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 자립형사립고등학교의 개념
-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도입배경.
- 자립형사립고등학교 찬성반대 의견
-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나의 의견
결론
본론 - 자립형사립고등학교의 개념
-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도입배경.
- 자립형사립고등학교 찬성반대 의견
-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나의 의견
결론
본문내용
.
2. 학교의 질이 너무 낮아졌다. 따라서 학교끼리 경쟁을 해서 더 좋은 학교가 있어야 한다.
요즘의 학교에서 생각하는 학생은 모두 다 학원을 다닌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교사들도 가르치는일에 대해 큰 소명감이 없으며, 시험문제 또한 자신이 가르치지도 않은 문제를 낸다고 한다. 물론 그렇게 시험문제를 내도 사교육비를 들여가면서 학원을 다니기 때문에 대부분의 아이는 문제들은 문제를 푼다고 한다. 그래서 요즘 학교의 학습의 질은 최하라고 생각한다. 그러기 때문에 더 좋은 학교를 가기 위해서는 사교육은 불가피하다.
3. 능력에 따라 학교를 선택해서 다니는 것은 불평등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헌법 제 31조에서는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 라고 했다.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사회이다. 가진 돈을 가지고 그 능력에 맞게 좋은 학교, 교육과정이 좋은 학교를 가겠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요즘에는 평준화 되어있어서 상류층자녀들은 해외조기유학을 가거나, 해외대학을 다닌다. 이런 사람들이 나간다는 것은 외화낭비이며, 국가차원에서도 인적자원 낭비이므로 그런 사람들을 교육할 우수한 학교이면서 다양한 교육과정을 하는 자립형 사립고등학교가 필요하다.
(옆의 표는 해외조기유학현황의 증가에 대한 표이다. 1년사이에 2배가량 증가된것을 알 수 있다.)
4. 고등학교의 서열구조는 대학이 이미 서열구조가 되어있으므로 이것은 불가피 한 것이다.
서열구조강화는 나쁘게만 볼것이 아니다. 이미 대학은 서열체제가 확실하게 되어있는데 중고등학교에서 평준화하는것은 의미가 없다. 중고등학교가 평준화가 되어있기 때문에 서열체제가 있는 대학을 들어가기 위해서 사교육을 받는 것이다. 중3과 고1은 큰 차이가 있다. 중3은 아무런 노력을 안해도 공부잘하는 아이나 못하는아이나 같은 고등학교를 갈수 있지만 고등학교부터는 달라진다. 고3이 되면 점점 치열해 져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미친듯이 공부하는 학생이 많다. 대학이 서열체제가 되어있는 이상 그 하위학교인 고등학교에서의 평준화는 별로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것이 양극화 현상과 사교육비이다.
공교육, 고교평준화일 때에도 사교육비는 초중고 합쳐서 1년에 20조를 쓴다고 한다. 동일성, 평등성을 강조한 공교육, 고교평준화도 사교육비 앞에서는 별로 효과가 없다. KBS 1TV 쌈에서 어떤 학부모는 ‘어떤 교육과정으로 바뀌든 간에 사교육은 없어질 수가 없다고 했다’ 하지만 학교에서 좋은 교과과정을 제공해주고 그것만으로도 대학을 갈 수 있다면 사교육은 지금보다는 줄어 들 것이다. 어짜피 사교육비가 있다면 조금이라도 줄여서, 혹은 줄일 수 없다면 인재 키우는 쪽으로 교육과정을 변화야 한다.
사교육비도 줄이지 못하고 인재도 키우지 못하는 그런교육방식은 이제 바꿔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자립형사립고등학교의 자율성은 인정해 주어야 한다.
Ⅳ. 참고문헌
①http://100.naver.com/100.nhn?docid=784847
②http://100.naver.com/100.nhn?docid=750746
③http://ko.wikipedia.org/wiki/%EC%9E%90%EB%A6%BD%ED%98%95_%EC%82%AC%EB%A6%BD%EA%B3%A0%EB%93%B1%ED%95%99%EA%B5%90
④http://tong.nate.com/techage/13589164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도입에 관한 쟁점토론(2006.03.03 23:38)
⑤kbs 1 tv 시사계획 쌈 (2008년 4월 8일 10시~)
⑥http://blog.naver.com/corsairplay/110000494194
2. 학교의 질이 너무 낮아졌다. 따라서 학교끼리 경쟁을 해서 더 좋은 학교가 있어야 한다.
요즘의 학교에서 생각하는 학생은 모두 다 학원을 다닌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교사들도 가르치는일에 대해 큰 소명감이 없으며, 시험문제 또한 자신이 가르치지도 않은 문제를 낸다고 한다. 물론 그렇게 시험문제를 내도 사교육비를 들여가면서 학원을 다니기 때문에 대부분의 아이는 문제들은 문제를 푼다고 한다. 그래서 요즘 학교의 학습의 질은 최하라고 생각한다. 그러기 때문에 더 좋은 학교를 가기 위해서는 사교육은 불가피하다.
3. 능력에 따라 학교를 선택해서 다니는 것은 불평등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헌법 제 31조에서는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 라고 했다.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사회이다. 가진 돈을 가지고 그 능력에 맞게 좋은 학교, 교육과정이 좋은 학교를 가겠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요즘에는 평준화 되어있어서 상류층자녀들은 해외조기유학을 가거나, 해외대학을 다닌다. 이런 사람들이 나간다는 것은 외화낭비이며, 국가차원에서도 인적자원 낭비이므로 그런 사람들을 교육할 우수한 학교이면서 다양한 교육과정을 하는 자립형 사립고등학교가 필요하다.
(옆의 표는 해외조기유학현황의 증가에 대한 표이다. 1년사이에 2배가량 증가된것을 알 수 있다.)
4. 고등학교의 서열구조는 대학이 이미 서열구조가 되어있으므로 이것은 불가피 한 것이다.
서열구조강화는 나쁘게만 볼것이 아니다. 이미 대학은 서열체제가 확실하게 되어있는데 중고등학교에서 평준화하는것은 의미가 없다. 중고등학교가 평준화가 되어있기 때문에 서열체제가 있는 대학을 들어가기 위해서 사교육을 받는 것이다. 중3과 고1은 큰 차이가 있다. 중3은 아무런 노력을 안해도 공부잘하는 아이나 못하는아이나 같은 고등학교를 갈수 있지만 고등학교부터는 달라진다. 고3이 되면 점점 치열해 져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미친듯이 공부하는 학생이 많다. 대학이 서열체제가 되어있는 이상 그 하위학교인 고등학교에서의 평준화는 별로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것이 양극화 현상과 사교육비이다.
공교육, 고교평준화일 때에도 사교육비는 초중고 합쳐서 1년에 20조를 쓴다고 한다. 동일성, 평등성을 강조한 공교육, 고교평준화도 사교육비 앞에서는 별로 효과가 없다. KBS 1TV 쌈에서 어떤 학부모는 ‘어떤 교육과정으로 바뀌든 간에 사교육은 없어질 수가 없다고 했다’ 하지만 학교에서 좋은 교과과정을 제공해주고 그것만으로도 대학을 갈 수 있다면 사교육은 지금보다는 줄어 들 것이다. 어짜피 사교육비가 있다면 조금이라도 줄여서, 혹은 줄일 수 없다면 인재 키우는 쪽으로 교육과정을 변화야 한다.
사교육비도 줄이지 못하고 인재도 키우지 못하는 그런교육방식은 이제 바꿔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자립형사립고등학교의 자율성은 인정해 주어야 한다.
Ⅳ. 참고문헌
①http://100.naver.com/100.nhn?docid=784847
②http://100.naver.com/100.nhn?docid=750746
③http://ko.wikipedia.org/wiki/%EC%9E%90%EB%A6%BD%ED%98%95_%EC%82%AC%EB%A6%BD%EA%B3%A0%EB%93%B1%ED%95%99%EA%B5%90
④http://tong.nate.com/techage/13589164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도입에 관한 쟁점토론(2006.03.03 23:38)
⑤kbs 1 tv 시사계획 쌈 (2008년 4월 8일 10시~)
⑥http://blog.naver.com/corsairplay/110000494194
추천자료
공교육의 문제점
[실업계고등학교교육과정][실업계학교][실업계]실업계 고등학교의 현황, 문제점에 따른 실업...
실업계고등학교교육 개선의 필요성, 실업계고등학교교육과정의 역사와 실업계고등학교교육과...
[교육학]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과 대책방안[`A+레포트`]
한국사회 다문화가정의 실태,문제점,대안(해결방안)
고등학교 국사과(국사교육) 특성과 목적, 고등학교 국사과(국사교육) 기본방향과 영역별내용,...
고등학교평준화정책(고교평준화제도) 평등이념과 교원인식, 고등학교평준화정책(고교평준화제...
실업계고등학교(실업계고교) 의의와 유형, 실업계고등학교(실업계고교) 목적과 기능, 실업계...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준화제도)의 개념과 변천,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준화제도)의 ...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준화제도)과 하향평준화, 교육선택권,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
실업계고등학교의 유형, 실업계고등학교의 목적, 실업계고등학교의 교육과정운영, 실업계고등...
한국의 학벌 사회, 문제점, 특징, 학벌 문제로 인한 사회문제, 대안, 해결 방안, 경제적 측면...
(사회문제론 A형) 한국 교육의 현재 문제점은 무엇이며 왜 사회문제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