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 혈통을 주장 할 수 없다. 어느 민족이던 간에 반드시 자신들이 배제하고 있는 민족과 피가 섞였을 가능성이 반드시 있을 테니 말이다. 우리나라 역사를 살펴봐도 또한 어느 민족의 역사를 살펴보아도 침입을 하거나 침입 당했던 적이 분명히 있었을 것이다. 그 와중에 이방 민족과의 혼인은 피할 수 없는 부분 이었다.(사랑은 국경을 초월 한다고 하지 않나?) 그러니 당연히 민족끼리 그 피가 섞일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일부 극소수라고 할지라도 외국인이 각 나라마다 분명히 있었을 테니 그들의 존재 까지 고려한다면 순수한 단일 민족의 개념은 성립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 여기서 민족이라는 것은 상상되어진 것으로 충분히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민족은 자기 이익이 전제 되었을 때 잠시간 성립하는 어떤 것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월드컵기간, 올림픽 등이 개최 중일 때 개인이나, 기업 등 매출 상장이 예견되고, 기대 될 때 이 민족이라는 것은 어느 때보다 강열하게 나타나고, 그 이후에 사라진다. 그리고 수많은 국민들이 쏟아져 나와 붉은 옷을 입고 껴안고 기뻐하기도 하지만, 이것은 잠시간 생활 속 에서 쌓였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돌파구에 불과 하다. 이것도 스트레스 해소, 후련함 으로 이야기 할 수 있는 자기 이익이 상존 할 때 그들은 민족성을 발휘 하는 것인가. 이것은 현재 이들이 광복절 기념일을 기뻐하고 환호 하겠나? 월드컵을 기뻐하겠나? 그것을 생각해 보면 더욱 확실히 알 수 있다.
민족이라는 것은 중요하게 우리에게 인식되어 있지만은, 그 밑바탕 에는 이기적인 인간의 욕망이 충실히 반영 되어 있는 하나의 추상적인 어떤 것을 명명한 것에 불과 한 것이 그 실상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잠시 동안 느껴지는 민족 됨은 잘 포장 된 만들어진, 역사적인 구성물인 것이다. 잘 분별해야 이것에 나치즘과 파시즘에 의한 폭력 등과 같이 그것에 휘둘리는 사태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이 민족주가 아닌 하나 됨을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으로 바로 종교 공동체를 이야기 하고 싶다. 특히 기독교 종교 공동체를 이야기 하고 싶다. 이 공동체는 국경을 뛰어 넘어 예수 그리스도라는 그 하나의 이름 아래에서 하나 됨을 경험한다. 나라와 인종이 다르다고 할지라도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다는 그 하나의 사실 만으로 협력하고, 언어가 통한 다면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공유할 부분들이 너무나도 많다.
아마 그 이유는 이들이 그 하나 됨의 중심으로 삼고 있는 것은 피, 언어, 지역, 문화가 아니라 절대적 보편적 인 가치로 이야기 할 수 있는 유일한 신 바로 하나님을 믿고 있어서있다. 그래서 그들에게는 각자의 환경, 조건을 초월하여서 하나 됨을 경험 할 수 있는 것이다.
축구 경기 때에만, 혹은 나라의 대소사, 에만 하나 됨을 경험하는 것에 회의를 느끼는가? 그렇다면 올바른 기독교 공동체에 한번 몸을 던져 보는 것을 적극적으로 권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국경, 민족, 피를 뛰어 넘는 진정한 하나 됨과, 상상된 공동체가 아닌 실제 하는 공동체를 맛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민족은 자기 이익이 전제 되었을 때 잠시간 성립하는 어떤 것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월드컵기간, 올림픽 등이 개최 중일 때 개인이나, 기업 등 매출 상장이 예견되고, 기대 될 때 이 민족이라는 것은 어느 때보다 강열하게 나타나고, 그 이후에 사라진다. 그리고 수많은 국민들이 쏟아져 나와 붉은 옷을 입고 껴안고 기뻐하기도 하지만, 이것은 잠시간 생활 속 에서 쌓였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돌파구에 불과 하다. 이것도 스트레스 해소, 후련함 으로 이야기 할 수 있는 자기 이익이 상존 할 때 그들은 민족성을 발휘 하는 것인가. 이것은 현재 이들이 광복절 기념일을 기뻐하고 환호 하겠나? 월드컵을 기뻐하겠나? 그것을 생각해 보면 더욱 확실히 알 수 있다.
민족이라는 것은 중요하게 우리에게 인식되어 있지만은, 그 밑바탕 에는 이기적인 인간의 욕망이 충실히 반영 되어 있는 하나의 추상적인 어떤 것을 명명한 것에 불과 한 것이 그 실상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잠시 동안 느껴지는 민족 됨은 잘 포장 된 만들어진, 역사적인 구성물인 것이다. 잘 분별해야 이것에 나치즘과 파시즘에 의한 폭력 등과 같이 그것에 휘둘리는 사태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이 민족주가 아닌 하나 됨을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으로 바로 종교 공동체를 이야기 하고 싶다. 특히 기독교 종교 공동체를 이야기 하고 싶다. 이 공동체는 국경을 뛰어 넘어 예수 그리스도라는 그 하나의 이름 아래에서 하나 됨을 경험한다. 나라와 인종이 다르다고 할지라도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다는 그 하나의 사실 만으로 협력하고, 언어가 통한 다면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공유할 부분들이 너무나도 많다.
아마 그 이유는 이들이 그 하나 됨의 중심으로 삼고 있는 것은 피, 언어, 지역, 문화가 아니라 절대적 보편적 인 가치로 이야기 할 수 있는 유일한 신 바로 하나님을 믿고 있어서있다. 그래서 그들에게는 각자의 환경, 조건을 초월하여서 하나 됨을 경험 할 수 있는 것이다.
축구 경기 때에만, 혹은 나라의 대소사, 에만 하나 됨을 경험하는 것에 회의를 느끼는가? 그렇다면 올바른 기독교 공동체에 한번 몸을 던져 보는 것을 적극적으로 권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국경, 민족, 피를 뛰어 넘는 진정한 하나 됨과, 상상된 공동체가 아닌 실제 하는 공동체를 맛 볼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민족은 왜 강한 민족인가
한국의 민족주의 - 민족주의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민족 - 우리에게 '민족'이란 무엇인가?
한국의 민족주의 (한국의 nationalism, 민족주의의 이름으로...)
남북한 민족형성과 민족주의 전개과정 통일조국의 이념
[민족문학]한설야 문학의 민족의식과 과도기의 근현대 문학
민족주의의 정의와 역사, 오늘날의 민족주의의 예
세계화 시대의 민족주의와 민족분쟁
[한국인의 정서][민족성][민족의식][한국적 정서][한국정서]한국인의 정서구조(민족성)와 고...
한국 민족주의(한국민족의 뿌리)
민족주의와 민족문제
[동아시아][동아시아 언어][동아시아 영웅신화][동아시아 문명][동아시아 민족][동아시아 문...
탈민족 시대와 민족어
A민족주의, 민족문화의 현재의 모습과 향후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