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기술재전환
3. 자본역전
4. 기술재전환과 자본역전이 갖는 의의
2. 기술재전환
3. 자본역전
4. 기술재전환과 자본역전이 갖는 의의
본문내용
자본수요함수가 도출된다. 그러나 기술재전환과 자본역전 현상이 나타날 경우 이러한 우하향하는 자본수요함수가 반드시 보장되지 않는다. 자본역전, 기술재전환 현상이 나타나 이자율(이윤율)이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일인당 자본가치가 상승할 경우, 이 구간에서는 우상향하는 자본수요함수가 나타나게 되며 신고전파 입장의 자본과 노동 간의 대체에 대한 부정이다.
3) 균형의 안정성 - 경쟁원칙
바로 앞에서 보았듯이 자본수요함수가 우상향할 경우 자본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의 균형이 불안정하다. 이러한 균형의 불안전성은 신고전파의 입장에서 경쟁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자본수요함수가 우상향할 경우, 실제 이자율(이윤율)이 균형이자율(r*)보다 높으면 자본에 대한 수요량이 더 증가하게 되어 이자율은 균형이자율에서 더욱 멀어진다. 또한 실제 이자율이 균형이자율보다 낮은 경우 자본에 대한 수요량은 더 감소하여 역시 이자율은 균형이자율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런 경우는 신고전파의 한계주의 입장에서는 설명되지 못하는 면이다. 즉, 경쟁이 균형을 파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은 이자율과 자본의 관계뿐만 아니라 임금률과 노동의 관계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자율 자본공급
자본수요
r*
자본량
0
기술재전환과 자본역전은 앞서 말한 희소성의 척도로써 가격의 의미와 우하향하는 생산요소수요곡선의 유효성, 경쟁에 의한 균형의 안정성에 반론의 제기하여 신고전파의 한계주의 입장을 흔들었다. 자본논쟁의 결과 신고전파의 한계주의 접근법의 기본 개념인 한계생산력설은 부정되었고, 이에 대해 신고전파는 한계생산력설은 하나의 비유라는 궁색한 답변만을 내놓았을 뿐이다. 자본논쟁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스라파는 주류경제학자들에게 인정받지 못하였지만 신고전파의 한계주의 접근법에 대해 재고할 기회를 주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기능을 한다.
- 참고문헌 -
Sraffa, Piero, 「商品에 의한 商品生産」, 비봉출판사, 1986
박만섭, 「경제학, 더 넓은 지평을 향하여: 신고전파에 대한 12대안」, 이슈투데이, 2005
박만섭, “지킬박사와 하이드씨: 스라피안이 읽는 신고전파의 자본이해”, [경제학의 역사와 사상], 1999, vol.2
조원희, “비용함수에 의한 자본논쟁의 재정식화와 장기균형 개념의 재검토”, [경제학의 역사와 사상], 1998, vol.1
류순, “균제상태로의 수렴문제에 대해 자본논쟁이 갖는 함의”, 고려대 대학원, 2002
3) 균형의 안정성 - 경쟁원칙
바로 앞에서 보았듯이 자본수요함수가 우상향할 경우 자본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의 균형이 불안정하다. 이러한 균형의 불안전성은 신고전파의 입장에서 경쟁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자본수요함수가 우상향할 경우, 실제 이자율(이윤율)이 균형이자율(r*)보다 높으면 자본에 대한 수요량이 더 증가하게 되어 이자율은 균형이자율에서 더욱 멀어진다. 또한 실제 이자율이 균형이자율보다 낮은 경우 자본에 대한 수요량은 더 감소하여 역시 이자율은 균형이자율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런 경우는 신고전파의 한계주의 입장에서는 설명되지 못하는 면이다. 즉, 경쟁이 균형을 파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은 이자율과 자본의 관계뿐만 아니라 임금률과 노동의 관계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자율 자본공급
자본수요
r*
자본량
0
기술재전환과 자본역전은 앞서 말한 희소성의 척도로써 가격의 의미와 우하향하는 생산요소수요곡선의 유효성, 경쟁에 의한 균형의 안정성에 반론의 제기하여 신고전파의 한계주의 입장을 흔들었다. 자본논쟁의 결과 신고전파의 한계주의 접근법의 기본 개념인 한계생산력설은 부정되었고, 이에 대해 신고전파는 한계생산력설은 하나의 비유라는 궁색한 답변만을 내놓았을 뿐이다. 자본논쟁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스라파는 주류경제학자들에게 인정받지 못하였지만 신고전파의 한계주의 접근법에 대해 재고할 기회를 주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기능을 한다.
- 참고문헌 -
Sraffa, Piero, 「商品에 의한 商品生産」, 비봉출판사, 1986
박만섭, 「경제학, 더 넓은 지평을 향하여: 신고전파에 대한 12대안」, 이슈투데이, 2005
박만섭, “지킬박사와 하이드씨: 스라피안이 읽는 신고전파의 자본이해”, [경제학의 역사와 사상], 1999, vol.2
조원희, “비용함수에 의한 자본논쟁의 재정식화와 장기균형 개념의 재검토”, [경제학의 역사와 사상], 1998, vol.1
류순, “균제상태로의 수렴문제에 대해 자본논쟁이 갖는 함의”, 고려대 대학원, 2002
추천자료
평생교육게론
3M의 핵심가치와 경영관리상의 특성
[농구]농구 경기규칙 및 경기기술
18세기 독일 문학 예술이론의 근본동기로서의 감성의 계몽 - 미의 감성론과 숭고의 감성론을...
(방송대)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의 원인과 대책
미디어 기업 간의 수직적․수평적 결합의 필요성
부모교육이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와부모교육 활성화 방안
우리나라 여가문화의 역사
문화와 문명에 대해 논하시오
해외 청소년교육 개관 및 사례 (일본, 핀란드, 미국, 영국)
위기개입 모델 기원, 발달과 적용 및 주요개념
환경기후학 - 지구의 기후온난화의 피해, 실태와 해결방안
[교육과 현대사회 독후감 및 바판적 견해] 『과연 그럴까?』 -「교육개혁을 디자인(Design)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