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사상으로 본 미학(美學)과 예술론(藝術論)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라톤의 사상으로 본 미학(美學)과 예술론(藝術論)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플라톤
2.플라톤과 미학

본론
1.테크네
2.이데아
가.이데아의 개념
나.이데아의 인식
다.이데아로서의 미
라.이데아(형이상학 적)개념에서의 회화와 시

결론
1.플라톤의 미
2.플라톤의 예술론
3. 현대의 미학으로 비춰 본 플라톤의 미학

본문내용

처럼 플라톤은 예술을 지식의 원천으로서 수학이나 과학과 같은 교과들과 견주어 놓고 있다. 특히 시와 관련시켜 이 주장을 강조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예술에 대한 플라톤의 두 번째 공격은 때로 예술이 적합하지 않은 행위의 보기들을 제시해 놓고 있다는 점과 예술의 정서적인 성격이라는 점 쌍방의 이유 때문에 이른바 예술이 인간에 미치고 있다는 나쁜 영향과 관련되고 있는 것이다. 전자의 문제는 검열제도에 의해 처리 될 수 있는 것으로서, 플라톤은 공화국에서 매우 엄격한 검열제도를 옹호하고 있다. 그러나 예술의 비합리적인 원천에서 유래하는 예술의 정서적인 성격은 처리하기가 보다 어려운 문제로서 그 근절이 불가능하다. 그 요지인즉 창작 과정은 비합리적이며 그리고 시에 열중한 사람들은 모두 ‘제 정신이 아니라는 것’이다. 즉 시인은 합리적인 절차에 의해서가 아니라 신에 의해 영감을 부여받아 시를 창작한다. 그는 뮤즈신 아홉자매로서 기억의 신 므네모시네(Mnemosyne)와 제우스의 딸들이다. 음악뿐만 아니라, 연극, 서사시, 정치, 희극, 비극, 합창, 역사까지 관할하는 문화의 신을 말한다.
에게 사로잡혀 광란 상태에 있는 시인이 시작술의 도움을 받아 시를 쓰고자 하는 건전한 사람보다 더욱 훌륭한 시를 창작할 수 있다고 말함으로써 그는 영감에 대해 훨씬 호의적인 견해를 취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기서 꼭 주목해야 할 사실은 그가 영감에 관해 말할 때 그는 다만 시만을 말하고 있으며 그리하여 자신의 이론을 시의 창작에 국한시켜 놓기를 원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3. 현대의 미학으로 비춰 본 플라톤의 미학
회화를 존재론적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두었던 플라톤의 형이상학 미적 사상은 오늘날의 미의 개념과는 굉장한 거리감이 있다. 하지만 예술에 대한 평가가 현재와 다르다고 해서 플라톤이 예술의 본성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고는 볼 수 없다. 그가 회화를 ‘기만적 눈속임’이라고 했을 때 그는 이미 이미지가 가진 환영 적 속성을 잘 간파하고 있었던 것이다. 즉, 회화가 세계의 모방이라면, 하나의 그림은 어디까지나 원래 모습과 외양이 닮은 유사물, 즉 이미지이다. 이미지의 본성은 그것이 본질을 결여하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술모방론은 언어와 세계와의 관계와 유사한 관계를 예술작품과 세계 간에 설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언어, 예컨대 ‘개’라는 단어(문자)는 개라는 대상을 즉각적으로 떠올리게 하고, 세계내의 대상으로서 개를 지시하지만, 개라는 실제로 존재하는 대상의 실체는 결여하고 있는 것이다. 모방론의 입장에서 바라본 회화 역시 마찬가지다. 일찍이 플라톤은 그러한 회화, 즉 이미지의 속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던 거다.
-참고문헌
윤병운, 2004, 『서양철학사(96~113P)』, 더부러
박성숙, 1999, 『한권으로 읽는 철학 이야기』, 석일사
W.타타르키비츠/손효주, 2005,『미학사1』, 미술문화
박종현, 2005, 『플라톤의 국가(正體) 』, 서광사
교육과학사, 1997,『플라톤철학과 교육』, 교육과학사.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7.2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64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