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과 발전의 상관관계(세계화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복과 발전의 상관관계(세계화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세계화의 본질
(1) 세계화의 사전적 의미
(2) 발전과 세계화의 이면
(3) 세계화와 발전이 우리에게 건네주는 것

3. 발전과 행복의 상관관계

4. 나오며: 발전과 세계화에 대한 하나의 대안

5. 참고자료

본문내용

느 정도의 물질적인 바탕은 필요하겠지만 이 ‘발전’이라는 것이 인간에게 행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4. 나오며: 발전과 세계화에 대한 하나의 대안
현재도 세계화는 진행되고 있고 우리는 분명 물질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전이나 세계화의 조류를 거꾸로 돌린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일일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만 할 것인가? 바로 우리들, 즉 80에 속하는 사람들의 지각과 역할이 중요하다. 80의 사람들은 적당히 주는 음식을 받아먹기만 해서는 안 된다. 80 중 일부는 제공되는 음식을 받아먹는 것이 더 이익이라고 판단할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나름대로의 이익추구를 위해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할 것이다. 20세기 말부터 오늘날까지 각종 시민단체의 활발한 활동은 80의 움직임이라고 볼 수 있다. 과거 세계화를 반대하며 전 세계에서 몰려든 농민들의 집회는 80의 움직임이 얼마나 강력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한 예이다. 우리나라의 ‘소액주주운동’을 통하여 거대 자본의 움직임을 통제하려는 시도 또한 80의 현명한 움직임이라고 본다. 또한 대규모 자본의 투자에 의해 기계화된 공정을 통해 규격화되어 뽑아져 나온 패스트푸드를 반대하고 천연 농산물을 이용하여 충분한 시간을 갖고 조리한 음식을 즐기자는 슬로푸드 운동과 과도한 개발을 지양하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녹색연합 등의 환경단체들의 운동도 좋은 예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토플러가 이야기한 정보화 시대가 도래했다고 ‘제3의 물결’이 구절마다 실현된 것은 아니다. 조지오웰이 예측한 미디어 감시의 시대가 온 듯도 하지만 1984년 당시에는 아직 멀기만 한 이야기였다. 현재도 80의 영향력을 간과한 각종 저서들이 세계적 석학들의 이름을 달고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리고 이는 모두가 20의 관점에서 바라본 세계관을 보여준다. 이들을 세계적 석학으로 만드느냐, 아니면 쓰레기들이나 쏟아내는 넝마주의자들로 만드느냐는 하는 것은 신기루를 눈에 덮어쓰고 있는 우리 80들의 행동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는 분명 진정한 ‘행복’에 다가가고자 하는 우리들의 첫걸음이 될 것이다.
5. 참고자료
올리버 트위스트 (Twist, 2003)
세계화의 덫 (공저 한스페터 마르틴, 하랄트 슈만)
세계화의 도전과 한국의 대응 (공저 김경원, 임현진)
강상구 2000 「신자유주의의 역사와 진실」문화과학사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8.1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1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