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연변이의 발생 원인과 예를 통한 분석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돌연변이의 발생 원인과 예를 통한 분석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2. 본론 1

2.1 돌연변이의 역사 1

2.2 돌연변이의 원인 2
2.2.1 염색체 돌연변이 2
2.2.2 유전자 돌연변이 3

2.3 돌연변이의 연구 종류와 장단점 4
2.3.1 GMO(유전자조작농산물) 4
2.3.2 LMO(liv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유전자 변형 유기[생명]체 6
2.3.3 유전자변형작물 재배 현황 10

2.4 돌연변이 사회적 논란 10
2.4.1 사회에 미치는 영향 10
2.4.2 유전자 변형 설문조사 결과 11

3. 결론 11

4. 참고문헌 및 싸이트 11

본문내용

번째, 생태계 유전자 오염이라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유전자 변형을 하게 되면 다음 자손이 어떤 종이 나오게 될지 모른다는 단점이 있다.
세 번째 환경파괴 라는 문제점이 있다. 제초제 내성 식물을 심어서, 지속적으로 제초제를 뿌리게 된다면, 잡초는 그 제초제에 대해서 내성이 생긴다. 때문에 더 많은 제초제를 뿌리게 되고, 더 강한 제초제를 뿌리게 된다. 그리고 잡초는 그 당시에는 죽겠지만 점점 시간이 지날수록 강한 내성을 가지게 된다.
(3) 유전자 변형 논란사례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유전자 변형이 많은 논란 대상이 되어 오고 있는데, 먼저 안정성에 관한 논란사례로, 지금 정부와 GMO를 개발. 판매하는 다국적 기업 등은 유통되는 유전자변형 식품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외 시민단체들은 100% 안전한지 확인되지 않았으며 실제로 GMO 유해성도 여러 차례 보고가 됐다며 정부의 주장을 반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수입논란이 일어나고 있는데 식품업계가 수입하는 유전자변형 옥수수 5만여 톤이 최근 수입됨에 따라 유전자변형 안전성과 표시 제도를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으며, 지금까지 국내 식품업체들은 거부감 때문에 조금 비싸더라도 비(非)유전자변형 원료를 수입해 왔으나 하지만 최근 유전자변형 옥수수를 수입이 시작되면서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표시제한 논란이 있는데 소비자의 알 권리 충족을 위해 식용유, 간장, 전분당 등에도 GMO 표시를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게 일고 있다. 하지만 가공식품의 GMO 표시 제도를 관장하는 식약청은 제품의 분석결과를 근거로 GMO 표시를 하면 오히려 소비자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입장으로 식양청과 소비자들의 의견 대립이 일어나고 있다.
2.4.2 유전자 변형 설문조사 결과
(1) 유전자변형 식품이 불안한가
일반인 200명 대상, 한국소비자 연맹에서 실시한 결과, 200명중 75%가 불안하다. 14%가 그저 그렇다 불안하지 않다가 11%로 불안하다는 의견이 대다수로 나왔다.
(2) 유전자 변형 식품이 불안한 이유
일반인 200명 대상, 한국소비자 연맹에서 실시한 결과, 안정성 미확인 28%, 안전과 정보판단이 어렵다 23%, 생각지 못한 악영향 22%, 자손에게 영향이 미칠까 걱정된다가 12%으로 안정성에 관한 이유가 가장 많이 나왔다.
3. 결론
지금까지는 식량증산을 위하여 경지면적을 확대하고,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며 통일벼와 같은 다수확 품종을 재배하는 방법 등을 이용해왔다.
그러나 이용할 수 있는 농지면적은 한정되어 있으며, 화학비료나 농약 사용은 잔류농약 등에 의한 안전성문제도 있어 이러한 방법에 의한 식량수급은 불균형이 심화될 전망이다.
반면에 인간의 수명 연장과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노력의 대가로 세계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인구증가와 함께 가속화된 산업화로 말미암아 경지 면적은 줄고 농업 환경은 더욱 피폐해지고 있다. 날로 열악해지는 농업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환경 친화적이며 높은 생산성을 약속할 수 있는 대체 기술의 개발이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식품기호에 대한 욕구도 증가하여, 식량자원의 품종개량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증가했다.
이에 새로운 품종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유용유전자를 이식시켜 농업적 특성을 개선한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이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사용해야 할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부작용이 일어날 부분을 완전히 과학적으로 해결하고 증명하여 앞으로 우리가 필요로 하는 부분에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여 의학적으로 부족한 부분과 식량난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및 싸이트
[1] 바이오안정성 포탈 (http://www.biosafety.or.kr) [2] 농식품안전정보서비스 (http://www.agros.go.kr) [3]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http://www.naqs.go.kr) [4] 국립종자관리원 (http://www.seed.go.kr) [5] 농촌진흥청 (http://www.rda.go.kr) [6]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 (http://genebank.rda.go.kr)[7] 농업과학기술원 (http://www.niast.go.kr) [8] 농업생명공학연구원 (http://www.niab.go.kr/homepage)[9] 산업자원부 (http://www.mocie.go.kr)
[10] 식품의약품안전청 (http://www.kfda.go.kr)
[11] TaKaRa한국유전자검사센터 ( http://www.kgac.co.kr)
[12] 기능성 유전자 분석센터 (http://gmo.re.kr)
[13] SBS (http://www.sbs.co.kr)
[14] 환경미디어, 수자원환경신문사편집부 ,
수자원환경신문사(잡지)/ 2008.04,05(월간)
[15] 위험한 미래 , 권영근 , 당대 , 2000.01.01
돌연변이에 대한 분석과 결론
2008. 6. 18
단국대학교 공학부
과학기술보고서 작성과 발표
수(3,4 교시) 4조
제 출 문
공수철 교수님 귀하
본 보고서를『돌연변이에 대한 분석과 결론』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8. 6. 18
목 차

1. 서론1
2. 본론1
2.1 돌연변이의 역사1
2.2 돌연변이의 원인2
2.2.1 염색체 돌연변이2
2.2.2 유전자 돌연변이3
2.3 돌연변이의 연구 종류와 장단점4
2.3.1 GMO(유전자조작농산물)4
2.3.2 LMO(liv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유전자 변형 유기[생명]체6
2.3.3 유전자변형작물 재배 현황10
2.4 돌연변이 사회적 논란10
2.4.1 사회에 미치는 영향10
2.4.2 유전자 변형 설문조사 결과11
3. 결론11
4. 참고문헌 및 싸이트11
그림 및 표 목차

[그림1]1
[그림2]2
[그림3]3
[그림4]3
[그림5]3
[그림6]3
[그림7]4
[그림8]5
[그림9]5
[그림10]7
[그림11]7
[그림12]7
[그림13]7
[그림14-1]7
[그림14-2]8
[그림15]10
[표 - 법률시행 전과 후]6
[표 - 유전자변형 기술도입]9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7.2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63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