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1) 실험재료
(2) 실험방법
3. 실험결과
4. Discussion
# Sample Buffer의 구성
# 전기영동의 원리
5. Reference
2.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1) 실험재료
(2) 실험방법
3. 실험결과
4. Discussion
# Sample Buffer의 구성
# 전기영동의 원리
5. Reference
본문내용
680-685). 불연속 전기영동법의 가장 큰 장점은 많은 용적의 시료를 로딩하더라도 좋은 해상도로 얻을 수 있다는데 있다.
전기영동용 완충용액(running buffer)에 포함된 glycine은 의가약산으로서 음전하와 양전하를 동시에 띨 수 있다. 이와 같은 zwitter이온의 성질을 이용하면 gel내의 pH조건에 따라 glycine의 net charge와 이로 인한 전기영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기영동을 시작하면 leading 이온인 Cl-이온과 단백질, glycine이온이 모두 양극을 향해 출발하게 된다.
Glycine은 stacking gel의 낮은 pH 조건에서는 거의 중성을 띠므로 국부적인 전류의 감소현상이 유발된다. 따라서 낮은 pH 조건에서도 이동도가 빠른 Cl-이온과 이동도가 느린 glycine 이온 사이에 매우 높은 전위차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전위차에 위해 glycine이온이 Cl-이온을 빠르게 뒤따르게 된다. 이때 상대적인 이동속도는 glycine < 단백질 < Cl-이 되며 따라서 단백질은 Cl-와 glycine 이온사이에 축적되어 이동하게 된다. Cl-와 glycine 이온의 간격은 수 mm로서 많은 용적의 시료에 있던 단백질도 running gel에 들어가 기전에 이사이에 축적되어 해상도를 높이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Stacking gel은 large-pore gel이므로 단백질의 molecular sieving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gel내의 미세통로 크기에 따라 단백질이 분리되는 현상).
이동 중인 이온들이 running gel에 이르게 되면 running gel의 높은 pH는 glycine이온을 음전하로 강하게 대전시켜 glycine의 이동속도가 단백질보다 빠르게 되며 단백질은 gel내에서 molecular sieving현상에 의해 분리된다.
Stacking gel은 acrylamide 농도가 3~5%인 것을 사용하며 pH는 6.8이다. Running gel (resolving gel 또는 separating gel)은, 분리하고자 하는 단백질의크기에 따라 6~15%를 주로 사용하며 pH는 8.8이다 .
5. Reference
1. http://www.elpisbio.com/sub/support/protocols/SDS-PAGE-gel.htm
2. David L. Nelson, Michael M. Cox 공저, 2006, 생화학(상), 월드사이언스, pp92~94
전기영동용 완충용액(running buffer)에 포함된 glycine은 의가약산으로서 음전하와 양전하를 동시에 띨 수 있다. 이와 같은 zwitter이온의 성질을 이용하면 gel내의 pH조건에 따라 glycine의 net charge와 이로 인한 전기영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기영동을 시작하면 leading 이온인 Cl-이온과 단백질, glycine이온이 모두 양극을 향해 출발하게 된다.
Glycine은 stacking gel의 낮은 pH 조건에서는 거의 중성을 띠므로 국부적인 전류의 감소현상이 유발된다. 따라서 낮은 pH 조건에서도 이동도가 빠른 Cl-이온과 이동도가 느린 glycine 이온 사이에 매우 높은 전위차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전위차에 위해 glycine이온이 Cl-이온을 빠르게 뒤따르게 된다. 이때 상대적인 이동속도는 glycine < 단백질 < Cl-이 되며 따라서 단백질은 Cl-와 glycine 이온사이에 축적되어 이동하게 된다. Cl-와 glycine 이온의 간격은 수 mm로서 많은 용적의 시료에 있던 단백질도 running gel에 들어가 기전에 이사이에 축적되어 해상도를 높이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Stacking gel은 large-pore gel이므로 단백질의 molecular sieving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gel내의 미세통로 크기에 따라 단백질이 분리되는 현상).
이동 중인 이온들이 running gel에 이르게 되면 running gel의 높은 pH는 glycine이온을 음전하로 강하게 대전시켜 glycine의 이동속도가 단백질보다 빠르게 되며 단백질은 gel내에서 molecular sieving현상에 의해 분리된다.
Stacking gel은 acrylamide 농도가 3~5%인 것을 사용하며 pH는 6.8이다. Running gel (resolving gel 또는 separating gel)은, 분리하고자 하는 단백질의크기에 따라 6~15%를 주로 사용하며 pH는 8.8이다 .
5. Reference
1. http://www.elpisbio.com/sub/support/protocols/SDS-PAGE-gel.htm
2. David L. Nelson, Michael M. Cox 공저, 2006, 생화학(상), 월드사이언스, pp9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