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3p
2.본론------------------------------------------4p
-염색체 돌연변이
-유전자 돌연변이 -------------------------------------6p
-돌연변이 유발물질 -----------------------------------8p
3.결론 ----------------------------------------9p
-요약
-소감
4.참고문헌 ----------------------------------10p
2.본론------------------------------------------4p
-염색체 돌연변이
-유전자 돌연변이 -------------------------------------6p
-돌연변이 유발물질 -----------------------------------8p
3.결론 ----------------------------------------9p
-요약
-소감
4.참고문헌 ----------------------------------10p
본문내용
연변이보다 높은 비율로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화학물질이다. DNA에 부가체를 형성하거나 DNA사슬 절단을 일으켜 이것이 수선되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긴다거나, DNA복제 시에 다른 염기쌍을 형성함으로써 돌연변이가 생긴다. 인위적인 돌연변이 유도를 위하여 5종류의 물질이 알려져 있다. 첫째는 아데닌과 구아닌의 질소를 에틸화혹은 메틸화시켜 점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물질인 알킬화제(alkylating agent)가 있다. 둘째는 AT↔GC를 교환하는 염기쌍 치환형 변이원물질인 하이드록실아민류(hydroxyllamine)의 물질들이 있다. 셋째는 아크리딘(acridine)화합물로써 프로플라빈(proflavin)등이 염기쌍을 부가 또는 결실시키고 DNA의 해독구조 이동(frameshift)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넷째는 DNA염기의 화학적 유사체(analog)로서 DNA로 티민(T) 대신 브로모우라실(5-bromouracil)을 집어 넣거나 아데닌(A) 대신에 2-aminopurine을 넣음으로써 일으킨다. 다섯 번째는 아질산(nitrous acid)을 이용하는데 이 물질이 아데닌을 하이포잔틴(hypoxanthine)으로 변환시키고 시토신(C)을 우라실(uracil)로 변환시킨다. 또한, 변이원물질에는 니트로소구아니딘으로 대표하는 알킬화제와 같이 화학적 반응성이 풍부한, 대사활성화가 필요없는 직접반응형 변이원물질과, 벤조피렌과 같이 그 자신은 반응성이 없어 돌연변이를 일으키지 않지만 대사에 의해 반응성이 있는 최종변이원 물질로 변하여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대사활성화가 필요한 전변이원물질이 있다. 화학발암물질의 대부분은 그 자신이 또는 그 대사활성화물이DNA를 수식하는 변이원 물질이다. 발암물질의 단기선별법으로 에임스시험 등의 변이원성 시험법을 사용하고 있다.
3.결론
-요약
돌연변이는 크게 염색체 돌연변이와 유전자 돌연변이로 나누어지며 염색체 돌연변이는 염색체 수의 변화에 따른 돌연변이와 염색체 구조의 변화에 따른 돌연변이로 나눠지게 된다. 그리고 유전자 돌연변이는 트랜지션 돌연변이, 전좌 돌연변이, 미스센스 돌연변이, 넌센스 돌연변이, 복귀 돌연변이와 억제 돌연변이 등으로 나누어진다. 염색체 수의 변화는 염색체 수의 이상은 정배수성(euploidy)이나 이수성(aaneuploidy)으로 일어난다. 정배수성은 염색체 전체 세트의 수에 대한 변화가 일어날 배를 말하고, 이수성은 염색체 전체 세트가 아니라 일부 염색체가 추가되거나 결핍되어 염색체 수에 변화가 일어날 때를 말한다. 염색체 구조 이상은 자연적으로 또는 방사선이나 약품처리 등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일어나는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이고 전좌, 결실, 역위 등이 있다. 그리고 유전자 돌연변이에서는 유전자의 DNA 중에서 한 개의 뉴클레오티드가 상실되든지, 다른 것과 교체되는 극히 미소한 변화를 받아도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 변하여 유전자 돌연변이가 일어난다.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물질에는 알킬화제, 하이드록실아민류, 아크리딘 화합물 등이 있다.
-소감
돌연변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검색을 하면서 어떻게 돌연변이가 발생이 되는 가 느껴 볼 수 있었고, 두 번째 리포트이다 보니 처음보다는 많이 수월하게 진행되었던 것 같다. 내가 원하는 사진들을 못 찾아 낸 경우가 많았지만 그래도 여러 사이트를 돌아다니며 최대한의 정보를 모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사실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다보니 타자를 치는 동안에도 이해가 되질 않아서 애를 먹었다. 몇 번이고 다시 읽어보고 고치고 하는 동안 돌연변이라는 단어가 꿈 속에 나올 만큼 매달렸던 것 같다. 돌연변이를 분류할 때에도 많은 방법들로 분류를 해서 그 분류방법을 결정하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그래도 돌연변이의 관한 글을 많이 읽다보니 이제 돌연변이가 왜 일어나는 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익히는 계기가 되었고, 돌연변이 유발물질에 대해서 조사할 때에는 인위적으로 돌연변이를 만들어 내어서 여러 분야에서 활용을 할 수도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처음엔 돌연변이라는 것이 안 좋은 줄만 알았지만 좋은 쪽으로의 돌연변이도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새로운 사실들을 알아간다는 것은 재밌고 흥미로운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힘들긴 했지만 즐거웠고 배운 것 또한 많았다고 생각한다.
4.참고문헌
-웹사이트 검색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77&docId=469975&categoryId=577&mobile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77&docId=293088&categoryId=577&mobile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222967&mobile&categoryId=200000477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222967&mobile&categoryId=200000477
http://en.wikipedia.org/wiki/Deletion_(genetics)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32735&mobile&categoryId=200000477
http://blog.naver.com/hweonpyo?Redirect=Log&logNo=130019209721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77&docId=427474&mobile&categoryId=577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62&docId=424688&mobile&categoryId=562
http://www.mun.ca/biology/scarr/Nitrous_Acid_Mutagenesis.html
http://www.forest.go.kr/newkfsweb/kfi/kfs/mwd/selectMtstWordDictionary.do?wrdSn=1837
http://academic.pgcc.edu/~kroberts/Lecture/Chapter%207/mutagens.html
3.결론
-요약
돌연변이는 크게 염색체 돌연변이와 유전자 돌연변이로 나누어지며 염색체 돌연변이는 염색체 수의 변화에 따른 돌연변이와 염색체 구조의 변화에 따른 돌연변이로 나눠지게 된다. 그리고 유전자 돌연변이는 트랜지션 돌연변이, 전좌 돌연변이, 미스센스 돌연변이, 넌센스 돌연변이, 복귀 돌연변이와 억제 돌연변이 등으로 나누어진다. 염색체 수의 변화는 염색체 수의 이상은 정배수성(euploidy)이나 이수성(aaneuploidy)으로 일어난다. 정배수성은 염색체 전체 세트의 수에 대한 변화가 일어날 배를 말하고, 이수성은 염색체 전체 세트가 아니라 일부 염색체가 추가되거나 결핍되어 염색체 수에 변화가 일어날 때를 말한다. 염색체 구조 이상은 자연적으로 또는 방사선이나 약품처리 등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일어나는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이고 전좌, 결실, 역위 등이 있다. 그리고 유전자 돌연변이에서는 유전자의 DNA 중에서 한 개의 뉴클레오티드가 상실되든지, 다른 것과 교체되는 극히 미소한 변화를 받아도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 변하여 유전자 돌연변이가 일어난다.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물질에는 알킬화제, 하이드록실아민류, 아크리딘 화합물 등이 있다.
-소감
돌연변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검색을 하면서 어떻게 돌연변이가 발생이 되는 가 느껴 볼 수 있었고, 두 번째 리포트이다 보니 처음보다는 많이 수월하게 진행되었던 것 같다. 내가 원하는 사진들을 못 찾아 낸 경우가 많았지만 그래도 여러 사이트를 돌아다니며 최대한의 정보를 모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사실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다보니 타자를 치는 동안에도 이해가 되질 않아서 애를 먹었다. 몇 번이고 다시 읽어보고 고치고 하는 동안 돌연변이라는 단어가 꿈 속에 나올 만큼 매달렸던 것 같다. 돌연변이를 분류할 때에도 많은 방법들로 분류를 해서 그 분류방법을 결정하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그래도 돌연변이의 관한 글을 많이 읽다보니 이제 돌연변이가 왜 일어나는 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익히는 계기가 되었고, 돌연변이 유발물질에 대해서 조사할 때에는 인위적으로 돌연변이를 만들어 내어서 여러 분야에서 활용을 할 수도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처음엔 돌연변이라는 것이 안 좋은 줄만 알았지만 좋은 쪽으로의 돌연변이도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새로운 사실들을 알아간다는 것은 재밌고 흥미로운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힘들긴 했지만 즐거웠고 배운 것 또한 많았다고 생각한다.
4.참고문헌
-웹사이트 검색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77&docId=469975&categoryId=577&mobile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77&docId=293088&categoryId=577&mobile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222967&mobile&categoryId=200000477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222967&mobile&categoryId=200000477
http://en.wikipedia.org/wiki/Deletion_(genetics)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32735&mobile&categoryId=200000477
http://blog.naver.com/hweonpyo?Redirect=Log&logNo=130019209721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77&docId=427474&mobile&categoryId=577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62&docId=424688&mobile&categoryId=562
http://www.mun.ca/biology/scarr/Nitrous_Acid_Mutagenesis.html
http://www.forest.go.kr/newkfsweb/kfi/kfs/mwd/selectMtstWordDictionary.do?wrdSn=1837
http://academic.pgcc.edu/~kroberts/Lecture/Chapter%207/mutagens.html
추천자료
체세포,감수분열의 차이와 멘델의 유전학과 그 이후의 유전학에 대해서 적고 사람 염색체의 ...
뇌종양[encephaloma 腦腫瘍]에 대해
치매, 치매노인가족의 서비스에 관한 조사 및 기관방문보고서
무기원소에의한생리장해의특징및대책
유전성 혈전성향 질환의 종류와 특징
뇌종양케이스
인스턴트(가공식품) 식품속 첨가물의 종류와 특징
뇌종양(Brain tumor)
뇌종양 레포트
[바이오칩]바이오칩(생체칩)의 주요 특징 및 장점과 활용 분야 소개, 바이오칩(biochip)의 기...
환경호르몬이란 무엇인가
[발효공학] 발효조의 종류와 특징
도장재의 종류와 특징
2017년 기초간호과학]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의 특징적인차이, 염증의 형태적 분류. 염증 국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