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광고주제의 변화 경향 ----p. 1
2. 본론: 신라면 광고의 변천과정 분석 ----p. 3
1) 신라면 봉지라면 광고 ----p. 3
2) 신라면 사발면 광고 ----p. 9
3. 결론: 신라면 광고의 변천과정 평가 ----p. 13
4. 참고자료 ----p. 15
2. 본론: 신라면 광고의 변천과정 분석 ----p. 3
1) 신라면 봉지라면 광고 ----p. 3
2) 신라면 사발면 광고 ----p. 9
3. 결론: 신라면 광고의 변천과정 평가 ----p. 13
4. 참고자료 ----p. 15
본문내용
사발
큰사람 큰사발 농심 큰사발
광고의 내용에 젊은이들의 도전과 패기가 주제이다. 큰사람 큰사발이라는 메시지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고, 사발면 광고 초기 때와 비교하여 보면 점차 광고의 내용이 감성적인 내용으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 2006년 12월
(남학생들과 여학생들 부딪힘)
어 니들 야! 뭐?
야옹아 어딨니~
아 아까 매운맛을 보여줬어야 하는데!
맛있냐?
농심 신라면~(노래)
광고모델이 이전 광고들보다 더 어린 학생들로 바뀌었다. 갑자기 광고 메시지에서 큰사람 큰사발이라는 내용이 빠지고, 매운맛이라는 컨셉으로 바뀌었다. 농심 신라면이라는 노래 구절이 마지막에 들어간 부분은 기존 봉지라면 광고와 상호 연상되도록 도와준다. 그 동안 유지해온 사발면 광고의 컨셉이 갑자기 바뀌었는데, 광고에서 봉지라면과 함께 매운 라면이라는 컨셉을 가질 것인지, 젊은이들의 라면이라는 컨셉을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정확한 방향이 필요하다. 또는 젊은이들의 라면이라는 컨셉과 매운 라면이라는 이미지를 접목시켜 광고를 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겠다.
* 신라면 사발면 광고 주제와 표현의 변천방향 평가
사발면 광고는 봉지라면 광고보다 그 시작이 늦었으므로 광고 초기에 이미 소비자들에게는 신라면에 대한 인지가 되어있었다. 초기에 이런 신라면 이미지에서 출출하고 바쁠 때 먹는 사발면으로 광고 컨셉이 잡힌 반면, 시간이 지날수록 젊은이들의 라면, 큰사람이 될 사람들이 먹는 라면이라는 컨셉으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최근에 들어서는 다시 매운맛이라는 컨셉을 넣어 광고를 하였는데, 전체적인 흐름으로 보았을 때는 매운맛을 컨셉으로 하여 봉지라면과 서로 광고에 있어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사발면 광고에서는 사나이 울리는 신라면이라는 문구를 찾아 볼 수가 없는데, 이는 전체 상품 이미지에서 소비자들이 일관성있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한다. 사발면 광고의 표현방식은 크게 변화한 것이 없지만, 최근 광고는 재미있는 광고를 만들려고 한 노력이 보인다. 매운맛을 강조하는 재미있는 광고가 오히려 소비자들의 관심을 주목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만, 사발면 광고에서는 어느 한 가지 광고 컨셉을 선택하였으면 그것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표현방식을 다양화하는 것은 좋은 시도였으나, 그 전에 제품과 광고의 일관성을 먼저 확립할 필요가 있다.
3. 결론: 신라면 광고의 변천과정 평가
신라면 봉지라면과 사발면 광고의 전체적인 광고 변천에 대해서 평가해보면, 첫 번째로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 광고 주제의 일관성 문제이다. 신라면 자체는 제품이름에서도 나타나 있는 것처럼 매운 라면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이런 특성이 당연히 광고에서도 나타나야 하는데, 초기 광고에는 그런 내용들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다가 2000년대의 광고에서 봉지라면 광고에서 이런 내용이 나타나고, 사발면에서는 전체 광고에서 매운 라면이라는 컨셉이 거의 없다. 이는 두 종류 라면이 같은 라면인데도 불구하고 서로 연관이 잘 안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각각 라면의 광고에서도 어떤 라면 하면 딱 떠오르는 라면의 이미지가 아직 광고자체에 자리 잡혀 있지 않은 것이 문제다. 신라면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가장 넓게 인식된 것이 매운 라면이라는 인식이므로 이런 인식을 좀 더 재미있게 광고에 담을 필요가 있다. 광고자체에 나오는 라면의 컨셉이 자꾸 바뀌다 보면 소비자들이 기존에 갖고 있던 신라면에 대한 인식마저도 흐려지게 되므로, 앞으로의 광고에서도 제품 컨셉에 대한 일관성 유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사발면 광고에서는 전체 흐름에서 여러 가지 제품의 컨셉이 나타나므로 한 가지로 통일할 필요성이 있다.
두 번째로 소비자들에게 상품에 대해서 인지시켜주는 시각, 청각 등의 감각적인 요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광고초기 농심 신라면이라는 구절이 광고에 몇 번 삽입되었으나,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않아 그 효과가 떨어졌다. 앞으로 이 구절을 광고할 때마다 강조하여 삽입하던지, 아니면 신라면 자체의 CM송을 만들어 광고에 넣는 것도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신라면이라는 이름은 이미 소비자들이 많이 알고 있으나, CM송 같은 경우는 소비자들이 그 광고 자체를 즐기게 되어 자동적으로 신라면에 대해서 떠올리게 해주기 때문이다. 더구나 요즘은 광고를 통해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만큼이나 광고자체에 대해서 즐기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런 흐름에 맞게 광고의 표현방식도 다양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라면 광고변천에 있어서 논해야 할 부분은 광고의 이미지이다. 서론에서 언급한 것처럼 요즘 광고는 단지 제품에 대한 정보만 담겨있으면 소비자들에게 즉시 잊혀지고 만다. 그러므로 웃거나 울거나, 또는 튀거나 하는 종류의 광고가 되어야 한다. 신라면의 매운 맛이라는 특성상 재미있는 광고로 방향을 잡으면 좋을 것 같다. 재미있는 광고하면 신라면 광고가 떠오를 수 있도록 광고자체의 이미지 컨셉을 잡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경우 유쾌한 광고의 이미지가 제품에도 전이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무심코 보던 한 제품의 광고가 이렇게 다양한 측면으로 분석되어질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한 편씩 광고를 따로 봤다면 그 광고자체의 흥미성이나 문구 등만을 가지고 제품에 대한 인지정도를 생각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과제를 하면서 소비자들에게 인식되는 제품의 이미지는 어느 한편의 광고보다는 과거부터 이어져온 여러 광고의 효과가 축적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광고를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넓은 시각을 가지고 전체 광고에서 소비자에게 말하고 하는 것을 분명하게 가지고 일관성있는 광고를 해야 한다. 또한 여기에 더하여 소비자들이 광고자체를 보고 즐길 수 있고, 좋아할 수 있도록 감각적인 요소가 더해진다면 그 광고는 금상첨화라 할 수 있겠다.
4. 참고자료
- 네이버 www.naver.com
- 풀빵닷컴 www.pullbbang.com
- 엠군 www.mgoon.com
- 광고정보센터 www.adic.co.kr
- 농심신라면 홈페이지 www.shinramyun.com
큰사람 큰사발 농심 큰사발
광고의 내용에 젊은이들의 도전과 패기가 주제이다. 큰사람 큰사발이라는 메시지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고, 사발면 광고 초기 때와 비교하여 보면 점차 광고의 내용이 감성적인 내용으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 2006년 12월
(남학생들과 여학생들 부딪힘)
어 니들 야! 뭐?
야옹아 어딨니~
아 아까 매운맛을 보여줬어야 하는데!
맛있냐?
농심 신라면~(노래)
광고모델이 이전 광고들보다 더 어린 학생들로 바뀌었다. 갑자기 광고 메시지에서 큰사람 큰사발이라는 내용이 빠지고, 매운맛이라는 컨셉으로 바뀌었다. 농심 신라면이라는 노래 구절이 마지막에 들어간 부분은 기존 봉지라면 광고와 상호 연상되도록 도와준다. 그 동안 유지해온 사발면 광고의 컨셉이 갑자기 바뀌었는데, 광고에서 봉지라면과 함께 매운 라면이라는 컨셉을 가질 것인지, 젊은이들의 라면이라는 컨셉을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정확한 방향이 필요하다. 또는 젊은이들의 라면이라는 컨셉과 매운 라면이라는 이미지를 접목시켜 광고를 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겠다.
* 신라면 사발면 광고 주제와 표현의 변천방향 평가
사발면 광고는 봉지라면 광고보다 그 시작이 늦었으므로 광고 초기에 이미 소비자들에게는 신라면에 대한 인지가 되어있었다. 초기에 이런 신라면 이미지에서 출출하고 바쁠 때 먹는 사발면으로 광고 컨셉이 잡힌 반면, 시간이 지날수록 젊은이들의 라면, 큰사람이 될 사람들이 먹는 라면이라는 컨셉으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최근에 들어서는 다시 매운맛이라는 컨셉을 넣어 광고를 하였는데, 전체적인 흐름으로 보았을 때는 매운맛을 컨셉으로 하여 봉지라면과 서로 광고에 있어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사발면 광고에서는 사나이 울리는 신라면이라는 문구를 찾아 볼 수가 없는데, 이는 전체 상품 이미지에서 소비자들이 일관성있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한다. 사발면 광고의 표현방식은 크게 변화한 것이 없지만, 최근 광고는 재미있는 광고를 만들려고 한 노력이 보인다. 매운맛을 강조하는 재미있는 광고가 오히려 소비자들의 관심을 주목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만, 사발면 광고에서는 어느 한 가지 광고 컨셉을 선택하였으면 그것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표현방식을 다양화하는 것은 좋은 시도였으나, 그 전에 제품과 광고의 일관성을 먼저 확립할 필요가 있다.
3. 결론: 신라면 광고의 변천과정 평가
신라면 봉지라면과 사발면 광고의 전체적인 광고 변천에 대해서 평가해보면, 첫 번째로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 광고 주제의 일관성 문제이다. 신라면 자체는 제품이름에서도 나타나 있는 것처럼 매운 라면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이런 특성이 당연히 광고에서도 나타나야 하는데, 초기 광고에는 그런 내용들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다가 2000년대의 광고에서 봉지라면 광고에서 이런 내용이 나타나고, 사발면에서는 전체 광고에서 매운 라면이라는 컨셉이 거의 없다. 이는 두 종류 라면이 같은 라면인데도 불구하고 서로 연관이 잘 안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각각 라면의 광고에서도 어떤 라면 하면 딱 떠오르는 라면의 이미지가 아직 광고자체에 자리 잡혀 있지 않은 것이 문제다. 신라면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가장 넓게 인식된 것이 매운 라면이라는 인식이므로 이런 인식을 좀 더 재미있게 광고에 담을 필요가 있다. 광고자체에 나오는 라면의 컨셉이 자꾸 바뀌다 보면 소비자들이 기존에 갖고 있던 신라면에 대한 인식마저도 흐려지게 되므로, 앞으로의 광고에서도 제품 컨셉에 대한 일관성 유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사발면 광고에서는 전체 흐름에서 여러 가지 제품의 컨셉이 나타나므로 한 가지로 통일할 필요성이 있다.
두 번째로 소비자들에게 상품에 대해서 인지시켜주는 시각, 청각 등의 감각적인 요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광고초기 농심 신라면이라는 구절이 광고에 몇 번 삽입되었으나,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않아 그 효과가 떨어졌다. 앞으로 이 구절을 광고할 때마다 강조하여 삽입하던지, 아니면 신라면 자체의 CM송을 만들어 광고에 넣는 것도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신라면이라는 이름은 이미 소비자들이 많이 알고 있으나, CM송 같은 경우는 소비자들이 그 광고 자체를 즐기게 되어 자동적으로 신라면에 대해서 떠올리게 해주기 때문이다. 더구나 요즘은 광고를 통해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만큼이나 광고자체에 대해서 즐기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런 흐름에 맞게 광고의 표현방식도 다양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라면 광고변천에 있어서 논해야 할 부분은 광고의 이미지이다. 서론에서 언급한 것처럼 요즘 광고는 단지 제품에 대한 정보만 담겨있으면 소비자들에게 즉시 잊혀지고 만다. 그러므로 웃거나 울거나, 또는 튀거나 하는 종류의 광고가 되어야 한다. 신라면의 매운 맛이라는 특성상 재미있는 광고로 방향을 잡으면 좋을 것 같다. 재미있는 광고하면 신라면 광고가 떠오를 수 있도록 광고자체의 이미지 컨셉을 잡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경우 유쾌한 광고의 이미지가 제품에도 전이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무심코 보던 한 제품의 광고가 이렇게 다양한 측면으로 분석되어질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한 편씩 광고를 따로 봤다면 그 광고자체의 흥미성이나 문구 등만을 가지고 제품에 대한 인지정도를 생각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과제를 하면서 소비자들에게 인식되는 제품의 이미지는 어느 한편의 광고보다는 과거부터 이어져온 여러 광고의 효과가 축적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광고를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넓은 시각을 가지고 전체 광고에서 소비자에게 말하고 하는 것을 분명하게 가지고 일관성있는 광고를 해야 한다. 또한 여기에 더하여 소비자들이 광고자체를 보고 즐길 수 있고, 좋아할 수 있도록 감각적인 요소가 더해진다면 그 광고는 금상첨화라 할 수 있겠다.
4. 참고자료
- 네이버 www.naver.com
- 풀빵닷컴 www.pullbbang.com
- 엠군 www.mgoon.com
- 광고정보센터 www.adic.co.kr
- 농심신라면 홈페이지 www.shinramy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