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전도도 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열전도도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결과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분에 두어 실험기기를 어느 정도 까지 식혔는데 여기서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를 로 나누고, 를 로 나누어 증기가 발생하기 전후의 와 R을 구하고 에서 R을 빼서 를 구한 것이 표6과 같다.
표6. 시간에 따른 녹은 질량의 비율 계산
Substance
Masonite
0.003667
0.096042
0.092375
Wood(Pine)
0.023509
0.041667
0.018158
Lexan
0.021
0.057037
0.036037
Sheet Rock
0.035167
0.05
0.014833
Glass
0.0195
0.033833
0.014333
3)열전도도 계산
얼음이 녹을 때 매질이 받는 열전도도 계산은 온도차에 의한 얼음의 순수용융속도 와 용융잠열은 80cal/g을 곱하여 시간당 용융열을 구하고 0°C 얼음과 100°C 수증기 사이의 온도 차이()는 100인 것과 단면적 A, 두께 h를 이용해 구하는 매질의 전도도는 아래와 같다.
, [ ]
이 식을 이용해 매질의 열전도도를 계산하여 이론값과 비교해 보면 표7 과 같다.
표7. 매질의 전도도(실험값)와 표1과 비교한 오차
Substance
오차(백분율)
Masonite
1.13 x
-4.30358
Wood (Pine)
206 - 3.3 x
39.199607
Lexan
4.6 x
17.547275
Sheet Rock
10.3 x
86.053386
Glass
20.6 x
61.147357
시트락은 pasco의 실험 메뉴얼에서 오차가 클 거라고 한 것처럼 크고 메소나이트 값도 pasco의 예상처럼 다소 이상한 값이 나왔다.그 외의 매질은 30 - 60/% 의 다양한 오차[100-(측정값/이론값)*100]를 가졌다.
Ⅳ 결론 및 제언
본 실험에서 열의 전도도를 측정했는데 한번에 여러 개를 측정하여 측정시간도 많이 걸렸고 여러 번 해볼 시간이 없어서 오차를 줄이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열전도도에 대한 잘 갖추어진 장비라 두 매질 정도 측정하면 적당할 것 같다. 이것을 물리교육에 활용하려면 얼음을 얼린 다음에 나름 측정값이 큰 유리를
이용해 측정이 가능할 것 같고 고등학교나 과학 고등학교에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 같고 중학교 과정에서는 현상적으로 일정한 시간동안 스팀을 가해서 매질이 다를 때 전도도가 달라서 매질에 따라 얼음의 녹는 양이 달라지므로 어떤 매질이 전도도가 높고 어떤 매질이 전도도가 낮은지 순위를 매기는 것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8.15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3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