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회화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회화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선사시대 (先史時代)
2. 은과 주시대
2. 춘추전국시대 (春秋戰國時代)
3.진(秦)·한(漢) 시대
4. 위(魏)·진(晋)·남북조(南北朝) 시대
4.수(隋)·당(唐) 시대
5.송(宋)
6. 원 시대
7. 명·청 시대
7. 중국 근·현대 미술

본문내용

5세기 중엽에 이르면 안견은 조선시대 최고의 산수화가로 곽희파화풍을 토대로 마하파 화풍 등 다양한화풍을 종합하여 독자적인 [안견파화풍]을 이루었다. 이 화풍(양팽손, 정세광, 신사임당, 이정근, 이징등)은 조선초기는 물론 조선 중기에까지 이어졌고 일본에 건너가 주문파(周文派)에 영향을미치기도하였다. 안견은 산수화만이 아니라 초상화, 화훼, 매죽, 누각, 준마, 의장도 등 다양한 화제를그렸던 것으로 밝혀지지만 현재는 오직 [몽유도원도]만이 진작으로 전해지고 있다. ○ 영모화 새와 동물을 소재로 한 그림이다. 원래 영모는 새털의 의미로 그것이 새종류만을 지칭하는 말이였으나두 글자를 각각 떼어 새깃과 동물 털이라는 의미로 확대 해석됨으로써 새와 동물을 포괄하는 넓은의미로 쓰여진다. ○ 요철법(凹凸法) 그림 속의 형태에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해 채색을 써서 명암의 단계를 번지듯 점진적으로 나타내는기법이다. 지중해 지역의 후기 고전 미술로부터 유래되어 인도와 서역을 거쳐 동아시아로 전해졌다. 중국에서는 장승요가 전통을 확립시켰으며, 서쪽에서 전래되었다 하여 태서법(泰西法)이라고도 한다. ○ 우점준법(雨點) 아주 작은 타원형으로 찍혀진 붓자국이 빗방울같이 생긴 준이다. 산의 밑부분에서는 크게 나타내며위로 올라갈 수로 작게 한다. 북송의 범관의 작품에 잘 나타나 있다. ○ 운두준법(雲頭) 풍화 작용을 받아 침식되어 마치 구름이 피어오르는 것 같이 생긴 산을 표현하는 준법으로이곽파화풍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원체 화풍(院體畵風) 궁정 취향에 따라 화원을 중심으로 이룩된 직업호가들의 화풍을 말하며 궁정의 유행이 때에 따라바뀌기 때문에 일정한 양식(樣式)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남송원체 화풍; 남송시대에 강남지방의 온화한기후와 나지막한 산, 그리고 물이 많은 특이한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이룩한 화원의 화풍을 말하며 그중에서도 마하파화풍이 전형적인 것이다. ○ 윤필(潤筆) 짙은 먹이 풍부하게 묻은 붓을 말하며 대담한 터치를 필요로 할 때 잘 사용된다.○ 음영법(陰影法)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의 입체감을 살리기 위하여 그 물체가 빛을 받아 이루는 그림자를 나타내어 그림을 그리는 방법 ○ 이곽파(李郭派) 화풍 (곽희파화풍 이라고도 한다) 북송대의 이성(李成)과 곽희(郭熙)에 의해 이룩된 화풍으로 금(金)과 원대(元代)에도 이 화풍을 많이 따라그렸다. 이성의 화풍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기 때문에 보다 화풍이 뚜렷한 곽희의 이름을 따서'곽희파'라고도 불리어진다. 대체로 이곽파의 화풍은 뭉게구름처럼 보이는 침식된 황토산(黃土山)을즐겨 그리되 그 표면 처리에 있어서 필선이 하나하나 구분되지 않도록 붓을 엇대어 쓰며, 곽희 때부터는산의 밑동을 밝게 표현하는게 특색이다. 산수(山水)는 대개 근경. 중경. 원경이 점차 상승 하면서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경향을 띠고, 나뭇가지들은 게발톱처럼 보이는 해조묘(蟹爪描) 로 그려지며소나무 잎은 송충이털을 연상시키게 묘사된다. 산의 윤곽선 바깥쪽에 이빨모양으로 돋아나 붙어 있는치형돌기(齒形突起)형태를 쓰는 것도 이곽파 화풍의 특징중에 하나이다. ○ 전신(傳神) 전신사조(傳神寫照)가 줄어서 된 말로 초상화에 있어서 인물의 외형묘사에만 그치지 않고 그 인물의고매한 인격과 정신까지 나타내야 한다는 초상화론(肖像畵論)이다. ○ 절파 화풍(浙派 畵風) 명초(明初) 절강성 출신의 대진(戴進)을 시조로 하며, 그와 그의 추종자들, 그리고 절강지 방양식의영향을 받았던 화가들의 화풍을 집합적으로 부르는 것이다. 남송원체 화풍을 주로 하여 거기에 이곽파화풍 등 여러 요소를 융합하여 이룩된 복합적 양식을 보여주며 15세기 후반부터 명대 화원의 주도화풍이 되었다. 대체로 남송원체 화풍에 중경을 삽입시킨 복잡한 구성과 거친 필치를 구사하여 그림전체가 다소 조잡한 느낌을 준다. ○ 정선파(停船派) 조선 후기의 정선이 이룩한 진경산수 화풍을 따랐던 일편의 화가들을 함께 지칭한다. 강희언, 김득신,최북 등을 위시한 많은 화가들이 따라 그렸다. 이 화파의 영향은 민화(民話)에 까지 미쳤다. ○ 준법 형태의 외형을 끝낸 다음에 산이나 바위, 토파(土坡)등의 입체감과 명암, 질감을 나타내기 이해 표면을처리하는 유형적(類型的)수법을 말하여 약 25가지의 준법이 있다 ○ 진경산수(眞景山水) 조선 후기 정선(鄭敾)에 의해 형성된 화풍을 말한다. 우리 나라에 실재하는 경관(景觀)을 남종화에 바탕을 두고 발전된, 정선 특유의 화풍을 가미하여 그린 산수이다. 이 화풍은 조선 후기의 화원들사이에서 한때 널리 추종되었다. ○ 찰염(擦染) 먹이나 색채를 축축히 문지르듯 칠하는 것으로 서서히 물이 스며들 듯 변하는 효과를 낸다. ○ 철선묘(鐵線描) 굵고 가는 데가 없이 두께가 처음부터 끝까지 똑같은 꼿꼿하고 곧은 필선으로, 매우 딱딱하고 예리하여철사와 같은 느낌을 자아낸다. 붓을 세워 강하게 베풀고 선이 길며 인물화에 사용된다. ○ 평원(平遠) 삼원중의 하나로서 근산(近山)들로부터 원산(遠山)들을 보았을 때 거의 평면적으로 전개되어 있는모습으로 고요한 분위기를 준다. ○ 피마준법(披麻) 마(麻)의 올을 풀어서 늘어놓은 듯 실같은 모습의 준을 말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준 가운데 하나로특히 남종화와 관계가 깊다. 원말(元末) 4대가(大家)의 한사람인 황공망이 즐겨 사용하였다. ○ 하엽준법(荷葉) 연잎 줄기와 같이 생긴 준으로 산봉우리에 주로 사용된다. 물이 흘러내려 고랑이 생긴 산비탈 같은효과를 내며 조맹부가 창안한 후 남종화가들이 종종 사용하였다. ○ 해조묘(蟹爪描) 나뭇가지를 게발톱처럼 날카롭게 묘사한 수지법(樹枝法)으로 이곽파 화풍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 화원(畵員) 조선시대에는 국초부터 '도화원(圖畵院)(후에 도화서(圖畵署)로 개칭)이 설치되 많은 화원들이배출되었다. 화원들은 초상화제작이나 궁중의 각종 행사 모사(模寫)나 사대부의 요청에 따라계회도(契會圖)나 사대부들의 초상화를 그리는 등 궁정.사대부 취미에 맞춘 것이 많다. 화원은 본시시험을 통해 선발되었던 것인데 후기에 이르면 사대부의 추천에 의해 발탁되기도 하였던 모양이다. 조선 초기 화원 출신으로는 안견과 이상좌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09.10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