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목 적
Ⅱ. 관련이론
1. 납땜의 원리
2. 재료 및 도구
3. 작업 방법
4. 불량 검사
5. 유의사항
Ⅱ. 관련이론
1. 납땜의 원리
2. 재료 및 도구
3. 작업 방법
4. 불량 검사
5. 유의사항
본문내용
확한 땝납형태는 약한 이음새가 되게 할 것이다. 부정확하거나 잘못된 융제는 이음새의 금속을 부식킬 수 있다. 융제없는 이음새는 깨끗하지 않을 것이다. 먼지나 오염된 이음새는 결합을 약하게 한다. 땝납이 식기 이전에 납땜된 금속의 이동은 땝납형태를 거칠게 만들 것이며 이음새를 약하게 할 것이다.
5. 유의사항
제시된 도면에 따른 납땜 작업을 기준으로 유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주위 학생과 여유공간을 갖고 화상이나 찰과상 등을 입지 않도록 작업한다.
② 남땜 작업시 발생하는 연기는 유해하므로 가급적 흡입하지 않도록 유의하고, 인두를 제거 한 후 신속하게 냉각되도록 입김 등을 불어주는 것도 바람직하다.
③ 윤택이 있는 깨끗한 납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매번 납땜작업 후 산화밥을 제거하고 물에 젖은 스폰지에 인두 팁을 돌려가며 비벼서 적당히 냉각한다.
④ 남땜 상태가 불량한 곳은 납 제거기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업한다.
납을 제거할 부분에 인두를 사용하여 녹인 후, 납 제거기의 윗 부분을 누르고 녹은 납에 접근하여 납 제거기의 보턴을 누른다.
⑤ 납땜부위의 리드선은 손으로 만지면 뜨거우므로 가급적 피하고 필요시에는 -자 드라이버 를 사용하거나 적당한 간격으로 끊어 놓은 밀어 놓은 후 피복을 잡고 작업한다.
⑥ 제거한 피복은 작업대 위에 모아놓고 실습이 종료되면 쓰레기통에 버린다.
⑦ 리드선의 피복을 제거할 때 리드선에 흠이 생기거나 끊어지지 않게 주의하여야 한다.
⑧ 인두로 기판을 가열하는 시간이 길면 납의 윤택이 적어지고 pad가 기판에서 이탈한다.
⑨ -자 드라이버나 공구 등을 사용하여 리드선이 pad의 중앙을 통과하면서 기판에 완전 밀 착되도록 고정하고 납땜을 하여야 패드와 패드 사이가 납으로 직접 연결되는 Bridge가 방지되고 견고한 납땜이 된다.
⑩ 패드 상에 위치한 리드선의 납땜은 불연속적으로 납땜을 하여햐 하며, 그렇지 않으면 방금 전에 납땜한 부분에 열이 전도되어 떨어질 우려가 있다.
⑪ 리드선이 꺽어지는 부분은 -자 드라이버 나 롱로우즈 플라이어를 사용하여 직각으로 먼저 꺽고 납땜하는 것이 미관상으로도 보기에 좋고 작업도 용이하다.
⑫ 불필요한 부분은 절단하고 납땜을 하여야 납땜 후 선이 돌출하지 않는다.
-출처
「상학당」≫ 전자·통신기초실험 ( p. 11~p. 18 )
인터넷 「위키백과사전」≫
http://ko.wikipedia.org/wiki/%EB%82%A9%EB%95%9C
5. 유의사항
제시된 도면에 따른 납땜 작업을 기준으로 유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주위 학생과 여유공간을 갖고 화상이나 찰과상 등을 입지 않도록 작업한다.
② 남땜 작업시 발생하는 연기는 유해하므로 가급적 흡입하지 않도록 유의하고, 인두를 제거 한 후 신속하게 냉각되도록 입김 등을 불어주는 것도 바람직하다.
③ 윤택이 있는 깨끗한 납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매번 납땜작업 후 산화밥을 제거하고 물에 젖은 스폰지에 인두 팁을 돌려가며 비벼서 적당히 냉각한다.
④ 남땜 상태가 불량한 곳은 납 제거기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업한다.
납을 제거할 부분에 인두를 사용하여 녹인 후, 납 제거기의 윗 부분을 누르고 녹은 납에 접근하여 납 제거기의 보턴을 누른다.
⑤ 납땜부위의 리드선은 손으로 만지면 뜨거우므로 가급적 피하고 필요시에는 -자 드라이버 를 사용하거나 적당한 간격으로 끊어 놓은 밀어 놓은 후 피복을 잡고 작업한다.
⑥ 제거한 피복은 작업대 위에 모아놓고 실습이 종료되면 쓰레기통에 버린다.
⑦ 리드선의 피복을 제거할 때 리드선에 흠이 생기거나 끊어지지 않게 주의하여야 한다.
⑧ 인두로 기판을 가열하는 시간이 길면 납의 윤택이 적어지고 pad가 기판에서 이탈한다.
⑨ -자 드라이버나 공구 등을 사용하여 리드선이 pad의 중앙을 통과하면서 기판에 완전 밀 착되도록 고정하고 납땜을 하여야 패드와 패드 사이가 납으로 직접 연결되는 Bridge가 방지되고 견고한 납땜이 된다.
⑩ 패드 상에 위치한 리드선의 납땜은 불연속적으로 납땜을 하여햐 하며, 그렇지 않으면 방금 전에 납땜한 부분에 열이 전도되어 떨어질 우려가 있다.
⑪ 리드선이 꺽어지는 부분은 -자 드라이버 나 롱로우즈 플라이어를 사용하여 직각으로 먼저 꺽고 납땜하는 것이 미관상으로도 보기에 좋고 작업도 용이하다.
⑫ 불필요한 부분은 절단하고 납땜을 하여야 납땜 후 선이 돌출하지 않는다.
-출처
「상학당」≫ 전자·통신기초실험 ( p. 11~p. 18 )
인터넷 「위키백과사전」≫
http://ko.wikipedia.org/wiki/%EB%82%A9%EB%95%9C
추천자료
일반 물리학 사전보고서-오차론, 반응시간, 중력가속도 측정
일반 물리학실험 결과보고서-가속도와 뉴튼의 운동법칙
일반물리실험-단조화운동 예비보고서입니다.
[일반물리 실험] 2-3. 자기력 측정 (전류천칭) 예비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예비보고서] 쿨롱(Coulomb)의 법칙 - 두 개의 도체구를 대전시키고 도체구 ...
[일반물리학실험 예비보고서] 이중슬릿에 의한 빛의 간섭과 회절
물리 보고서 3- mechanical energy conservation
물리학1실험 결과보고서#02.오차의 전파
일반 물리 실험 보고서 전기저항 측정 실험 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보고서] 선운동량 보존 법칙 : 공기 미끄럼대를 이용하여 1차원 탄성 충돌과...
[일반물리학실험 보고서] 길이 측정 - 버니어캘리퍼, 마이크로미터의 사용법
물리학 실험 - 장비 측정 연습 실험 보고서
[물리 결과보고서7] 진자의 운동
[물리실험] 3-8.에어트랙을 이용한 무마찰 실험 (예비보고서) : 마찰이 없는 미끄럼판을 이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