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농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전통농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농기구
1) 따비
2) 쟁기
3)극젱이
4)괭이
5)가래
6) 삽
7) 쇠스랑
8)살포, 철서
9)호미
10) 낫

Ⅱ.공구
1)가위
2)모루
3)끌
4)집게
5)망치
6)송곳
7)못, 꺽쇠
8)톱
9)대패
10)줄
11)배알레

본문내용

‘∝’ 모양으로 만들었다.
-무결구식 8자형 가위: 교차점에 별다른 침과 같은 결구가 없으며 교점을 기점으로 띠부분은 손잡이가 되고 반대편이 인부가 되는 형태의 가위
-X자형가위: 고려시대 이후 토광묘내에서 주로 출토되며 교점에 못과 같은 결구를 박아 연결한 형태의 가위
2)모루
①용도
단접 또는 단조로 소재를 두드려 원하는 형태로 만들 때 받침의 역할을 한다.
②특징
출토사례가 많지 않을뿐더러 평면 장방형의 형태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형식 분류한 사례는 없다. 현재도 대장간이나 소규모 공장에서 볼 수 있다.
3)끌
①용도
물체의 내부나 겉면을 깍아내는 밀개의 역할을 하는 도구
②형태
-단면형태에 따라
착형: 인부가 일자형으로 신부와 인부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인부가 더긴 형태로 깍아내기 적합하다.
참형: 평면형태 삼각형으로 선단부가 첨상을 이루어 뚫는 용도에 적합하다.
-공부의 유무에 따라
경형: 두부에서 인부까지 신부의 굴곡없이 길게 이어지는 형태
공형: 목병을 삽입할 수 있는 공부가 신부와 수직방향으로 제작되어 있는 형태
횡공형: 신부 위에 횡방형으로 관통하는 공부가 뚫려있는 형태
경형
공형
횡공형
4)집게
①용도
물건의 가공에 있어서 집거나 잡는 용도로 고안된 도구로써 작업에 따라 형태에 있어서는 거의 동일하나 크기의 차이를 갖는다.
②형태
‘X'자로, 2개로 이루어진 신부의 한 부분을 교차시키고, 교차점에는 교침과 같은 결구가 박혀서, 가위와 같은 원리로 작동된다. 신부에 비해 병부가 길며, 집부는 완만한 타원이 고리형이며, 선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만들어서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5)망치
①용도
내려치거나 대고 때리는 타격법을 이용한 연장
②형태
망치형: 장방형이며, 양쪽 말단부의 형태는 평평한 두부의 형태이다. 신부 중앙에는 횡방향의 공부(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철부형: 세장방형이며, 말단부 한쪽은 편평한 두부의 형태이고, 한쪽은 단면이 삼각형으로 선단을 향해 좁아들어간다.
6)송곳
①용도
물건에 구멍을 뚫는 데 쓰는 연장.
②형태
쇠로 만들어진 날 부분과 나무로 만든 자루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쇠 부분의 한쪽 끝은 뾰족하게 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나무자루에 박아서 쓴다.
③종류
-송곳날이 네모뿔 모양으로 된 네모송곳
-세모뿔 모양으로 된 세모송곳
-큰 구멍을 내거나 구멍을 넓힐 때 사용하는 타래송곳
-끝이 나사처럼 생긴 도래송곳
-송곳날이 둥근 활처럼 생겨서 둥근 열쇠구멍이나 나사구멍을 뚫을 때 사용하는 반달송곳
-활시위를 송곳자루에 감아서 송곳을 회전시켜 구멍을 뚫는 활송곳
-자루 중간에 쇠자루가 달려 있어서 때려서 박게 되어 있는 나사못 송곳
7)못, 꺽쇠
①용도
물건의 접합이나 고정에 쓰이는 도구
못:겹쳐진 물건의 접합이나 고정에 쓰이는 도구
꺽쇠: 두개로 이은 물건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게 걸쳐대는 ㄷ자모양의 쇠못이다.:
8)톱
①용도
나무나 쇠붙이 같은 것을 자르거나 켜는데 쓰는 연장
②종류
전통적인 톱
나무로 "H"자형의 틀을 만들고 틀 아래쪽에 톱니가 있는 쇠판을 고정시켜 만들었다. 주로 두 사람이 양쪽의 대를 잡고 켤 수 있도록 만든 톱이다. 위쪽에는 밧줄을 연결하였다.
서양, 일본식 톱
톱의 날 앞부분은 뾰족하게 시작하며, 자루에 톱이 들어갈 만큼의 홈을 파고 톱을 밀어 넣어 자루와 톱을 함께 결합시킨 형태이다. 자루는 손에 쥐기 쉬운 형태로 만들어져 있고 한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톱이다.
9)대패
①용도
나무의 표면을 다듬을 때 사용하는 도구
②형태
기본 형태는 나무로 만든 육면체인 장방형 대팻집에 절삭된 대팻밥이 위로 올라오도록 대패아가리를 파내어 여기에 엇비슷하게 대팻날을 끼운다. 대팻날 뒤쪽에 대팻손을 대팻집에 직각 방향으로 가로질러 끼워서 이것을 잡고 앞으로 밀 수 있도록 한다
10)줄
①용도
거친 표면을 부드럽게 정리하는데 쓰이지만 주로 장식을 다듬는데 많이 사용한다.
②형태
표면에 줄날을 무수히 세워 담금질한 것으로 매우 단단하다. 날을 세운 방법에 따라 한줄날·두줄날·세줄날, 날의 거칠기에 따라 거친날·중간날·고운날 등으로 구별된다. 또, 단면의 모양에 따라 각형(角形)·평형(平形)·삼각형·원형·반원형 등이 있다
11)배알레
①용도
비철금속의 형태를 성형시 사용되어지는 성형받침대이다.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하기 위하여 모양과 크기는 다양하다. 원하는 형태에 EK라 금속을 늘이고 줄이고 말고 각을 잡는 등 기본적인 일의 과정에 따라 구별이 된다. 반드시 망치와 더불어 사용된다.

키워드

따비,   쟁기 ,   극젱이,   괭이,   가래,   ,   쇠스랑 ,   살포, 철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9.21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