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헌법상의 보호표현과 비보호표현
2. 사이버공간의 음란규제입법
2. 사이버공간의 음란규제입법
본문내용
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긴 하지만 본문에서는 음란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는 표현”을 처벌하고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판단컨대, 아래에서 살피는 바와 같이 예술표현의 자유와의 관계에서 형사처벌의 대상으로서 그 유통 자체가 전면 금지되는 “음란”개념을 좁게 해석해야 한다고 할 때, 위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는 표현”을 “음란”과 동일시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이 조항이 형법이나 정보통신망법의 조항과는 달리 목적범에 한정하여 처벌하고 있는 것에 비추어 볼 때, 입법자는 음란표현보다는 그 개념범위가 더 넓은 성표현을 규제하고자 한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법조항의 제목과 본문내용이 불일치할 때 법해석의 준거는 본문내용이 우선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사이버공간에서의 폭력행위에대한 법적인 문제
사이버공간에서의 정보침해행위에 대한 법적인 문제
인터넷음란물
인터넷 음란물 규제 찬/반론 - 내용 등급제
사이버 헌법론
인터넷음란물(포르노)
[인터넷][정보인권][온라인]인터넷과 정보인권 심층 분석(인터넷의 보편적 접근권 보장 정책,...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통신기술][정보기술][정보고속도로]정보화사회(정보사회)의 의미...
인터넷 중독의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인터넷 채팅 중독
[저작권침해]저작권침해의 분류, 저작권침해의 실태, 저작권침해의 행위, 저작권침해와 사이...
[저작권침해]저작권침해의 분류, 저작권침해의 실태, 저작권침해의 행위, 저작권침해와 사이...
[저작권침해]저작권침해의 분류, 저작권침해의 실태, 저작권침해의 행위, 저작권침해와 사이...
[학교폭력의이론과실제] 학교폭력school violence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학교폭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