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리게 하는 약물 투여
- Digitalis : 0.25-0.50mg
- Verapamil : 5-10mg을 2분에 걸쳐 IVs
- Procainamide 또는 Quinidine 투약
④ 환자가 증상이 심하거나 HR 감소시키는 것에 실패한 경우,
synchronized cardioversion이 필요할 수 있음!
3) Atrial flutter(AF)
: 심방내 과민한 ectopic focus에서 빠르고 규익적인 자극이 만들어 지는 것.
이러한 심방성 전기자극 중 많은 수는 AV node에서 차단되어 심실까지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심방과 심실간의 박동수의 차이가 생김.
심방의 자극생성은 심전도상 "톱니"모양의 기준선을 나타냄.
☆ 특징 ☆
- 횟수 : HR 250-350회/분 이상
- 심실리듬 : 규칙적/불규칙적
- P wave : 톱니모양이 특징적!!
- P wave/QRS 관계 : 관계 있음.
▶ HR을 감소시키거나 정상 동성리듬으로의 전환.
① 산소흡입
② 정맥주사 경로 확보
③ 약물투여
- Digitalis : 0.25-0.50mg
- Beta blocker
- Verapamil
- Procainamide 또는 Quinidine 투약
④ 정상리듬 전환에 실패한 경우,synchronized cardioversion 시행
QRS파 이상
: 정상적인 QRS파 사이에 비정상적이 QRS파가 관찰되는 경우
1)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PVC, VPB)
: 넓고 이상한 모양의 QRS 복합체를 나타냄.
☆ 특징 ☆
- 횟수 : HR 60-100회/분
- 심실리듬 : 불규칙적,
- P wave : 존재(sinus 파), 없음(VPB)
- P wave/QRS 관계 : VPB에는 진행되는 P wave 없음!
- QRS : 동일형태, VPB는 모양이 단일 형태 또는 다양한 형태를 보일 수 있으며 0.12 sec 이상!
☆ 치료가 필요한 경우! ☆
- 분당 6개 이상 발생한 경우
- 다양한 형태의 VPB
- 3연속 이상의 VPB
- 심근경색 후 나타나는 VPB
- R on T 현상(선행 T wave 위에 생긴 VPB)
- 흉통을 동반한 VPB
▶ 치료
① 산소흡입
② 전해질 불균형이 있는 경우 교정필요!
: 저칼륨혈증 또는 저마그네슘혈증
③ 약물투여
- Lidocaine : 1-1.5mg/kg(max 3mg/kg)
- Procainamide(pronestyl) : 10-15mg/kg를 20-30mg/min속도로
- Bredylium tosylate(Bretylol) : 5mg/kg IVs 후 IV 점적 투여
D5W 500ml에 500mg을 섞어서 1-2mg/min으로 주입
④ 심실성부정맥
: 정상적인 QRS파가 관찰되지 않는 심전도로 심실이 과민해지거나 전도장애로 인해 심실수축을 위한 전기적 활동이 심실에서 시작이 되는 경우 발생함.
: 불충분한 심실충만과 기계적인 수축력 감소로 1회박출량 감소
1) Venticular tachycardia(V-tac)
: 3개 또는 그 이상의 VPB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것. ectopic focus가 연이어 빠른 속도로 흥분하여 빠르고 규칙적이며 넓은 모양의 QRS를 만듦. V-fib으로 가는 전조!!!
* 30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지속성 V-tac
* 30초 이내에 끝나는 경우 : 비지속성 V-tac
☆ 특징 ☆
- 횟수 : HR 100-250회/분
- 심실리듬 : 규칙적
- P wave : 없음
- P wave/QRS 관계 : 관련없음
- QRS : 0.12 sec 이상, 모양이상
▶ 최대한 신속하게 처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2) Ventricular fibrillation(V-fib)
: 조직화된 전지적 활동이 전혀 없음. 심실은 수축이 되지 않으므로 심박출이 이루어지지 않음.
이는 심정지 환자에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부정맥!! V-fib이 관찰되면 즉시 제세동을 시행해야 함.
☆ 특징 ☆
- 횟수 : 측정불가
- 심실리듬 : 무질서, 불규칙적
- P wave : 없음
- P wave/QRS 관계 : 관련없음
- QRS : 없음, 기준선의 파동이 있음
▶ 처치는 적절한 심박출량을 가질수 있는 조직화된 심장리듬이 돌아오도록 하는 방향으로 시행! 최대한 빨리 시작되어야 하며
ACLS 지침에 따라 행해야 함!!!!
3) Asystole
⑤ 방실성부정맥
1) Junctional rhythm
: 동방결절에서의 자극생성이 안되거나 느려질 경우 junctional pacemaker가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됨.
P wave 보이지 않거나 변형 됨.
2) First degree heart block
: PR 간격이 0.20 sec 이상(P wave 시작점-QRS 시작점).
동방결절로부터 방실결절에 이르는 전기적 전도기 지연되는 것.
단! P-QRS-T의 순서가 정상이면서 PR 간격만 길어지는 것!!
☆ 원인 ☆
- 저칼륨혈증 - 심근허혈
- vagal tone 증가 - 디지털리스 독성
- 전도계 질환
3) Second degree heart block(Morbiz type I)
: PR 간격이 점차 길어지다가 마침내 심실로의 전도가 차단되는 형태가 주지적으로 발생.
전도장애가 있은 다음에는 PR 간격이 정상적으로 돌아왔다가 다시 반복 됨.
4) Second degree heart block(Morbitz type 2)
: 전도가 된 sinus impulse나 전도가 안 된 sinus impulse 모두 일정하게 발생이 되어 심방 박동수가 규칙적이며 심실 박동수에 비해 빠름.
: 하나의 정상적인 P-QRS-T 를 구성하다가 어느 한 P wave가 전도되는데 실패하여 QRS파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 각각 반복적인 Morbitz 시리즈는 보통 P:QRS의 비를 일관되게 3:1, 4:1, 5:1로 갖음.
5) Third degree heart block
: 심방과 심실간의 전기적 활동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음. 동방결절 또는 심방의 전기자극이 분당 60-100회로 규칙적으로 발생하나 AV node에서 차단되어 심실로 전혀 전도가 일어나지 않음.
EKG
제출일:2009.8.17
작성자:전서영
- Digitalis : 0.25-0.50mg
- Verapamil : 5-10mg을 2분에 걸쳐 IVs
- Procainamide 또는 Quinidine 투약
④ 환자가 증상이 심하거나 HR 감소시키는 것에 실패한 경우,
synchronized cardioversion이 필요할 수 있음!
3) Atrial flutter(AF)
: 심방내 과민한 ectopic focus에서 빠르고 규익적인 자극이 만들어 지는 것.
이러한 심방성 전기자극 중 많은 수는 AV node에서 차단되어 심실까지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심방과 심실간의 박동수의 차이가 생김.
심방의 자극생성은 심전도상 "톱니"모양의 기준선을 나타냄.
☆ 특징 ☆
- 횟수 : HR 250-350회/분 이상
- 심실리듬 : 규칙적/불규칙적
- P wave : 톱니모양이 특징적!!
- P wave/QRS 관계 : 관계 있음.
▶ HR을 감소시키거나 정상 동성리듬으로의 전환.
① 산소흡입
② 정맥주사 경로 확보
③ 약물투여
- Digitalis : 0.25-0.50mg
- Beta blocker
- Verapamil
- Procainamide 또는 Quinidine 투약
④ 정상리듬 전환에 실패한 경우,synchronized cardioversion 시행
QRS파 이상
: 정상적인 QRS파 사이에 비정상적이 QRS파가 관찰되는 경우
1)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PVC, VPB)
: 넓고 이상한 모양의 QRS 복합체를 나타냄.
☆ 특징 ☆
- 횟수 : HR 60-100회/분
- 심실리듬 : 불규칙적,
- P wave : 존재(sinus 파), 없음(VPB)
- P wave/QRS 관계 : VPB에는 진행되는 P wave 없음!
- QRS : 동일형태, VPB는 모양이 단일 형태 또는 다양한 형태를 보일 수 있으며 0.12 sec 이상!
☆ 치료가 필요한 경우! ☆
- 분당 6개 이상 발생한 경우
- 다양한 형태의 VPB
- 3연속 이상의 VPB
- 심근경색 후 나타나는 VPB
- R on T 현상(선행 T wave 위에 생긴 VPB)
- 흉통을 동반한 VPB
▶ 치료
① 산소흡입
② 전해질 불균형이 있는 경우 교정필요!
: 저칼륨혈증 또는 저마그네슘혈증
③ 약물투여
- Lidocaine : 1-1.5mg/kg(max 3mg/kg)
- Procainamide(pronestyl) : 10-15mg/kg를 20-30mg/min속도로
- Bredylium tosylate(Bretylol) : 5mg/kg IVs 후 IV 점적 투여
D5W 500ml에 500mg을 섞어서 1-2mg/min으로 주입
④ 심실성부정맥
: 정상적인 QRS파가 관찰되지 않는 심전도로 심실이 과민해지거나 전도장애로 인해 심실수축을 위한 전기적 활동이 심실에서 시작이 되는 경우 발생함.
: 불충분한 심실충만과 기계적인 수축력 감소로 1회박출량 감소
1) Venticular tachycardia(V-tac)
: 3개 또는 그 이상의 VPB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것. ectopic focus가 연이어 빠른 속도로 흥분하여 빠르고 규칙적이며 넓은 모양의 QRS를 만듦. V-fib으로 가는 전조!!!
* 30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지속성 V-tac
* 30초 이내에 끝나는 경우 : 비지속성 V-tac
☆ 특징 ☆
- 횟수 : HR 100-250회/분
- 심실리듬 : 규칙적
- P wave : 없음
- P wave/QRS 관계 : 관련없음
- QRS : 0.12 sec 이상, 모양이상
▶ 최대한 신속하게 처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2) Ventricular fibrillation(V-fib)
: 조직화된 전지적 활동이 전혀 없음. 심실은 수축이 되지 않으므로 심박출이 이루어지지 않음.
이는 심정지 환자에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부정맥!! V-fib이 관찰되면 즉시 제세동을 시행해야 함.
☆ 특징 ☆
- 횟수 : 측정불가
- 심실리듬 : 무질서, 불규칙적
- P wave : 없음
- P wave/QRS 관계 : 관련없음
- QRS : 없음, 기준선의 파동이 있음
▶ 처치는 적절한 심박출량을 가질수 있는 조직화된 심장리듬이 돌아오도록 하는 방향으로 시행! 최대한 빨리 시작되어야 하며
ACLS 지침에 따라 행해야 함!!!!
3) Asystole
⑤ 방실성부정맥
1) Junctional rhythm
: 동방결절에서의 자극생성이 안되거나 느려질 경우 junctional pacemaker가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됨.
P wave 보이지 않거나 변형 됨.
2) First degree heart block
: PR 간격이 0.20 sec 이상(P wave 시작점-QRS 시작점).
동방결절로부터 방실결절에 이르는 전기적 전도기 지연되는 것.
단! P-QRS-T의 순서가 정상이면서 PR 간격만 길어지는 것!!
☆ 원인 ☆
- 저칼륨혈증 - 심근허혈
- vagal tone 증가 - 디지털리스 독성
- 전도계 질환
3) Second degree heart block(Morbiz type I)
: PR 간격이 점차 길어지다가 마침내 심실로의 전도가 차단되는 형태가 주지적으로 발생.
전도장애가 있은 다음에는 PR 간격이 정상적으로 돌아왔다가 다시 반복 됨.
4) Second degree heart block(Morbitz type 2)
: 전도가 된 sinus impulse나 전도가 안 된 sinus impulse 모두 일정하게 발생이 되어 심방 박동수가 규칙적이며 심실 박동수에 비해 빠름.
: 하나의 정상적인 P-QRS-T 를 구성하다가 어느 한 P wave가 전도되는데 실패하여 QRS파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 각각 반복적인 Morbitz 시리즈는 보통 P:QRS의 비를 일관되게 3:1, 4:1, 5:1로 갖음.
5) Third degree heart block
: 심방과 심실간의 전기적 활동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음. 동방결절 또는 심방의 전기자극이 분당 60-100회로 규칙적으로 발생하나 AV node에서 차단되어 심실로 전혀 전도가 일어나지 않음.
EKG
제출일:2009.8.17
작성자:전서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