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밥 류 ․ 죽 류
1) 한국
2) 일본
3) 중국
2. 면 류
1) 한국
2) 일본
3) 중국
3. 국 류 ․ 찌개류 ․ 스프류
1) 한국
2) 일본
3) 중국
4. 각국의 대표적인 요리
1) 한국 김치
2) 일본 초밥
3) 중국 만두
1) 한국
2) 일본
3) 중국
2. 면 류
1) 한국
2) 일본
3) 중국
3. 국 류 ․ 찌개류 ․ 스프류
1) 한국
2) 일본
3) 중국
4. 각국의 대표적인 요리
1) 한국 김치
2) 일본 초밥
3) 중국 만두
본문내용
0g, 당근30g, 대파1뿌리, 다랑어다시마국물3컵, 청주조금, 재염1작은술, 조미료조금
폰스(지리소스)-다시물80cc, 진간장50cc, 식초80cc, 맛술20cc, 청주조금
야꾸미-레몬 또는 유자, 송송 썬 실파, 무즙, 고춧가루
① 다시마의 맛이 시원하게 우러나면 다시마는 건지고 국물에 소금으로 간한 다음 청주를 조금 넣는다. 지리는 간을 약하게 하는 것이 특징이 다.
② 냄비에 준비한 복어와 두부, 표고버섯, 미나리를 넣어 돌돌 만 배추잎, 당근, 대파를 돌려 담고 간한 다시마 국물을 붓는다.
③ 뚜껑을 연채 끓이면서 수시로 거품을 걷어낸다. 생선살이 익으면 팽이 버섯을 올려 살짝 더 끓인 후 지리소스를 곁들여 낸다.
(4) 대구매운탕
대구살180g, 대구의 곤(또는 알)50g, 두부1/8모, 생표고버섯1장, 배추1잎, 무50g, 대파1뿌리, 쑥갓3잎, 다시물3컵
양념고추장-고추장100g, 고춧가루50g, 다시물100cc
① 밑이 두터운 냄비를 준비해 바닥에 두부와 버섯, 배추잎, 무, 파를 깔 고 대구살과 곤을 얹는다.
② 다시물을 붓고 양념고추장을 풀어 거품을 걷어가며 끓인다. 맛이 우러 나면 쑥갓을 얹어 불에서 내린다.
(5) 쑥된장국 억센 쑥은 끓는 물에 데쳐 부드러운 맛이 나도록 밑손질한 후 넣도록한다. 냉이된장국도 쑥된장국과 같은 방법으로 끓인다.
<5인분>쑥, 무(작은것)1개, 진간장40cc, 곤약1/4모, 된장50g, 다시물5컵
① 다시물을 냄비에 담고 된장을 풀어 체에 걸러 불에 올린다.
② 된장 푼 국물이 끓으면 쑥을 넣는다. 쑥이 파랗게 데쳐지고 국물에 쑥 의 향이 우러나면 쑥을 건진다.
③ 쑥을 건졌으면 무와 곤약을 넣어 간이 배도록 잠시 끓인후 그릇에 담 고 쑥을 띄워 낸다.
(6) 재치된장국
재치조개100g, 팽이버섯50g, 실파조금, 적된장120g, 백된장 매운맛의 백된장과 단맛의 백된장이 있다. 보통 된장이라 하면 매운맛의 백된장을 가리킨다. 염분이 12%정도로 숙성기간은 6개월 정도이다. 된장국이나 요리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단맛의 백된장은 누룩을 많이 사용하고 염분도 6% 정도이므로 걸쭉하고 달콤한 것이 특징이다. 된장은 공기에 닿으면 곰팡이가 생기거나 마르기 쉬우므로 풍미가 떨어진다. 밀봉해서 습기가 없는 냉암소나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풍미가 달아나기 쉬우니 조금씩 사는 것이 좋다.
40g, 맛술20cc, 후춧가루, 조미료조금, 다시물10컵
① 재치조개를 냄비에 담고 잠길 정도로 찬물을 부어 끓인다. 조개 입이 벌어지면 바로 불을 끄고 조개는 건진 후 국물은 체에 밭쳐 맑은 조갯 국물을 받아둔다.
② 준비한 다시물에 적된장과 백된장을 푼 후 고운 체에 밭친다.
③ 받쳐 놓은 된장국물과 재치조개 삶은 물을 섞어 끓이기 시작한다. 된 장국이 완전히 끓었으면 조미료로 맛을 낸다. 그릇에 재치조개를 담고 끓인 된장국물을 부은 뒤 씻어 둔 팽이버섯과 송송 썬 실파를 얹어 낸 다.
(7) 도미머리 맑은국
도미머리50g, 두부1쪽, 대파1쪽, 유자껍질(오리발모양)1장, 청주조금, 소금조금, 조미료조금, 다시물1컵
① 다시물에 손질한 도미머리를 넣고 약한 불에 올려 국물에 도미머리의 시원한 맛이 우러나도록 은근하게 끓인다.
② 도중에 거품이 떠오르면 숟가락으로 걷어 내며 10분 정도 끓이다가 청 주와 소금, 조미료로 간을 약간 싱겁게 맞춘다.
③ 간이 된 도미머리 맑은국을 그릇에 담고 파채와 오리발 모양의 유자껍 질을 얹어낸다.
(8) 대합맑은국
<4인분>대합조개4개, 두부4쪽, 대파1/2뿌리, 소금, 청주, 조미료, 레몬껍질
① 냄비에 조개를 넣고 맑은 물을 부어 끓이기 시작한다.
②국물이 끓기 시작하면 썬 두부를 넣고 소금으로 간한다. 이 때 떠오르는 거품이 있으면 걷어 낸 후 청주와 조미료로 맛을 내 국그릇에 담고 위 에 파채와 오리발 모양으로 썬 레몬 껍질을 띄워 낸다.
* 테이블매너-국(스이모노)를 올바로 먹는 방법
왼손으로 그릇 아래를 잡고 오른손으로 뚜껑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연다. 뚜껑에 물기가 있으면 국그릇에 따르고 뒤집어 오른쪽에 놓는다. 양 손으로 그릇을 들고 국물을 조금 마신 후 식탁에 내려놓는다. 다시 양손으로 그릇을 들어 왼손에 올려 놓고 오른손으로 젓가락을 쥔 다음 건더기를 먹는다.
3) 중국
(1) 최고급 상어지느러미 수프
최고급 상어지느러미30g, 팽이버섯20g
양념류-굴소스20ml, 노두유3ml, 파기름, 참기름, 감자전분
① 상어지느러미를 풀어지도록 씻어 놓고, 팽이버섯은 밑동을 자른다.
② 재료를 뜨거운 물에 데친다.
③ 달구어진 팬에 육수, 파기름, 정종을 넣는다.
④ 굴소스, 간장, 노두유 등으로 간을 맞추고 재료를 넣은 후에 살짝 끓인 다.
⑤ 전분을 풀고, 파기름과 참기름을 넣는다.
(2) 제비집 수프
최상급제비집5g, 은이버섯 담자균류 흰목이목 흰목이과의 버섯. 여름과 가을에 각종 활엽수의 고목 또는 나뭇가지에서 발생한다. 전체가 순백색이고 반투명의 젤리 모양이며 기부에서 겹꽃 모양 또는 닭볏 모양을 한다. 크기는 3∼8×2∼5cm이나 건조하면 작아지고 단단하다.
10g, 계란흰자10g, 전분약간
양념류-소금, 후추
① 마른제비집을 불려놓고, 은이버섯은 다져 놓는다.
② 뜨거운 기름에 육수, 파기름, 정종을 넣는다.
③ 소금 등 양념으로 간을 한다.
④ 끓을 때 전분을 넣고 달걀흰자 및 참기름을 넣는다.
(3) 게살 옥수수 스프
<4인분> 옥수수0.5콘, 게살50g, 계란흰자, 육수200cc, 정종1큰술, 소금약간, 후추약간, 식용유1큰술, 전분15g
① 게살은 속 뼈를 제거한 후 깨끗하게 손질해서 놓는다.
② 팬을 가열한 후 식용유 정종을 넣고 다시 육수를 붓는다.
③ 다시 옥수수와 게 살을 넣고 끓인다.
④ 소금, 후추로 양념한 후 끓으면 물 녹말을 약간 부어 걸죽하게 만든다.
⑤ 다시 계란흰자를 넣어 잘 저으면서 끓이면 완성된다.
(4) 청채 전복스프
<4인분> 중전복1개, 청경채
청경채 ;
중국 배추의 한 종류로 중국요리에 많이 이용되며 녹즙,쌈 채소로 이용된다.
1개, 정종1큰술, 국간장0.5큰술, 소금약간, 후추가루약간, 육수150cc
① 전복은 껍질과 내장을 제거 한 다음
폰스(지리소스)-다시물80cc, 진간장50cc, 식초80cc, 맛술20cc, 청주조금
야꾸미-레몬 또는 유자, 송송 썬 실파, 무즙, 고춧가루
① 다시마의 맛이 시원하게 우러나면 다시마는 건지고 국물에 소금으로 간한 다음 청주를 조금 넣는다. 지리는 간을 약하게 하는 것이 특징이 다.
② 냄비에 준비한 복어와 두부, 표고버섯, 미나리를 넣어 돌돌 만 배추잎, 당근, 대파를 돌려 담고 간한 다시마 국물을 붓는다.
③ 뚜껑을 연채 끓이면서 수시로 거품을 걷어낸다. 생선살이 익으면 팽이 버섯을 올려 살짝 더 끓인 후 지리소스를 곁들여 낸다.
(4) 대구매운탕
대구살180g, 대구의 곤(또는 알)50g, 두부1/8모, 생표고버섯1장, 배추1잎, 무50g, 대파1뿌리, 쑥갓3잎, 다시물3컵
양념고추장-고추장100g, 고춧가루50g, 다시물100cc
① 밑이 두터운 냄비를 준비해 바닥에 두부와 버섯, 배추잎, 무, 파를 깔 고 대구살과 곤을 얹는다.
② 다시물을 붓고 양념고추장을 풀어 거품을 걷어가며 끓인다. 맛이 우러 나면 쑥갓을 얹어 불에서 내린다.
(5) 쑥된장국 억센 쑥은 끓는 물에 데쳐 부드러운 맛이 나도록 밑손질한 후 넣도록한다. 냉이된장국도 쑥된장국과 같은 방법으로 끓인다.
<5인분>쑥, 무(작은것)1개, 진간장40cc, 곤약1/4모, 된장50g, 다시물5컵
① 다시물을 냄비에 담고 된장을 풀어 체에 걸러 불에 올린다.
② 된장 푼 국물이 끓으면 쑥을 넣는다. 쑥이 파랗게 데쳐지고 국물에 쑥 의 향이 우러나면 쑥을 건진다.
③ 쑥을 건졌으면 무와 곤약을 넣어 간이 배도록 잠시 끓인후 그릇에 담 고 쑥을 띄워 낸다.
(6) 재치된장국
재치조개100g, 팽이버섯50g, 실파조금, 적된장120g, 백된장 매운맛의 백된장과 단맛의 백된장이 있다. 보통 된장이라 하면 매운맛의 백된장을 가리킨다. 염분이 12%정도로 숙성기간은 6개월 정도이다. 된장국이나 요리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단맛의 백된장은 누룩을 많이 사용하고 염분도 6% 정도이므로 걸쭉하고 달콤한 것이 특징이다. 된장은 공기에 닿으면 곰팡이가 생기거나 마르기 쉬우므로 풍미가 떨어진다. 밀봉해서 습기가 없는 냉암소나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풍미가 달아나기 쉬우니 조금씩 사는 것이 좋다.
40g, 맛술20cc, 후춧가루, 조미료조금, 다시물10컵
① 재치조개를 냄비에 담고 잠길 정도로 찬물을 부어 끓인다. 조개 입이 벌어지면 바로 불을 끄고 조개는 건진 후 국물은 체에 밭쳐 맑은 조갯 국물을 받아둔다.
② 준비한 다시물에 적된장과 백된장을 푼 후 고운 체에 밭친다.
③ 받쳐 놓은 된장국물과 재치조개 삶은 물을 섞어 끓이기 시작한다. 된 장국이 완전히 끓었으면 조미료로 맛을 낸다. 그릇에 재치조개를 담고 끓인 된장국물을 부은 뒤 씻어 둔 팽이버섯과 송송 썬 실파를 얹어 낸 다.
(7) 도미머리 맑은국
도미머리50g, 두부1쪽, 대파1쪽, 유자껍질(오리발모양)1장, 청주조금, 소금조금, 조미료조금, 다시물1컵
① 다시물에 손질한 도미머리를 넣고 약한 불에 올려 국물에 도미머리의 시원한 맛이 우러나도록 은근하게 끓인다.
② 도중에 거품이 떠오르면 숟가락으로 걷어 내며 10분 정도 끓이다가 청 주와 소금, 조미료로 간을 약간 싱겁게 맞춘다.
③ 간이 된 도미머리 맑은국을 그릇에 담고 파채와 오리발 모양의 유자껍 질을 얹어낸다.
(8) 대합맑은국
<4인분>대합조개4개, 두부4쪽, 대파1/2뿌리, 소금, 청주, 조미료, 레몬껍질
① 냄비에 조개를 넣고 맑은 물을 부어 끓이기 시작한다.
②국물이 끓기 시작하면 썬 두부를 넣고 소금으로 간한다. 이 때 떠오르는 거품이 있으면 걷어 낸 후 청주와 조미료로 맛을 내 국그릇에 담고 위 에 파채와 오리발 모양으로 썬 레몬 껍질을 띄워 낸다.
* 테이블매너-국(스이모노)를 올바로 먹는 방법
왼손으로 그릇 아래를 잡고 오른손으로 뚜껑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연다. 뚜껑에 물기가 있으면 국그릇에 따르고 뒤집어 오른쪽에 놓는다. 양 손으로 그릇을 들고 국물을 조금 마신 후 식탁에 내려놓는다. 다시 양손으로 그릇을 들어 왼손에 올려 놓고 오른손으로 젓가락을 쥔 다음 건더기를 먹는다.
3) 중국
(1) 최고급 상어지느러미 수프
최고급 상어지느러미30g, 팽이버섯20g
양념류-굴소스20ml, 노두유3ml, 파기름, 참기름, 감자전분
① 상어지느러미를 풀어지도록 씻어 놓고, 팽이버섯은 밑동을 자른다.
② 재료를 뜨거운 물에 데친다.
③ 달구어진 팬에 육수, 파기름, 정종을 넣는다.
④ 굴소스, 간장, 노두유 등으로 간을 맞추고 재료를 넣은 후에 살짝 끓인 다.
⑤ 전분을 풀고, 파기름과 참기름을 넣는다.
(2) 제비집 수프
최상급제비집5g, 은이버섯 담자균류 흰목이목 흰목이과의 버섯. 여름과 가을에 각종 활엽수의 고목 또는 나뭇가지에서 발생한다. 전체가 순백색이고 반투명의 젤리 모양이며 기부에서 겹꽃 모양 또는 닭볏 모양을 한다. 크기는 3∼8×2∼5cm이나 건조하면 작아지고 단단하다.
10g, 계란흰자10g, 전분약간
양념류-소금, 후추
① 마른제비집을 불려놓고, 은이버섯은 다져 놓는다.
② 뜨거운 기름에 육수, 파기름, 정종을 넣는다.
③ 소금 등 양념으로 간을 한다.
④ 끓을 때 전분을 넣고 달걀흰자 및 참기름을 넣는다.
(3) 게살 옥수수 스프
<4인분> 옥수수0.5콘, 게살50g, 계란흰자, 육수200cc, 정종1큰술, 소금약간, 후추약간, 식용유1큰술, 전분15g
① 게살은 속 뼈를 제거한 후 깨끗하게 손질해서 놓는다.
② 팬을 가열한 후 식용유 정종을 넣고 다시 육수를 붓는다.
③ 다시 옥수수와 게 살을 넣고 끓인다.
④ 소금, 후추로 양념한 후 끓으면 물 녹말을 약간 부어 걸죽하게 만든다.
⑤ 다시 계란흰자를 넣어 잘 저으면서 끓이면 완성된다.
(4) 청채 전복스프
<4인분> 중전복1개, 청경채
청경채 ;
중국 배추의 한 종류로 중국요리에 많이 이용되며 녹즙,쌈 채소로 이용된다.
1개, 정종1큰술, 국간장0.5큰술, 소금약간, 후추가루약간, 육수150cc
① 전복은 껍질과 내장을 제거 한 다음
추천자료
야옹양의 두근두근 연애요리
[벤처창업론]연인들을 위한 요리카페 창업계획서
자취하는 친구 집에서 간단하게 요리하는 방법
레드푸드의 종류별 효능과 원산지 및 요리법 성분
부분수업계획안 ( 요리활동 피자 만들기)
[중국문화] 중국의 음식 - 중국의 음식 문화사, 음식의 특징, 음식의 지역성, 식사 예절
유기성 폐기물(음식물쓰레기) 의미,발생비율, 유기성 폐기물(음식물쓰레기) 국민의식,동향, ...
기본생활습관 영역 중 식사 습관과 관련해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다룰 수 있는 지도 내용들을 ...
[유아교육과정] 만4세,음식을 주제로한 일일활동계획안, 음식(생활주제), 음식과 우리생활(주...
[유아교육과정] 만4세, 음식을 주제로한 일일활동계획안, 음식(생활주제), 음식과 우리생활(...
[유아교육幼兒敎育과정] 음식을 주제로한 주간교육계획안(6주과정) - 음식의 역사(1주차), 세...
★ 일본음식문화와 식사예절 - 일식, 지역별 특징 및 음식종류, 일본의 식사예절, 일본음식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