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정치참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논문요약

1. 서 론

2. 한국 여성 참정의 역사

3. 여성의 정치참여의 어려움

4. 여성의 정치참여 필요성

5. 여성의 정치참여의 활성화 방법

6.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7대 국회에서 여성국회의원이 14% 세계 189개국 중 81%
은 계속 늘고 있지만 정당정책의 결정과 집행에 직접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당직자의 경우 고위직으로 올라갈수록 여성비율이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리고 정당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소수의 여성들조차도 주로 여성관련부서에 국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권력의 핵심과는 거리가 먼 부서에 배치되어 일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정치참여가 활발히 이루어 져야한다. 여성의 정치적 참여를 유도하기위해 정치참여교육,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지원, 제도적 보완, 정책 개발 등의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 되어야 한다.
정치참여교육
여성의 정치적 역량을 기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교육이다. 교육은 제도권에서 성 평등이나 여성의 공적생활 등에 대한 교육이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또 제도권 교육 외에 여성들을 대상으로 정치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정치적 소양을 키워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교육은 일반적인 시민의식을 높이는 교육뿐만 아니라 단계를 나누어 선거를 도울 수 있는 자원봉사자를 키워내는 교육, 더 나아가서는 실제 입후보하는 여성 정치인을 길러내는 교육으로 나누어진다. 이 외에도 여성들은 의정감시단 활동도 유군자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정치에 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여성 활동이다. 유권자의 역할은 선거가 있을 때 대표를 선출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선출된 대표들이 의정활동을 제대로 수행하는가에 대한 감시활동도 포함된다. 여성들의 의정감시는 주부들의 중심으로 지방의회에 대한 의정감시를 주로하며 최근에는 각 의회가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으므로 사이버 상에서의 의정감시활동 참여연대 하이강릉 울산시민 연대 등등.
도 병행되고 있다. 이 의정감시활동은 의원들에게 경각심을 주도록 하는 역할 외에 여성들에게 의정활동에 대한 기본 지식과 아울러 정치현장에 보다 가깝게 가도록 하여 관심을 일깨우는 역할도 한다.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지원
소비자보호운동, 환경보호운동, 지역사회활동, 자원봉사활동 등에 이르는 다양한 시민운동을 통해 사회문제를 개인적인 차원이 아닌 사회구조적인 차원에서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이 엘리트 여성뿐 아니라 일반대중에게도 확산되도록 노력해야한다. 또한 시민운동은 여성들로 하여금 민간지도자를 역량을 쌓아 갈 수 있는 좋은 터전을 제공해야하며, 여성들은 시민운동을 통해서 일정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그 힘을 조직화 해야한다.
제도적 보완
여성이 정치에 진입하는데 가장 필요한 제도적 보완책은 이미 서구여성들의 정치 참여 경로를 통해서 입증된 여성할당제 일정 인원을 법률 및 정부규제에 의해 여성에게 배분하는 제도.
를 규정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선거제도, 선거자금, 정당공천의 문제를 해결해야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양당제도아래 소선거구제가 시행되고 있으면서 당 조직에서 지구당 위원장이 막대한 영향력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제도 아래에서 여성이 정치에 진출하는 것은 굉장한 어려움이 있다. 선거자금의 문제 역시 여성 후보들은 독자적인 사업을 하는 경우가 아닌 한 남편이나 친척의 도움 없이는 그 한계가 뚜렷하다. 정당의 공천문제는 우리나라 정당의 파벌적이고 계보적인 상황과 맞물려 있어서 더욱 복잡하며, 여성후보를 당선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공천하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여성후보가 당선되는 경우는 드물다.
Ⅵ. 결 론
전 세계는 지금 바야흐로 우먼파워의 시대가 도달했다. 필리핀, 독일, 뉴질랜드 등 많은 국가에서 여성이 대통령 라트비아 대통령 : 비케-프라이베르가 / 1999년 집권, 2003년 재선
필리핀 대통령 :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 2001년 당선, 2004년 재선
아일랜드 대통령 : 메리 매컬리스/1997년 당선, 2004년 재선
모잠비크 총리 : 루이사 디오구 / 2004년 집권
라이베리아 대통령 : 엘런 존슨 설리프 / 2005년 선출
뉴질랜드 총리 : 헬렌 클라크 / 2000년 선출, 2005년 3선 성공
독일 대통령 : 앙겔라 메르켈 / 2005년 집권
핀란드 대통령 : 타르야 할로넨 / 2000년 당선, 2006년 재선
칠레 대통령 : 미첼 바첼렛 / 2006년 집권
자메이카 총리 : 포샤 심프슨밀러 / 2006년 집권
으로써 국가를 지휘하고 있고 민주주의의 상장인 미국에서도 여성이 대통령 후보에 출마하는 등 여성의 정치참여가 굉장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본다면 여성의 정치 참여도 수준은 기초단계라고 볼 수 있다. 한국의 오랫동안 지속된 가부장적제도와 정부구조의 문제로 인한 여성의 힘은 지금에서야 약간씩 그 힘을 회복해가고 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시작하는 단계이다 아직 많은 어려움이 있고 보이지 않는 차별이 누누이 존재하고 있는 현실이다. 한국은 건국초기부터 민주화와 싸워왔다. 그 결과 독재정권이 쇠퇴하고 민중의 힘을 실을 수 있는 민주화 시대의 과정이 진행 중이다. 여성의 참정권의 확대는 민주화 과정 중 빠질 수 없는 핵심사한이다. 또한 정치부패와 정치남용으로 인해 잃어버린 국민의 신뢰를 새로운 여성의 참정으로 더욱 깨끗하고 청렴한 정치의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는 단기적인 사업이 아니다. 장기적이고 또 사회가 민주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때 이루어 질수 있는 일이다.
참고 문헌
서울특별시 여성가족 홈페이지:http://women.seoul.go.kr/v2008/index.html
가우리학문공동체:http://cafe.naver.com/gaury
네이버 블로그 자유인: http://blog.naver.com/jsw4728?Redirect=Log&logNo=49788728
네이버카페 무한도전유세단 :http://cafe.naver.com/kjh791215
네이버카페 평생교육 실천포럼: http://cafe.naver.com/lifelong
네이버지식인: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6&dir_id=61501&eid=YjTTC2UEowemkc/y3dyTh3MIDIaJkZnu&qb=x9GxucDHIL+pvLq/7rW/IL+qu+c=
네이버 백과사전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8.26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4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