협력)의 필요성, 동북아경제협력(동북아시아경제협력)의 조건과 가능성, 동북아경제협력(동북아시아경제협력)의 추진 과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가간 경제협력의 동향
1. 유럽지역
2. 북미지역
3. 아시아지역

Ⅲ. 동북아경제협력(동북아시아경제협력)의 필요성

Ⅳ. 동북아경제협력(동북아시아경제협력)의 조건과 가능성

Ⅴ. 동북아경제협력(동북아시아경제협력)의 추진 과제
1. 경제공동체 건설 지향
2. 한·중·일 FTA 추진 가능성
1) 추진 전망
2) 관련국의 입장
3. 동북아 에너지 협력체 구성 추진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존도를 분산시키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즉, 일본은 석유에너지 공급원 확보를 위하여 사할린 석유·가스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 중이다. 아울러 바이칼호 서쪽 앙가르스크(Angarsk) 유전의 석유를 수송하는 동부시베리아 송유관 건설 루트를 둘러싸고 중국과 경쟁 중인데, 일본이 희망하는 앙가르스크-나홋트카 노선이 중국이 희망하는 앙가르스크-다칭(Daquing) 노선보다 유력시되고 있으나 러시아측은 일·중 양국의 요청을 감안, 러·중 국경을 따라 건설되는 앙가르스크-나홋트카 노선을 간선으로 하고 적절한 지점에서 중국의 다칭으로 지선을 연결하는 선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또한 일본은 ASEAN+3 등에서 에너지 분야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이니셔티브를 강화하는 등 동아시아 에너지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입장은 동북아 지역이 풍부한 에너지 부존 국가와 에너지 다소비 국가로 복합 구성되어 있어 에너지협력의 가능성과 이익이 많은 지역이며 중국 등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에너지수요 급증은 향후 역내 에너지안보를 위협하는 요소로 지적되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역내 국가들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동북아 에너지 협력이 ASEAN+3 에너지 협력과 연계 추진될 경우에는 향후 아시아 전체 지역의 에너지 협력 및 안보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향후 지역 에너지협력과 관련된 중·단기 목표는 역내국가간 공동협력사업 발굴과 협력의 구체화이며, 장기 목표는 동북아 에너지협력체 구성이다. 즉, 공동연구 수행을 위한 연구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동북아 에너지실무협의회(SOM)를 장관급 회의로의 격상을 추진하며, 2015년을 목표로 동북아 에너지협력체 구성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Ⅵ. 결론
다자무역자유화 논의와 더불어 지역경제통합 노력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즉, FTAA, EU-MERCOSUR FTA, 동아시아 경제협력체 등 거대규모의 경제블록이 등장할 전망이다. 특히 중국, 일본, ASEAN 국가간 FTA 체결은 물론 금융, 물류, 에너지 등 부문에서의 역내협력이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통화스왑 체결 확대에 따라 궁극적으로 AMF(아시아통화기금) 설립 논의도 구체화될 전망이다. 우리는 세계화, 지역경제통합이 동시에 심화되는 추세 속에서 미주에서의 FTAA 출범, 확대 EU 등 거대 경제블록에 대응하고 역내 FTA, 금융협력, 에너지협력 등 다차원적인 협력의 프레임워크 구축을 추진하여 동아시아 지역협력을 심화시키는 이니셔티브를 주도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향후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경제가 급성장하고 이들 국가의 영향력이 확대될 전망임에 비추어 이들과의 에너지협력, 개발협력, 시장확대 등 다면적인 접근모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중국은 인접국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경제라는 점을 고려, 중장기적으로 상호보완적인 경제협력체제를 구축해 나가는 것이 긴요하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고일동 외 - 한·중·일 추진방향과 주요 부문별 과제, 한국개발연구원, 월간 KIEP 세계 경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권두칼럼(자유 무역 협정(FTA) 접근의 문제)
권영민(2002) - 동북아 지역경제권의 형성과 기업간 협력방안, 한국경제연구원
민족통일연구원(1992) - 동북아 경제협력의 발전방향
오용석(1996) - 동북아 경제협력의 물결 모형, 북방경제연구, 제7권 : pp,27-47,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양기웅 - 동아시아 협력의 역사, 이론, 전략, 소화
정인교(1999) - 동북아 경제협력: 관세, 통상 등 지역경제협력,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진창수(2002) - 동북아시아에서의 경제협력의 정치경제, 성남: 세종연구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7.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6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