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분석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재분석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변화된다. 또한 식생은 여러 단계를 거쳐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한 극상(極相)으로 천이해간다. 식생변화는 화분의 절대량에 반영되며 이러한 화분은 수권(hydrosphere)이나 대기권(atmosphere)을 경유해서 퇴적물 입자와 함께 퇴적된다. 최종적으로 퇴적물 속의 화분화석의 조성(종구성과 상대량) 변화로부터 고식생 혹은 고기후, 토지조건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처리순서
① 적정시료 추출 : 오염부분을 제거한 후 시료의 입도(粒度)에 따라 10~20g 사용
② 시료 분산처리 : KOH액 등의 분산제를 사용하여 진탕기 내에서 시료 분산
③ 세립물질 제거 : 1㎛ 진동체로 콜로이드를 분해 · 제거
④ 미화석 농축 : 대형 실험용 접시 또는 흡입기(aspirator)가 부착된 실험용 접시를 이용하 여 미화석 용액을 농축
⑤ 비화수소산 처리 : 규산염광물질을 용해 · 제거
⑥ 중액분리 : 비중 약 1.9의 중액에서 원심분리해서 용액을 농축
⑦ 탈수처리 : Acetolysis 처리에 의해 탈수와 셀룰로오스 성분 용해 · 제거
⑧ 수세 · 농축 : 원심분리기를 사용해서 물로 씻고 수용성 물질을 용해 · 제거
⑨ 표본작성 : 글리세린 젤리로 프레파라트를 제작
13. 출토인골DNA분석법
- 출토인골의 일부를 분쇄하여 DNA를 추출한 후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DNA염기배열의 일부를 해독한다. 해독의 표적이 되는 DNA의 영역은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DNA의 D류프영역이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세포 당 복사본이 많고, 고인골(古人骨)에서도 DNA의 증폭이 가능하다.
원리는 고인골의 일부를 분쇄하여 투석튜브에 넣고 염산으로 탈회(脫灰)시킨다. 단백질을 제거한 후 한외(限外)여과법으로 농축된 DNA · D루프영역을 표적으로 한 증폭을 실시한다. 증폭에 성공한 시료는 32P를 사용한 직접염기배열결정법(Dideoxy)에 의해 고인골의 DNA배열을 해독한다.
14. 이온크로마트그래피(IC)
- 액체시료를 이온ㄱ환컬럼에 고압으로 전개시켜 분리되는 각성분의 크로마토그램을 작성하여 분석하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일종으로서 물 시료중의 음이온(F-, Cl-, NO2-, NO3-, PO43-, Br- 및 SO42-)의 정성분석 및 정량분석에 이용 한다.
15. 기타
(1) 금속현미경
- 금속 시편을 채취하여 관찰면을 균일하게 연마하고 미세한 조지을 관찰함으로써 그 곳에 나타나는 상, 결정립의 형상 및 분포상태, 크기 또는 결함 등을 측정하여 조직과 기계적 성질, 열처리 등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현미경이다.
(2) 비커스 경도기
- 굳기를 측정하는 경도기로, 대면각 136°의 정사각뿔 다이아몬드 압자를 재료 표면에 살짝 눌러 흔적(팬 자국)을 만들고, 하중을 뺀 뒤에 남겨진 영구적인 흔적의 대각선길이에서 겉넓이를 산출하여 하중을 이 넓이로 나눈 몫으로 나타낸다.
<참고문헌>
- 고고자료분석법 / 타구치 이사무, 사이토 츠토무 / 서경문화사 / 2007
- 문화재를 연구하는 과학의 눈 / 히라오 요시미츠 / 학연문화사 / 2001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9.21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5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