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길어지면 불시출수의 우려가 있으므로 적파 만식은 피하고 만파 만식재배할 것
만풍벼 (익산 422호)
1. 주요특성
ㆍ소득작물 후작 만식적응성
ㆍ중생, 양질, 등숙 및 숙색 양호
ㆍ도열병 약, 줄무늬잎마름병 중
ㆍ용도 : 쌀밥용
2. 적응지역
ㆍ논산이남 평야 소득작물 후작 및 만식재배지
3. 생육 및 미질관련 특성
출수기
(월.일)
본답생육
일수
(일)
수전
일수
(일)
벼키
(㎝)
이삭
길이
(㎝)
이삭수
(개)
수당
립수
(개)
내만식성
내
냉
성
내도
복성
수발
아성
도
열
병
호엽
고병
적파
만식
만파
만식
8.6
92
5
75
19
21
93
중강
강
중
강
잘됨
약
중
흑 조
위축병
벼멸구
입형
(장폭비)
심복백
(0~9)
알칼리
붕괴도
(1~7)
아밀로
스함량
(%)
현 미
천립중
(g)
제현율
(%)
도정율
(%)
백미완전랩율
(%)
수량성
(㎏/10a)
약
약
1.68
0/0
5.8
19.3
22.6
83.8
75.6
98.2
483
○ 잎은 녹색이고 길이는 금오벼보다 약간 짧고 다소 넓은 편이며, 초형은 직립으로 양호함
○ 줄기의 굵기와 강도는 금오벼와 비슷하고 새끼 치는 각도는 보통임
○ 이삭의 벼알 달림 정도는 보통이고 까락이 거의 없으며, 탈립은 잘 안되고 벼 껍질색은 황백색임
4. 재배상 유의점
○ 질소비료 과다시 도열병, 도복, 미질 및 등숙 저하가 우려되므로 적정 균형시비 해야 함
○ 시설원예 및 소득작물 후작 토양에는 질소비료가 많으므로 시비량 조절에 유의해야 함
○ 도열병, 벼멸구 등 병해충에는 약하므로 적기방제를 철저히 해야 함
동진찰벼 (익산 425호)
1. 주요특성
ㆍ중만생종, 찰벼, 다수성
ㆍ직립초형, 내도복성
ㆍ중기무늬잎마름병 강
ㆍ용도: 떡류 및 가공용
2. 적응지역
ㆍ대전이남 평야지 1모작(충남, 전남북, 경남북)
3. 생육 및 미질관련 특성
출수기
(월.일)
본답생육
일수
(일)
수전
일수
(일)
벼키
(㎝)
이삭
길이
(㎝)
이삭수
(개)
수당
립수
(개)
내만식성
내
냉
성
내도
복성
수발
아성
도
열
병
호엽
고병
적파
만식
만파
만식
8.13
121
6
80
19
15
100
중
중약
중
강
적음
약
강
흑 조
위축병
벼멸구
입형
(장폭비)
심복백
(0~9)
알칼리
붕괴도
(1~7)
아밀로
스함량
(%)
현 미
천립중
(g)
제현율
(%)
도정율
(%)
백미완전랩율
(%)
수량성
(㎏/10a)
약
약
1.7
-
-
-
22.3
81.5
75.0
98.0
549
○ 잎은 녹색이고 길이와 넓이는 중정도이며 직립성으로 초형이 양호함
○ 줄기는 동진벼와 같은 중간정도의 굵기로 단단하며 새끼치는 각도는 보통임
○ 이삭의 벼알 달림정도는 보통이며 까락이 거의 없고 탈립정도는 동진벼와 비슷하며 벼 껍질색은 황백색임
4. 재배상 유의점
○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충해에 약하므로 적기방제를 해야 함
○ 질소비료 과다 시 출수지연 및 둥숙 저하가 우려되므로 적정 균형시비 해야 함
○ 탈립이 동진벼 수준으로 우박 피해가 우려되므로 적기 수확 유의해야 함
아랑향찰벼 (밀양 146호)
1. 주요특성
ㆍ중만생종, 다수성
ㆍ향미, 찰벼
ㆍ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ㆍ용도 : 식미 증진용 및 떡류 등 가공용
2. 적응지역
ㆍ남부평야지 1, 2모작지
3. 생육 및 미질관련 특성
출수기
(월.일)
본답생육
일수
(일)
수전
일수
(일)
벼키
(㎝)
이삭
길이
(㎝)
이삭수
(개)
수당
립수
(개)
내만식성
내
냉
성
내도
복성
수발
아성
도
열
병
호엽
고병
적파
만식
만파
만식
8.13
121
7
88
21
16
118
중
중
중
중강
적음
중
강
흑 조
위축병
벼멸구
입형
(장폭비)
심복백
(0~9)
알칼리
붕괴도
(1~7)
아밀로
스함량
(%)
현 미
천립중
(g)
제현율
(%)
도정율
(%)
백미완전랩율
(%)
수량성
(㎏/10a)
약
약
1.90
찰
6.8
-
20.5
83.5
75.3
94.4
537
○ 잎은 녹색이며 길이와 넓이가 중정도이고 직립성 초형임
○ 줄기는 동진벼와 비슷한 굵기이며 강도는 강한 편이고 새끼치는 각도는 보통임
○ 이삭의 밀도는 보통이며 탈립은 동진벼보다 덜되고 까락이 거의 없고 벼 껍질색은 황백색이며 숙색은 양호함
4. 재배상 유의점
○ 질소비료 과다시 출수지연, 미질저하, 병해충 발생 및 도곱이 우려되므로 적정 균형시비 할 것
○ 도열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는 강한 편이나 흰잎마름병 및 충해에는 약하므로 적기에 기본방제를 실시해야 함
○ 냉수 용출잡이나 만식재배는 피할 것
○ 가급적 가공업체와 사전 계약재배
신선찰벼 (이리 355호)
1. 주요특성
ㆍ중생종
ㆍ찰벼(일반계)
ㆍ백도와 찰기가 좋음
2. 적응지역
ㆍ한강이남 평야지와 평택이남 표고 200m 이하의 1모작과 대전이남 평야지 2모작
3. 생육 및 미질관련 특성
출수기
(월.일)
본답생육
일수
(일)
수전
일수
(일)
벼키
(㎝)
이삭
길이
(㎝)
이삭수
(개)
수당
립수
(개)
내만식성
내
냉
성
내도
복성
수발
아성
도
열
병
호엽
고병
적파
만식
만파
만식
8.6
-
-
99
-
16
86
중강
중약
중
중
적음
증강
강
흑 조
위축병
벼멸구
입형
(장폭비)
심복백
(0~9)
알칼리
붕괴도
(1~7)
아밀로
스함량
(%)
현 미
천립중
(g)
제현율
(%)
도정율
(%)
백미완전랩율
(%)
수량성
(㎏/10a)
약
약
-
찰
5
찰벼
22.0
81.2
73.4
-
485
○ 잎은 농록색이며 낙동벼보다 다소 짧으나 잎폭이 넓은 편이며 직립임
○ 간장은 낙동벼와 비슷하나 줄기의 굵기가 약간 가늘어 도복에 약함
4. 재배상 유의점
○ 묘판일수가 50일 이상일 경우 불시출수
○ 도복에 약하므로 질소비료를 알맞게 주기
○ 중간 물떼기를 철저히 하여 뿌리의 활력증진
○ 호엽고병에는 강하나 백엽고병, 위축병, 흑조위축병 등 병해충에 약하므로 적기방제
만풍벼 (익산 422호)
1. 주요특성
ㆍ소득작물 후작 만식적응성
ㆍ중생, 양질, 등숙 및 숙색 양호
ㆍ도열병 약, 줄무늬잎마름병 중
ㆍ용도 : 쌀밥용
2. 적응지역
ㆍ논산이남 평야 소득작물 후작 및 만식재배지
3. 생육 및 미질관련 특성
출수기
(월.일)
본답생육
일수
(일)
수전
일수
(일)
벼키
(㎝)
이삭
길이
(㎝)
이삭수
(개)
수당
립수
(개)
내만식성
내
냉
성
내도
복성
수발
아성
도
열
병
호엽
고병
적파
만식
만파
만식
8.6
92
5
75
19
21
93
중강
강
중
강
잘됨
약
중
흑 조
위축병
벼멸구
입형
(장폭비)
심복백
(0~9)
알칼리
붕괴도
(1~7)
아밀로
스함량
(%)
현 미
천립중
(g)
제현율
(%)
도정율
(%)
백미완전랩율
(%)
수량성
(㎏/10a)
약
약
1.68
0/0
5.8
19.3
22.6
83.8
75.6
98.2
483
○ 잎은 녹색이고 길이는 금오벼보다 약간 짧고 다소 넓은 편이며, 초형은 직립으로 양호함
○ 줄기의 굵기와 강도는 금오벼와 비슷하고 새끼 치는 각도는 보통임
○ 이삭의 벼알 달림 정도는 보통이고 까락이 거의 없으며, 탈립은 잘 안되고 벼 껍질색은 황백색임
4. 재배상 유의점
○ 질소비료 과다시 도열병, 도복, 미질 및 등숙 저하가 우려되므로 적정 균형시비 해야 함
○ 시설원예 및 소득작물 후작 토양에는 질소비료가 많으므로 시비량 조절에 유의해야 함
○ 도열병, 벼멸구 등 병해충에는 약하므로 적기방제를 철저히 해야 함
동진찰벼 (익산 425호)
1. 주요특성
ㆍ중만생종, 찰벼, 다수성
ㆍ직립초형, 내도복성
ㆍ중기무늬잎마름병 강
ㆍ용도: 떡류 및 가공용
2. 적응지역
ㆍ대전이남 평야지 1모작(충남, 전남북, 경남북)
3. 생육 및 미질관련 특성
출수기
(월.일)
본답생육
일수
(일)
수전
일수
(일)
벼키
(㎝)
이삭
길이
(㎝)
이삭수
(개)
수당
립수
(개)
내만식성
내
냉
성
내도
복성
수발
아성
도
열
병
호엽
고병
적파
만식
만파
만식
8.13
121
6
80
19
15
100
중
중약
중
강
적음
약
강
흑 조
위축병
벼멸구
입형
(장폭비)
심복백
(0~9)
알칼리
붕괴도
(1~7)
아밀로
스함량
(%)
현 미
천립중
(g)
제현율
(%)
도정율
(%)
백미완전랩율
(%)
수량성
(㎏/10a)
약
약
1.7
-
-
-
22.3
81.5
75.0
98.0
549
○ 잎은 녹색이고 길이와 넓이는 중정도이며 직립성으로 초형이 양호함
○ 줄기는 동진벼와 같은 중간정도의 굵기로 단단하며 새끼치는 각도는 보통임
○ 이삭의 벼알 달림정도는 보통이며 까락이 거의 없고 탈립정도는 동진벼와 비슷하며 벼 껍질색은 황백색임
4. 재배상 유의점
○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충해에 약하므로 적기방제를 해야 함
○ 질소비료 과다 시 출수지연 및 둥숙 저하가 우려되므로 적정 균형시비 해야 함
○ 탈립이 동진벼 수준으로 우박 피해가 우려되므로 적기 수확 유의해야 함
아랑향찰벼 (밀양 146호)
1. 주요특성
ㆍ중만생종, 다수성
ㆍ향미, 찰벼
ㆍ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ㆍ용도 : 식미 증진용 및 떡류 등 가공용
2. 적응지역
ㆍ남부평야지 1, 2모작지
3. 생육 및 미질관련 특성
출수기
(월.일)
본답생육
일수
(일)
수전
일수
(일)
벼키
(㎝)
이삭
길이
(㎝)
이삭수
(개)
수당
립수
(개)
내만식성
내
냉
성
내도
복성
수발
아성
도
열
병
호엽
고병
적파
만식
만파
만식
8.13
121
7
88
21
16
118
중
중
중
중강
적음
중
강
흑 조
위축병
벼멸구
입형
(장폭비)
심복백
(0~9)
알칼리
붕괴도
(1~7)
아밀로
스함량
(%)
현 미
천립중
(g)
제현율
(%)
도정율
(%)
백미완전랩율
(%)
수량성
(㎏/10a)
약
약
1.90
찰
6.8
-
20.5
83.5
75.3
94.4
537
○ 잎은 녹색이며 길이와 넓이가 중정도이고 직립성 초형임
○ 줄기는 동진벼와 비슷한 굵기이며 강도는 강한 편이고 새끼치는 각도는 보통임
○ 이삭의 밀도는 보통이며 탈립은 동진벼보다 덜되고 까락이 거의 없고 벼 껍질색은 황백색이며 숙색은 양호함
4. 재배상 유의점
○ 질소비료 과다시 출수지연, 미질저하, 병해충 발생 및 도곱이 우려되므로 적정 균형시비 할 것
○ 도열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는 강한 편이나 흰잎마름병 및 충해에는 약하므로 적기에 기본방제를 실시해야 함
○ 냉수 용출잡이나 만식재배는 피할 것
○ 가급적 가공업체와 사전 계약재배
신선찰벼 (이리 355호)
1. 주요특성
ㆍ중생종
ㆍ찰벼(일반계)
ㆍ백도와 찰기가 좋음
2. 적응지역
ㆍ한강이남 평야지와 평택이남 표고 200m 이하의 1모작과 대전이남 평야지 2모작
3. 생육 및 미질관련 특성
출수기
(월.일)
본답생육
일수
(일)
수전
일수
(일)
벼키
(㎝)
이삭
길이
(㎝)
이삭수
(개)
수당
립수
(개)
내만식성
내
냉
성
내도
복성
수발
아성
도
열
병
호엽
고병
적파
만식
만파
만식
8.6
-
-
99
-
16
86
중강
중약
중
중
적음
증강
강
흑 조
위축병
벼멸구
입형
(장폭비)
심복백
(0~9)
알칼리
붕괴도
(1~7)
아밀로
스함량
(%)
현 미
천립중
(g)
제현율
(%)
도정율
(%)
백미완전랩율
(%)
수량성
(㎏/10a)
약
약
-
찰
5
찰벼
22.0
81.2
73.4
-
485
○ 잎은 농록색이며 낙동벼보다 다소 짧으나 잎폭이 넓은 편이며 직립임
○ 간장은 낙동벼와 비슷하나 줄기의 굵기가 약간 가늘어 도복에 약함
4. 재배상 유의점
○ 묘판일수가 50일 이상일 경우 불시출수
○ 도복에 약하므로 질소비료를 알맞게 주기
○ 중간 물떼기를 철저히 하여 뿌리의 활력증진
○ 호엽고병에는 강하나 백엽고병, 위축병, 흑조위축병 등 병해충에 약하므로 적기방제
키워드
추천자료
비타민의 생리적 특성 , 주요급원 과 식중독
[사회보장제도]사회보장제도의 정의 및 개념, 형태, 기능, 쟁점, 구성에 대한 이해 사회보장...
정신장애인범죄) 정신장애 범죄인의 특성과 재활의 주요 쟁점 및 정신보건사회복지에서의 과제
조직의 정의, 지역사회 정의, 특징, 관점, 주요개념, 형태, 유형, 조직이 인간행동에 미치는 ...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론 Canale과 Swain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실시배경과 특성을 기술하고 주요과제와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서술
[청소년육성제도론 공통] 학교교육과 청소년육성 정책의 특징 비교 논하고, 주요 청소년육성 ...
[청소년육성제도론 공통] 학교교육과 청소년육성 정책의 특징을 비교하여 논하고, 주요 청소...
존슨의 7개 행동체계 적용, 간호이론 1) 존슨의 이론에 대해 정리하기 2) 대상자(만성질환자)...
(2016 간호이론A형) 로이의 4개 적응유형 적용 /로이 적응이론, 당뇨 만성질환자 인구사회적 ...
[청소년육성제도론]1) 학교교육 정책과 청소년육성 정책의 특징을 비교하여 논한 후, 2) 주요...
(중국문화산책 공통)중국 남방과 북방의 도시 문화는 어떻게 다릅니까? 중국에서 남방과 북방...
[중국문화산책 공통] 중국 남방과 북방의 도시 문화는 어떻게 다릅니까 중국에서 남방과 북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