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마무라 쇼헤이 감독
2. 작품 분석
3. 건강한 삶의 모습, 뱀장어의 생명력
4. 작품 내의 다양한 상징성 고찰
5.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
2. 작품 분석
3. 건강한 삶의 모습, 뱀장어의 생명력
4. 작품 내의 다양한 상징성 고찰
5.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
본문내용
도 모르는 아이를 기르게 되었으니. 두고봐, 열심히 기를거다"
(4) 우주인과 대화하기
우주인을 기다리는 그 동네 청년은 외계인과 접촉하기 위해서 거대한 원형 광장에 장치들을 만든다. 외계인을 기다리는 그 청년과 야마시타의 대화. 야마시타 "우주인이 우리와 대화하려 할까?" 청년 "마치 당신처럼요? 당신은 우나기와만 대화를 하지요?" 마음을 닫고 있는 야마시타.
우주인을 기다리는 이 광장에 외계인은 오지 않는다. 그래서 외계인과의 대화는 실패한다. 하지만 광장은 토시마 사건 이후로 경찰서에서 조사를 받고 나온 이 동네 사람들이 축제를 벌이는 장으로 변한다. 결국 이 광장에서 외계인과의 대화는 실패했지만 '또 하나의 외계인'인 야마시타와 세상과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5.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
이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가가 은연중에 표현하고 있는 공동체의 의미가 아닐까 싶다. 특히 토시마 일당이 들이닥쳤을 때 야마시타의 과거를 아는 목수 친구가 야마시타가 사건에 휘말릴까봐 야마시타 대신 토시마 일당을 때리면서 경찰관에서 '이 녀석을 때리는 것은 바로 납니다. 잘 보세요!'하는 장면은 압권이라 생각한다. 여하튼 이 영화에서는 도시화가 이미 거의 다 진행된 사회에서 그래서 옆집에 누가 사는지도 잘 모르는 현실 속에서 공동체의 의미를 다시 되새김하게 해준다. 최근에 우리나라 도시 지역에서도 공동체 운동이 조금씩 생기기 시작했다는데. 과연 이 영화의 메세지가 우리들 가슴에 얼마만큼의 여운을 남길 수 있을까? 우리가 오늘날 잃어버린 것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며 이 감상평을 끝맺고자 한다.
(4) 우주인과 대화하기
우주인을 기다리는 그 동네 청년은 외계인과 접촉하기 위해서 거대한 원형 광장에 장치들을 만든다. 외계인을 기다리는 그 청년과 야마시타의 대화. 야마시타 "우주인이 우리와 대화하려 할까?" 청년 "마치 당신처럼요? 당신은 우나기와만 대화를 하지요?" 마음을 닫고 있는 야마시타.
우주인을 기다리는 이 광장에 외계인은 오지 않는다. 그래서 외계인과의 대화는 실패한다. 하지만 광장은 토시마 사건 이후로 경찰서에서 조사를 받고 나온 이 동네 사람들이 축제를 벌이는 장으로 변한다. 결국 이 광장에서 외계인과의 대화는 실패했지만 '또 하나의 외계인'인 야마시타와 세상과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5.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
이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가가 은연중에 표현하고 있는 공동체의 의미가 아닐까 싶다. 특히 토시마 일당이 들이닥쳤을 때 야마시타의 과거를 아는 목수 친구가 야마시타가 사건에 휘말릴까봐 야마시타 대신 토시마 일당을 때리면서 경찰관에서 '이 녀석을 때리는 것은 바로 납니다. 잘 보세요!'하는 장면은 압권이라 생각한다. 여하튼 이 영화에서는 도시화가 이미 거의 다 진행된 사회에서 그래서 옆집에 누가 사는지도 잘 모르는 현실 속에서 공동체의 의미를 다시 되새김하게 해준다. 최근에 우리나라 도시 지역에서도 공동체 운동이 조금씩 생기기 시작했다는데. 과연 이 영화의 메세지가 우리들 가슴에 얼마만큼의 여운을 남길 수 있을까? 우리가 오늘날 잃어버린 것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며 이 감상평을 끝맺고자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