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up 증후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roup 증후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헌 고찰

2. 간호력

3. 진단 검사

4. medication

5. 간호 진단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등의 증상이 호전되어 중단하고 보스민만 흡입함
5. 간호 과정
1. 기도폐쇄로 인한 잠재적 질식
①사정
주관적 자료 : “아이가 많이 보채고 예민하네요..”
“잘 먹지 못해요”
“기침을 심하게 할땐 애가 파랗게 질려요”
“잘 때 뒤척이고 잠을 잘 못자네요”
객관적 자료 : 거친 숨소리가 들린다
흡기시 수포음이 들린다
숨을쉴때 코를 벌렁거린다
RR : 40회/분으로 약간빠름
내원당일 결과
정맥혈 정상치
PO2
30.4
25-40 mmHg
O2 Saturation
57.5%
40-70
PR : 128회/분
산소 수치는 정상에서 벗어나지 않아
호흡곤란이 그리 심하지 않다는걸 알수 있다.
②간호진단
·기도폐쇄로 인한 잠재적 질식
③기대되는 결과
·호흡시 코를 벌렁거리거나 흉벽의 함몰 없이 편하게 호흡 한다
·호흡수가 22-31회/분으로 유지된다
·아이가 보채거나 울지 않고 잠을 편하게 잔다
· PO2 와O2 Saturation이 계속 정상으로 유지된다
·환아와 가족은 불안해 하지 않는다
·거친 숨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④수행
수행
이론적 근거
처방대로 2L의 산소를 투여한다
환아는 호흡이 어려워 불안할수 있으
며 산소는 저산소증을 완화/예방
하므로써 불안을 완화시킬수 있다.
찬공기10-15분 쐬게 한다
차가운 밤공기를 쏘이면 후두경련이 완화될수 있다
구토를 예방하고
너무 빨리 먹지 않도록 한다
구토시 흡인의 위험성이 있고
호흡이 어려울때 너무 빨리 먹어도 흡인의 위험이 증가하여 호흡곤란을 가중시키므로 조금씩 천천히 먹도록 한다
낮익은 장난감등의 물건을 주거나
부모를 항상곁에 있게 하여 아동의 불안을 감소시키고,울지 않도록 한다
간호수행시 아동은 간호사의 옷만보면 우는데 울면 산소의 요구량이 증가하고 분비물이 기도를 막아 호흡곤란을 가중시킬수 있다
체위배액및 percusion 을 적당히
취한다
타격으로 인해 가래를 기도점막에서 떨어지게 하고, 중력으로 인해 가래를 입으로 배출하여 호흡양상을 호전시킬수 있으나, 지나친 행위는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주어 호흡곤란을 가중시킬수 있다
네뷸라이져
처방대로 약물이 섞인 습기를 호흡함으로써 성문하의 부종을 감소시키고
기관지를 확장 시키고,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할수 있다
계속적인 사정
(활력징후는 6시간마다 측정하고
특히 호흡수는 2시간마다 측정하며
O2 Saturation을 관찰한다)
호흡수, 맥박수, 흉부 함몰, 비익확장, 불안정등은 기도 폐쇄의 조기 증상으로 계속적인 변화를 관찰해야함/
심한 호흡곤란이 있을 경우 기관절개술이나 기관내 삽관등이 행해질수 있으므로 관찰을 게을리 해서는 안됨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아톡은 호흡을 이완시키고
프로스판은 기침·염증을 감소시킨다
앉을수 있으므로 반좌위를 취해준다
반좌위는 흉곽을 넓혀주어 호흡을 촉진시킬수 있다
⑤ 평가(5월 2일 퇴원시)
·호흡을 편하게 한다
·활력징후: 혈압90/60, 체온36.6℃, 맥박95, 호흡 26회로 정상이다
·아이가 보채거나 울지 않고 잠을 편하게 잔다
· PO2 와O2 Saturation이 계속 정상으로 유지된다
·환아와 가족은 불안해 하지 않는다
·코를 벌렁거리지 않고 거친 숨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기도의 부종으로 인한 쉰 목소리가 사라졌다.
2. 발열로 인한 체액손실 위험성
식욕부진으로 인한 영양결핍
(둘은 사정과 수행이 비슷하므로 함께 취급했음)
①사정
주관적 자료 : “몇일전부터 계속 체온이 38℃를 왔다갔다 했어요”
“아이가 입맛이 없는지 잘 먹지 못해요”
객관적 자료 : 체온은 37℃로 미온이 있다
②간호진단
·발열로 인한 체액손실 위험성
·식욕부진으로 인한 영양결핍
③기대되는 결과
·체온이 정상치에 있고 간헐적 발열이 나타나지 않는다
·탈수정도를 알 수 있는 요 비중이 정상이다 (SG 1.005-1.030)
·음식을 잘 먹는다.
수행
이론적 근거
적절하고 충분한 수분공급을 해준다(구강 섭취, 정맥내 수액)
소변의 비중을 측정(SG)
공급하나탈수상태를 사정하기 위해
해열제를 투여
발열이 있을 경우 체표면으로 수분의 증발량이 증가
맛있어 하는 음식을 먹게 하고 소량씩 자주 준다
소량씩 주어 급히 먹었을때의 흡인가능성을 줄인다
금식이 필요하기도 하다
급성기에는 흡인의 위험이 있으므로
피부와 점막을 관찰
틸수 증상(건조, 갈라짐)등을 사정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아준다
물이 피부의 열과함께 증발된다
배를 제외한 부분을 벗겨놓아 체온하강을 유도한다
위장계는 자극에 민감하다
체온은 2시간마다 잰다
짧은 시간동안의 체온의 변화를 파악하고, 체온상승시 빠른 처치를 위해
④ 수행
⑤평가 (5월2일 퇴원시)
·5월 1일에 소변을 분석한 결과 (SG 1.010) 로 정상으로
탈수되지 않음
·체온은 36.6℃로 정상범위이다
·4월 30일에 측정한 lab결과중 총단백6.1g/dl, 알부민3.8g/dl수치가 정상인것으로보다 영양결핍은 보이지 않는다.
·음식을 잘먹고, 혼자서 잘 논다(기운이 있어보인다)
3.이외의 간호중재
· 에너지 보존을 위해 휴식을 하도록 한다
(호흡이 어려운 경우 과잉에너지소모를 하므로 휴식·심리적 안정을 취하여 에너지 보존을 해줘야 한다, )
· 가족의 교육을한다
(불안한 가족을 위해 환아의 상태와 치료에 이해를 돕고
환아의 건강 회복을 위한 가족의 적극적 참여를 돕기위해)
6. 참고 문헌
1. 소아가정의학 백과, 이상원 저, 서문당,
1998년 7월 1일 발행 267~272page
2. 아동간호학(Ⅱ), 김미예 외, 수문사,
1996년 1월 25일 제2판 발행
3. 개정증보 아동간호학(下), 홍경자 외, 수문사,
1993년 7월 25일
4.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sigma theta Tau Lambda, Alpa Chapter - At - Large,
현문사, 7판1쇄발행 2003년3월15일, 1994~2007page
5. 의학간호학대사전,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현문사, 초판 2쇄 발행 2004년2월25일,
493 page
6. 그림참고
http://mcn.healthis.org/breath/breath2.htm
7.이론적 근거
기본간호학 (상)&(하), 손영희 외, 현문사,
2003년 2월 25일 3판발행,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04.26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