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여성어란
3. 일본어의 문법
4. 일본어의 어휘
5. 일본어의 남성어와 여성어의 구분
1) 일인칭 대명사
2) 이인칭 대명사
6. 일본어의 여성어
7. 결 론
참고문헌
2. 여성어란
3. 일본어의 문법
4. 일본어의 어휘
5. 일본어의 남성어와 여성어의 구분
1) 일인칭 대명사
2) 이인칭 대명사
6. 일본어의 여성어
7.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으려는 경향도 있고, 또한 그 구분이 불필요하다는 견해도 자주 보이고 있다. 언급하였듯이, 시대가 변하면서 남성어와 여성어의 구분이 많은 부분 무너졌기 때문이다. (마치 중세 한국어에서 철저하게 지켜지던 모음조화 현상이, 현대에 와서는 거의 무너져버린 것과도 같이.)
실제로 여성들이 남성어를 쓰는 것은 더이상 이상한 일이 아니다. 그러나 남성들이 여성어를 쓰는 것은 여전히 이상한 것으로 취급되고 있고, 또한 이들 어투의 분위기가 분명히 구분되는 것은 여전하기 때문에, 한동안은 이 구분을 지키는 것이 좀더 옳은 일이 아닐까 싶다.
또한 이러한 부분을 알고 있다면 좀더 언어생활을 풍부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배우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구분하여 알고 있다 하더라도 나쁠 것은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吳惠卿, 「현대 일본여성의 언어행동」, 일본연구, 2000
김효자, 『일본어 경어표현』,(주)시사영어사, 1991
정선혜, 『일본어 경어표현』,學一出版社, 1995
이경우, 「성차에 의한 언어 현상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 1991
이창숙, 「국어의 여성어 연구」, 강남어문, 2000
김종수, 페미니즘 언어학의 이해, 부산대학교 출판부,2001
실제로 여성들이 남성어를 쓰는 것은 더이상 이상한 일이 아니다. 그러나 남성들이 여성어를 쓰는 것은 여전히 이상한 것으로 취급되고 있고, 또한 이들 어투의 분위기가 분명히 구분되는 것은 여전하기 때문에, 한동안은 이 구분을 지키는 것이 좀더 옳은 일이 아닐까 싶다.
또한 이러한 부분을 알고 있다면 좀더 언어생활을 풍부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배우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구분하여 알고 있다 하더라도 나쁠 것은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吳惠卿, 「현대 일본여성의 언어행동」, 일본연구, 2000
김효자, 『일본어 경어표현』,(주)시사영어사, 1991
정선혜, 『일본어 경어표현』,學一出版社, 1995
이경우, 「성차에 의한 언어 현상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 1991
이창숙, 「국어의 여성어 연구」, 강남어문, 2000
김종수, 페미니즘 언어학의 이해, 부산대학교 출판부,2001
추천자료
[일문과 졸업논문] 종조사 `ね`と `よ` に関する 考察
남성과 여성의 대화, 의사소통, 언어적 차이(일반적, 음성적, 문법적, 어휘적, 화용적 차이) ...
2017년 1학기 일본어활용1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일본어활용1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일본어활용1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일본어활용1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일본어활용2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중급일본어활용2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일본학과 일본어활용2 기말시험 핵심체크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자음 발음과 관련된 오류 예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