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 : 없음
6) 피부상태 : 특이 소견 없음
7) 식사습관 (편식, 기호식품)
특이 식습관 없음
8) 간염예방접종 여부 (+)
3. 정신, 정서적 행동상태
보호자 (엄마) 명료함
환아 조금 보채고 칭얼거림
4. 소아에 한하여 추가 기록
1) 분만 형태 : N/D
분만시 체중 : 3.1kg
분만 개조한 곳 : local
2) 예방접종
- DPT/소아마비 : (+)
- MMR : (+)
- 간염 : (+)
- BCG : (+)
5. 활력증상
90/60 - 122 - 28 - 38.9
Ht. : 92 cm// BW : 15 Kg
작성일자 : 09. 5. 15 / 16:30
작성자 : 김 정 애
1. Patient Information.
2. 임상검사
진단혈액 및 혈액 응고검사
모든 세부 항목
NORMAL
임상화학검사
Glucose
162 (H)
Akaline phosphatase
524 (H)
CRP
0.871 (H)
요검사
Glucose
+++ (+)
3. 투약
Injection
F5DWNAK 50mGtt
수분전해질공급
및 유지
에너지 공급
대량 투여 시뇌부종, 폐부종
고칼륨혈증
고칼륨혈증
핍뇨, 아디숀병
고질소혈증
IAMTA 2.25 # 3 SI
급·만성 기관지염, 대엽성 및 기관지 폐렴 등에 작용하는 항생제
과민증, 설사,
위장장애
과민증 기왕력자, 전염성 단핵구증 및 림프성백혈병
p.o
PRSY 9cc # 3PC
HDRSY 9cc # 3PC
TLNSY 24cc # 3PC
prn. DBRFSY 5cc 1p.o
(fever 38° 이상 일 때)
항히스타민/항알러지
기침, 감기용제
해열제
Nebulizer
IEPN 5 q12hr
부신호르몬제,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 치료제
날짜
간호사정
간호진단 및 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5.15
~
5.18
주관적 자료
‘아이의 몸이
뜨거워요’
객관적 자료
- BT : 38.9° 측정
- 창백하고 축축한
피부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 단기목표
3시간 후 환아는 정상 체온을 유지한다.
- 장기목표
환아는 38°이상의
고체온을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1. 해열제 투약
- TLNSY과 prn. DBRFSY의 간격을
고려하여 투약
2. Tepid Massage (30분)
3. 구강이나 정맥으로 수분공급
4. 활동 제한
간호수행
1. 입원시 BT 38.9°측정되어 prn. DBRFSY
5cc를 먹인다.
2. 소독대야와 수건을 제공하고
Tepid Massage를 30분정도 하도록 설명 한다.
3. 말초정맥을 유지하고 가능하다면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4. 환아가 울거나 많이 움직이지 않게
자극하지 않는다.
- 친분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환아 를 만지지 않는다.
- 예민한 환아라면 체온 측정을 부모가 하도록 도와준다.
1. 해열제 투약
시상하부의 열 상승 기준점
차단
2. Tepid Massage (30분)
체온의 기준점을 나춘 후 증발 을 통해 열 소실 증가
3. 구강이나 정맥으로 수분공급
발한과 대사증가로 인한 수분
상실 보충
4. 활동 제한
열 생산 감소
- 3시간 후
BT 36.5° 측정.
- BT 38°이상
측정시
간호수행을
다시 반복함.
5.15
~
5.18
주관적 자료
‘아이가 가래 섞인 기침소리가 나고 숨쉬기 힘들어해요’
객관적 자료
- R : 30 회/분
- 노력성 호흡
- 흡기시 천명음(+)
- SpO2 97% 측정
- 가래 섞인 기침
- 보채고 잘 움
간호진단
기침가래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간호목표
3일 후 정상 호흡양상을 유지한다.
- 24 ~ 30 회/분
- SpO2 99~100%
- 천명음과 같은 이상 호흡양상 관찰되지
않음
간호계획
1. 가습기 제공, 산소 공급을 위한 준비
2. 에피네프린 흡입치료
3. 불안감소
간호수행
1. 가습기로 찬 가습을 제공하며 증세가 심 해 질 것을 대비해 산소 공급을 위한 준 비를 한다.
2. Order에 따른 에피네프린 Nebulizer를
한다. - (q12hr)
3. 부모가 곁에 있도록 하며 금기가 아니면
숨쉬기 편한 자세를 취하도록 격려한다.
1. 찬 가습의 제공은 호흡기 분 비물을 묽게 한다.
2. Nebulizer는 호흡기 분비물을 액화시키며 좁아진 상기도를 넓히는 효과도 있다.
3. 비효율적인 호흡양상은 환아
의 불안을 증가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 R : 28회/분
- SpO : 99 %
- 흡기시 천명음
이 감소
- 장난감을 가지 고 놀면서 웃 기도 함
4. 간호과정
6) 피부상태 : 특이 소견 없음
7) 식사습관 (편식, 기호식품)
특이 식습관 없음
8) 간염예방접종 여부 (+)
3. 정신, 정서적 행동상태
보호자 (엄마) 명료함
환아 조금 보채고 칭얼거림
4. 소아에 한하여 추가 기록
1) 분만 형태 : N/D
분만시 체중 : 3.1kg
분만 개조한 곳 : local
2) 예방접종
- DPT/소아마비 : (+)
- MMR : (+)
- 간염 : (+)
- BCG : (+)
5. 활력증상
90/60 - 122 - 28 - 38.9
Ht. : 92 cm// BW : 15 Kg
작성일자 : 09. 5. 15 / 16:30
작성자 : 김 정 애
1. Patient Information.
2. 임상검사
진단혈액 및 혈액 응고검사
모든 세부 항목
NORMAL
임상화학검사
Glucose
162 (H)
Akaline phosphatase
524 (H)
CRP
0.871 (H)
요검사
Glucose
+++ (+)
3. 투약
Injection
F5DWNAK 50mGtt
수분전해질공급
및 유지
에너지 공급
대량 투여 시뇌부종, 폐부종
고칼륨혈증
고칼륨혈증
핍뇨, 아디숀병
고질소혈증
IAMTA 2.25 # 3 SI
급·만성 기관지염, 대엽성 및 기관지 폐렴 등에 작용하는 항생제
과민증, 설사,
위장장애
과민증 기왕력자, 전염성 단핵구증 및 림프성백혈병
p.o
PRSY 9cc # 3PC
HDRSY 9cc # 3PC
TLNSY 24cc # 3PC
prn. DBRFSY 5cc 1p.o
(fever 38° 이상 일 때)
항히스타민/항알러지
기침, 감기용제
해열제
Nebulizer
IEPN 5 q12hr
부신호르몬제,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 치료제
날짜
간호사정
간호진단 및 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5.15
~
5.18
주관적 자료
‘아이의 몸이
뜨거워요’
객관적 자료
- BT : 38.9° 측정
- 창백하고 축축한
피부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 단기목표
3시간 후 환아는 정상 체온을 유지한다.
- 장기목표
환아는 38°이상의
고체온을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1. 해열제 투약
- TLNSY과 prn. DBRFSY의 간격을
고려하여 투약
2. Tepid Massage (30분)
3. 구강이나 정맥으로 수분공급
4. 활동 제한
간호수행
1. 입원시 BT 38.9°측정되어 prn. DBRFSY
5cc를 먹인다.
2. 소독대야와 수건을 제공하고
Tepid Massage를 30분정도 하도록 설명 한다.
3. 말초정맥을 유지하고 가능하다면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4. 환아가 울거나 많이 움직이지 않게
자극하지 않는다.
- 친분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환아 를 만지지 않는다.
- 예민한 환아라면 체온 측정을 부모가 하도록 도와준다.
1. 해열제 투약
시상하부의 열 상승 기준점
차단
2. Tepid Massage (30분)
체온의 기준점을 나춘 후 증발 을 통해 열 소실 증가
3. 구강이나 정맥으로 수분공급
발한과 대사증가로 인한 수분
상실 보충
4. 활동 제한
열 생산 감소
- 3시간 후
BT 36.5° 측정.
- BT 38°이상
측정시
간호수행을
다시 반복함.
5.15
~
5.18
주관적 자료
‘아이가 가래 섞인 기침소리가 나고 숨쉬기 힘들어해요’
객관적 자료
- R : 30 회/분
- 노력성 호흡
- 흡기시 천명음(+)
- SpO2 97% 측정
- 가래 섞인 기침
- 보채고 잘 움
간호진단
기침가래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간호목표
3일 후 정상 호흡양상을 유지한다.
- 24 ~ 30 회/분
- SpO2 99~100%
- 천명음과 같은 이상 호흡양상 관찰되지
않음
간호계획
1. 가습기 제공, 산소 공급을 위한 준비
2. 에피네프린 흡입치료
3. 불안감소
간호수행
1. 가습기로 찬 가습을 제공하며 증세가 심 해 질 것을 대비해 산소 공급을 위한 준 비를 한다.
2. Order에 따른 에피네프린 Nebulizer를
한다. - (q12hr)
3. 부모가 곁에 있도록 하며 금기가 아니면
숨쉬기 편한 자세를 취하도록 격려한다.
1. 찬 가습의 제공은 호흡기 분 비물을 묽게 한다.
2. Nebulizer는 호흡기 분비물을 액화시키며 좁아진 상기도를 넓히는 효과도 있다.
3. 비효율적인 호흡양상은 환아
의 불안을 증가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 R : 28회/분
- SpO : 99 %
- 흡기시 천명음
이 감소
- 장난감을 가지 고 놀면서 웃 기도 함
4. 간호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