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춤][탈춤 성격][탈춤 분포][탈춤 노래][경상도 탈춤 사례][고성 오광대][탈놀이]탈춤의 역사, 탈춤의 유래, 탈춤의 성격, 탈춤의 기능, 탈춤의 분포와 지역별 특성, 탈춤의 노래, 경상도의 탈춤 사례(고성 오광대) 분석(탈춤, 탈놀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탈춤][탈춤 성격][탈춤 분포][탈춤 노래][경상도 탈춤 사례][고성 오광대][탈놀이]탈춤의 역사, 탈춤의 유래, 탈춤의 성격, 탈춤의 기능, 탈춤의 분포와 지역별 특성, 탈춤의 노래, 경상도의 탈춤 사례(고성 오광대) 분석(탈춤, 탈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탈춤의 역사

Ⅲ. 탈춤의 유래

Ⅳ. 탈춤의 성격

Ⅴ. 탈춤의 기능
1. 제의적 반란으로서의 탈춤
2. 탈춤의 유희적 기능
3. 탈춤의 유희 공간과 현실 공간
4. 탈춤과 언어의 카니발
5. 탈춤의 사회적 기능

Ⅵ. 탈춤의 분포와 지역별 특성
1. 북방계
2. 중부계
3. 영동계
4. 남방계

Ⅶ. 탈춤의 노래
1. 갈래
1) 삽입노래
2) 창작 노래
2. 쓰임
1) 노래의 극적인 쓰임
2) 노래의 놀이적인 쓰임

Ⅷ. 경상도의 탈춤 사례(고성 오광대)
1. 1과장 문둥북춤
2. 2과장 오광대놀이
3. 3과장 비비놀음
4. 4과장 승무과장
5. 5과장 제밀주놀이
6. 6과장 상여놀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물론 탈춤 속에 자리잡은 뒤에도 매 공연마다 얼마간의 바뀜은 계속해서 일어난다.
* 축소 삽입 노래 - 기존의 노래가 축소되어 받아들여진 노래이다. 축소되는 까닭은 기존 노래가 본디 가지고 있던 가창 목적과 쓰임새가 탈춤에서는 줄어들거나 바뀌기 때문이다.
(보기) 물레 노래 (고성오광대, 가산오광대)
* 연합 삽입 노래 - 기존 노래의 어떤 부분과 다른 기존 노래의 한 부분이 결합되거나, 새로운 후렴이 들어간 노래이다.
(보기) 백구타령 (수영들놀음)
* 가사 바꿈 삽입 노래 - 하나의 기존 노래가 탈춤의 내용에 맞게 가사가 바뀐 노래이다.
(보기) 색주가 집 (동래들놀음) - 춘향가 가운데 기생 점고 부분
* 완전 삽입 노래 - 하나의 기존 노래가 완전한 형태로 들어간 것으로, 때에 따라 전혀 다른 노래로 바뀌기도 한다.
(보기) 밀양아리랑 (통영오광대)
2) 창작 노래
창작 노래는 대사를 노래의 형식으로 만든 것으로 그 내용이 극의 진행과 관련이 된다. 대사를 노래로 하는 까닭은 대사의 단조로움을 벗어나거나, 대사의 뜻을 강화시키기 위해서이다.
2. 쓰임
탈춤에 나오는 노래는 극적인 쓰임과 놀이적인 쓰임을 갖는다. 그러나 쓰임은 상대적인 구분일 뿐이지 하나의 노래가 한 가지의 쓰임만 가지는 것은 아니다.
1) 노래의 극적인 쓰임
* 인물의 성격을 형상화하는 쓰임
탈춤에 나오는 인물에는 두 가지 모습이 있다. 숨은 성격과 드러난 성격이 맞는 모양과 맞지않는 모양이다. 인물 자신의 마음을 나타내는 노래는 숨은 성격과 드러난 성격이 맞는 것으로 그 인물의 성격이 노래에 형상화되어 나타난다. 양반들이 부르는 대부분의 노래는 양반의 신분으로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노래들이다. 이러한 노래는 양반의 또 다른 면을 드러냄으로써 양반을 희극적인 성격의 인물이 되게 한다.
* 인물의 행위를 돕는 쓰임
이런 기능을 가진 노래는 인물의 행위와 노래의 내용이 어울린다. 고성오광대의 물레노래는 할매가 직접 물레를 돌리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이처럼 행위를 돕는 노래는 그 노래가 갖고 있더 원래의 쓰임을 탈춤 속에서 살리면서 받아들인 것이다.
* 장면을 형상화하는 쓰임
동래들놀음의 사벽도 사설은 말뚝이가 양반의 집으로 양반을 찾으러 갔다가 방안의 벽을 보고 묘사한 노래이다. 어떤 장면을 형상화하는 노래는 주로 나열식의 노래이다. 사실적인 장면을 나열하는 것만은 아닌다.
2) 노래의 놀이적인 쓰임
수영들놀음의 양반마당에 나오는 오돌또기 타령, 백구타령 따위는 인물의 성격을 형상화시키는 기능도 하지만, 탈춤의 놀이성을 펼치는 쓰임도 있다. 이런 노래는 놀이성을 넓히는 것이기 때문에 모두 춤과 연결되거나 춤을 추면서 부른다. 놀이적인 쓰임이 있는 노래는 대부분 춤꾼과 구경꾼이 이미 잘 알고 있는 노래들이다. 그러므로 구경꾼은 쉽게 이런 노래들을 따라 부를 수 있으며, 또 이로 인해 공연장의 분위기는 신명의 판으로 쉽게 끌러 올려진다.
Ⅷ. 경상도의 탈춤 사례(고성 오광대)
1. 1과장 문둥북춤
문둥광대가 굿거리 장단에 등장하여 시종 팔목을 떨면서 소고를 기묘하게 슬픔과 흥분이 엇갈린 춤을 춘다. 이는 조상들의 죄로 인하여 문둥이가 되었다는 인과응보의 상황으로처음에는 좌절과 절망으로 모든 것을 포기하나 병마의 고통과 인간의 천대를 내면의 신명의 혼으로 승화시키며 극복하는 인간 승리의 내용으로 굿거리장단에 소고를 마치 자기의 신체인양 어루며 추는 엇장단의 여유와 걸 먹는 춤사위가 볼만하다.
2. 2과장 오광대놀이
2과장은 봉건 사회에 있어 양반들의 권세 행세로 일반 평민을 천대하고 멸시하고 괴롭히는 그 시대의 아픔을 말뚝이라는 서민의 대변자가 양반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그들의 추악상을 낱낱이 꼬집어 내는 내용으로 말뚝이의 춤사위가 천. 지. 인. 삼재를 형상화해서 인간의 평등과 권리 회복을 염원하는 내용의 춤사위를 춘다. 또한 양반춤은 부채로 당시의 양반들의 권세를 풍자하며 마치 고고한 선비의 춤처럼 맛갈스럽다. 대사의 내용 또한 해학적이며 그 익살스러운 풍자는 선조들의 여유와 풍류를 엿볼 수 있으며 오방색깔의 화려함은 자연의 색으로서 동양의 음양오행사상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3. 3과장 비비놀음
여러 양반들이 한창 흥겹게 놀고 있을 때 괴물인 비비 나타나 그 중 한 양반을 붙들고 마음대로 놀려대며 혼을 내어주는 놀음으로 비비가 갖은 횡포로 평민들을 괴롭히는 양반을 위협 조롱하면서 양반들의 등살에 쌓였던 울분이 풀리게 하는 내용으로 한낱 미물인 비비도 사람은 평등하다(조상)는 생각으로 용서하는 관용의 미를 찾아볼 수 있다.
4. 4과장 승무과장
입산수도하는 중이 속세의 연정에 이끌려 기생의 유혹에 빠져 놀아나는 파괴승을 풍자한 과장으로 이는 서민들의 정신적 지주이어야 할 종교의 올바른 구도의 길과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잘못된 종교를(조선시대) 개선하고자 하는 내용으로 탈놀이 중요 줄거리중 하나이며 고성의 경우 시종 대사가 없고 춤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5. 5과장 제밀주놀이
시골양반이 집을 나가 첩을 얻어 놀아나고 있는데 영감을 찾아 헤매던 큰어미와 영감이 서로 만난다. 이때 작은어미가 해산기가 있어 아들을 순산한다. 그 아이를 받아 큰어미가 품에 안고 어루나 작은어미가 시기 질투하여 뺏으려고 서로 실강이를 벌이다가 떨어뜨려 죽고만다. 이것을 본 작은어미는 큰어미에게 달려들어 죽이고 만다. 이는 처첩관계의 가정비극과 죽음에는 빈부귀천이 없다는 인생의 무상함을 그린 마당이다.
6. 6과장 상여놀이
죽음에는 빈부귀천이 없고 삶을 마감한 사람을 마지막으로 보내는 내용의 상여놀이로 인생의 무상함을 표현하는 내용이다. 어려울 때일수록 가정의 소중함을 표현하는 내용이다.
참고문헌
김세중 - 한국민속춤사위의 연구, 동아민속원
김욱동 - 탈춤의 미학, 현암사, 1994
김재철 - 조선연극사, 조선어문학회, 1933
손경애 외 - 탈춤 1-2, 놀이마당 터 편, 놀이마당 터, 2001
채희완 - 한국의 탈춤, 민속사진출판, 2002
채희완 - 탈춤, 대원사, 1992
최창주 - 봉산탈춤,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0
한국의 탈춤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9.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