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 대통령 우남 이승만의 재평가와 과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논문요약

1. 서 론

2. 이승만은 누구인가?

3. 이승만의 과오와 재평가

4.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젠하워 미 대통령의 특사 로버트슨 및 덜레스 국무장관과의 연이은 협상 끝에―미국이 추구하는 휴전을 묵인하는 대가로―미국으로부터 일종의 공수동맹, 즉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내는 데 성공했다. 1953년 10월 1일에 조인되고 1954년 11월 18일부터 발효된 이 조약의 체결로 대한민국은 적어도 형식상 미국의 ‘허수아비 국가’가 아닌 미국과 동등한 조약 상대국이 되었으며 나아가 미국의 군사적 보호막 아래 경제·군사·정치·문화 등 모든 면에서 전례 없는 발전을 추구할 수 있게 되었다.
Ⅳ 결 론
이승만에 대한 평가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누가 옳다느니 그건 옳지 않다느니 등의 말 들은 옳지 못한 것 같다. 누가 옳고 그름을 따지기보다 이승만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있어야 할 것이다. 우남 이승만 박사가 우리나라의 초대 대통령임은 부인 할 수 없는 사실이며, 그가 첫 단추를 끼웠기 때문에 역사의 관심과 주목을 받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관심과 주목을 받는 만큼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평가들은 한 쪽에 치우친 평가들로써 이승만을 부정적인 인물로 보는 평가들이며 이로 인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물론이요 외국의 많은 사람들도 이러한 영향을 받고 있다. 이승만에 대한 나의 평가를 끝으로 이글을 마치려고 한다. 이승만이 자신의 권력욕 때문에 돌이킬 수 없는 역사적 과오를 저지른 것은 사실이며 비판 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그러한 과오 때문에 자신이 이룬 성과물들이 역사 속으로 묻히는 일이 안타깝기 그지없다. 이승만은 정치가로서 자질이 높은 인물이었으며 배짱도 두둑한 인물이었다.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성사시키기 위해 만약 조약을 맺지 않으면 휴전선의 한국군을 풀어 단독 북진하겠다고 말했던 것이 단적인 예다. 이승만은 그의 탁월한 지도력을 발휘해 신생 대한민국이 직면한 공전의 혼란과 625 전쟁이라는 재앙을 극복하면서 대한민국의 안보와 왹, 군사, 경제, 교육 등 방면의 발전을 도모한 결과 신생 대한민국을 튼튼한 기반 위에 올려놓았고 이로써 1960년대 이후 남한의 눈부신 경제 발전에 근원적으로 기여했다고 생각한다. 비록 82세 이후 비극적 종말을 맞은 것은 인간 이승만의 분명한 한계지만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이승만이 부정적 인물이라는 평가는 버려져야 할 것 이며, 보다 적극적이고 객관적인 이승만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끝’
참 고 문 헌
☆ 두산 대 백과사전
☆ 강희선, 『한국 인물사전』학원출판공사
☆ 이영호, 『이승만』 학원출판공사
☆ 하선용 이기항 윤원혜 , 『한국 근현대사』
☆ 송명호, 『이야기 한국사』예림당
☆ 현공숙, 『디지털 한국사』 청아출판사
☆ 우남 이승만과 건국사 http://cafe.naver.com/syngmanrhee.cafe
☆ Another World http://cafe.naver.com/rokmc2013.cafe
☆ [기고] 건국대통령 이승만 박사의 나라사랑 김상모 미연합감리교회 원로목사
☆ 전쟁의 역사 - http://cafe.naver.com/booheong.cafe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8.26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4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