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전자 각인
2. 각인현상이 일어나는 이유
3. 각인 유전자의 각인 시점
4. 각인 검사와 각인 흔적 검사
5. 유전자 각인을 이용한 실험 예
2. 각인현상이 일어나는 이유
3. 각인 유전자의 각인 시점
4. 각인 검사와 각인 흔적 검사
5. 유전자 각인을 이용한 실험 예
본문내용
인 유전자를 만들어주면 난자로 정자를 대신할 수 있는 셈이다.
연구팀이 부계 각인 유전자로 지목한 것은 H19 유전자. 난자에서 H19 유전자가 발현되면 Igf2 유전자에 메틸기가 달라붙어 기능을 못하게 만든다. 반대로 정자에서는 H19 유전자의 발현은 억제되고 Igf2 유전자가 태아의 성장을 조절하는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난자끼리 결합시키면 결국 정자에서 온 유전자가 만드는 태아 성장 조절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않아 정상적인 발생이 이뤄지지 않는 것이다. 결국 H19는 정자의 부계 각인 유전자인 것.
연구팀은 미성숙 난자에서 H19 유전자를 포함한 1만3천여개의 염기를 떼냈다. 그 결과 정자를 대신하게 된 미성숙 난자는 다 자란 난자와 결합해 정상적으로 수정란을 형성했다. 또한 태아가 자라는 동안에는 정자를 대신한 미성숙 난자에서 유래한 Igf2 유전자가 태아 성장을 조절하는 단백질을 만들어냈다.
각인 유전자 탐색과 유전자 발현 추적에는 마크로젠의 고밀도 DNA칩이 활용됐다. 마크로젠의 박현석 사장은 “이는 한국의 유전자 분석 기술이 이미 세계 수준에 도달했다는 증거”라며 “국내에서도 DNA칩을 이용한 유전자 연구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팀이 부계 각인 유전자로 지목한 것은 H19 유전자. 난자에서 H19 유전자가 발현되면 Igf2 유전자에 메틸기가 달라붙어 기능을 못하게 만든다. 반대로 정자에서는 H19 유전자의 발현은 억제되고 Igf2 유전자가 태아의 성장을 조절하는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난자끼리 결합시키면 결국 정자에서 온 유전자가 만드는 태아 성장 조절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않아 정상적인 발생이 이뤄지지 않는 것이다. 결국 H19는 정자의 부계 각인 유전자인 것.
연구팀은 미성숙 난자에서 H19 유전자를 포함한 1만3천여개의 염기를 떼냈다. 그 결과 정자를 대신하게 된 미성숙 난자는 다 자란 난자와 결합해 정상적으로 수정란을 형성했다. 또한 태아가 자라는 동안에는 정자를 대신한 미성숙 난자에서 유래한 Igf2 유전자가 태아 성장을 조절하는 단백질을 만들어냈다.
각인 유전자 탐색과 유전자 발현 추적에는 마크로젠의 고밀도 DNA칩이 활용됐다. 마크로젠의 박현석 사장은 “이는 한국의 유전자 분석 기술이 이미 세계 수준에 도달했다는 증거”라며 “국내에서도 DNA칩을 이용한 유전자 연구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키워드
추천자료
식물조직 배양 및 실험 PCR의 원리와 특징
유전공학 - vial vector
viral vector(바이러스 벡터)
식품 생물 산업의 미래
벡터의 종류
기능 유전체학 (Functional Genomics)의 특징
siRNA란 무엇인가
High Resolution whole-mount in situ hybridization
BIOCHEMISTRY 1 - Chapter 4 Nucleic Acids
Handout 1 (6장)
돌연변이의 종류와 특징 및 돌연변이 유발 물질
인간 유전체 사업 report - 역사와 현재 상황
농업유전학정리입니다. [요약본, 요점정리] 1장~18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