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품종별 주요특성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길어지면 불시출수의 우려가 있으므로 적파 만식은 피하고 만파 만식재배할 것
만풍벼 (익산 422호)
1. 주요특성
ㆍ소득작물 후작 만식적응성
ㆍ중생, 양질, 등숙 및 숙색 양호
ㆍ도열병 약, 줄무늬잎마름병 중
ㆍ용도 : 쌀밥용
2. 적응지역
ㆍ논산이남 평야 소득작물 후작 및 만식재배지
3. 생육 및 미질관련 특성
출수기
(월.일)
본답생육
일수
(일)
수전
일수
(일)
벼키
(㎝)
이삭
길이
(㎝)
이삭수
(개)
수당
립수
(개)
내만식성



내도
복성
수발
아성



호엽
고병
적파
만식
만파
만식
8.6
92
5
75
19
21
93
중강



잘됨


흑 조
위축병
벼멸구
입형
(장폭비)
심복백
(0~9)
알칼리
붕괴도
(1~7)
아밀로
스함량
(%)
현 미
천립중
(g)
제현율
(%)
도정율
(%)
백미완전랩율
(%)
수량성
(㎏/10a)


1.68
0/0
5.8
19.3
22.6
83.8
75.6
98.2
483
○ 잎은 녹색이고 길이는 금오벼보다 약간 짧고 다소 넓은 편이며, 초형은 직립으로 양호함
○ 줄기의 굵기와 강도는 금오벼와 비슷하고 새끼 치는 각도는 보통임
○ 이삭의 벼알 달림 정도는 보통이고 까락이 거의 없으며, 탈립은 잘 안되고 벼 껍질색은 황백색임
4. 재배상 유의점
○ 질소비료 과다시 도열병, 도복, 미질 및 등숙 저하가 우려되므로 적정 균형시비 해야 함
○ 시설원예 및 소득작물 후작 토양에는 질소비료가 많으므로 시비량 조절에 유의해야 함
○ 도열병, 벼멸구 등 병해충에는 약하므로 적기방제를 철저히 해야 함
동진찰벼 (익산 425호)
1. 주요특성
ㆍ중만생종, 찰벼, 다수성
ㆍ직립초형, 내도복성
ㆍ중기무늬잎마름병 강
ㆍ용도: 떡류 및 가공용
2. 적응지역
ㆍ대전이남 평야지 1모작(충남, 전남북, 경남북)
3. 생육 및 미질관련 특성
출수기
(월.일)
본답생육
일수
(일)
수전
일수
(일)
벼키
(㎝)
이삭
길이
(㎝)
이삭수
(개)
수당
립수
(개)
내만식성



내도
복성
수발
아성



호엽
고병
적파
만식
만파
만식
8.13
121
6
80
19
15
100

중약


적음


흑 조
위축병
벼멸구
입형
(장폭비)
심복백
(0~9)
알칼리
붕괴도
(1~7)
아밀로
스함량
(%)
현 미
천립중
(g)
제현율
(%)
도정율
(%)
백미완전랩율
(%)
수량성
(㎏/10a)


1.7
-
-
-
22.3
81.5
75.0
98.0
549
○ 잎은 녹색이고 길이와 넓이는 중정도이며 직립성으로 초형이 양호함
○ 줄기는 동진벼와 같은 중간정도의 굵기로 단단하며 새끼치는 각도는 보통임
○ 이삭의 벼알 달림정도는 보통이며 까락이 거의 없고 탈립정도는 동진벼와 비슷하며 벼 껍질색은 황백색임
4. 재배상 유의점
○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충해에 약하므로 적기방제를 해야 함
○ 질소비료 과다 시 출수지연 및 둥숙 저하가 우려되므로 적정 균형시비 해야 함
○ 탈립이 동진벼 수준으로 우박 피해가 우려되므로 적기 수확 유의해야 함
아랑향찰벼 (밀양 146호)
1. 주요특성
ㆍ중만생종, 다수성
ㆍ향미, 찰벼
ㆍ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ㆍ용도 : 식미 증진용 및 떡류 등 가공용
2. 적응지역
ㆍ남부평야지 1, 2모작지
3. 생육 및 미질관련 특성
출수기
(월.일)
본답생육
일수
(일)
수전
일수
(일)
벼키
(㎝)
이삭
길이
(㎝)
이삭수
(개)
수당
립수
(개)
내만식성



내도
복성
수발
아성



호엽
고병
적파
만식
만파
만식
8.13
121
7
88
21
16
118



중강
적음


흑 조
위축병
벼멸구
입형
(장폭비)
심복백
(0~9)
알칼리
붕괴도
(1~7)
아밀로
스함량
(%)
현 미
천립중
(g)
제현율
(%)
도정율
(%)
백미완전랩율
(%)
수량성
(㎏/10a)


1.90

6.8
-
20.5
83.5
75.3
94.4
537
○ 잎은 녹색이며 길이와 넓이가 중정도이고 직립성 초형임
○ 줄기는 동진벼와 비슷한 굵기이며 강도는 강한 편이고 새끼치는 각도는 보통임
○ 이삭의 밀도는 보통이며 탈립은 동진벼보다 덜되고 까락이 거의 없고 벼 껍질색은 황백색이며 숙색은 양호함
4. 재배상 유의점
○ 질소비료 과다시 출수지연, 미질저하, 병해충 발생 및 도곱이 우려되므로 적정 균형시비 할 것
○ 도열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는 강한 편이나 흰잎마름병 및 충해에는 약하므로 적기에 기본방제를 실시해야 함
○ 냉수 용출잡이나 만식재배는 피할 것
○ 가급적 가공업체와 사전 계약재배
신선찰벼 (이리 355호)
1. 주요특성
ㆍ중생종
ㆍ찰벼(일반계)
ㆍ백도와 찰기가 좋음
2. 적응지역
ㆍ한강이남 평야지와 평택이남 표고 200m 이하의 1모작과 대전이남 평야지 2모작
3. 생육 및 미질관련 특성
출수기
(월.일)
본답생육
일수
(일)
수전
일수
(일)
벼키
(㎝)
이삭
길이
(㎝)
이삭수
(개)
수당
립수
(개)
내만식성



내도
복성
수발
아성



호엽
고병
적파
만식
만파
만식
8.6
-
-
99
-
16
86
중강
중약


적음
증강

흑 조
위축병
벼멸구
입형
(장폭비)
심복백
(0~9)
알칼리
붕괴도
(1~7)
아밀로
스함량
(%)
현 미
천립중
(g)
제현율
(%)
도정율
(%)
백미완전랩율
(%)
수량성
(㎏/10a)


-

5
찰벼
22.0
81.2
73.4
-
485
○ 잎은 농록색이며 낙동벼보다 다소 짧으나 잎폭이 넓은 편이며 직립임
○ 간장은 낙동벼와 비슷하나 줄기의 굵기가 약간 가늘어 도복에 약함
4. 재배상 유의점
○ 묘판일수가 50일 이상일 경우 불시출수
○ 도복에 약하므로 질소비료를 알맞게 주기
○ 중간 물떼기를 철저히 하여 뿌리의 활력증진
○ 호엽고병에는 강하나 백엽고병, 위축병, 흑조위축병 등 병해충에 약하므로 적기방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9.07.24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6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