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테일러주의에 입각한 '설거지 노동의 분석'에 들어가며
I-1. 노동으로서의 ‘설거지 노동’의 규명
I-2. 테일러리즘(Taylorism)에 입각한 ‘설거지노동’ 분석의 목적
II. 설거지 노동의 분석
II-1. 설거지 노동과정의 가정설정
II-2. 설거지 노동과정의 동작별 분석
II-3. 설거지 노동과정의 시간별 분석
III. 설거지 노동의 분석의 결론
I-1. 노동으로서의 ‘설거지 노동’의 규명
I-2. 테일러리즘(Taylorism)에 입각한 ‘설거지노동’ 분석의 목적
II. 설거지 노동의 분석
II-1. 설거지 노동과정의 가정설정
II-2. 설거지 노동과정의 동작별 분석
II-3. 설거지 노동과정의 시간별 분석
III. 설거지 노동의 분석의 결론
본문내용
록 왼쪽 손목의 회전 및 기울기의 움직임을 이용합니다. 즉 손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그릇을 이리저리 돌리고 세우는 과정을 통해 세척의 유용성을 높입니다.
한편 오른손으로는 세제의 거품과 이물질들이 깨끗이 세척되도록 물이 닿는 식기의 부위 및 주위를 손가락의 힘으로 문질러줍니다. 이 역시 왼쪽 손목의 운동과 마찬가지로 그에 상응하는 손목운동과 전후 반복운동이 요구되어 집니다.
[⑩단계 : 그릇 진열하기]
세척이 완료된 식기들을 진열하는 장소에 하나씩 진열하는 단계입니다. 식기를 진열하는 장소의 위치에 따라 팔동작의 방향이나 궤적이 달라지는데, 이 경우에는 진열대가 세척장소의 바로 위쪽에 위치합니다.
식기를 한손이나 양손으로 잡고 팔의 상하 반복 운동을 통하여 식기들을 진열합니다.
[⑪단계 : 주변 정리]
식기의 진열까지 완료되면 싱크대 내의 잔존 세제 및 물기를 행주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입니다. 손바닥을 행주에 밀착 시키고 손목의 유기적인 각도조걸과 팔꿈치의 전후 반복 운동을 통해 싱크대 주변을 깨끗이 정리합니다.
[⑫단계 : 고무장갑 제거 및 설거지 과정 완료]
최종적으로 착용한 양손의 고무장갑을 차례로 제거해줍니다. 왼쪽 고무장갑을 제거하기 위해 오른손의 엄지와 검기를 꼬집듯이 장갑의 끝부분을 잡고, 왼손은 팔꿈치의 후방 쪽 운동으로 이동하고 오른손을 왼손의 끝 방향 쪽으로 껍질을 벗기듯이 끌어내려 줍니다. 반대쪽도 같은 원리로 제거하여 제거된 고무장갑을 정리합니다. 이로써 설거지 과정이 최종적으로 완료됩니다.
II-3. 설거지 노동과정의 시간별 분석
설거지 노동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설거지 노동과정을 행동별로 12단계의 과정으로 세분하고, 설거지동작의 단계별 과정을 시간으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다음 <표-1>에서 각 단계별 소요시간을 나타냈으며 직접 체험한 이번 설거지 노동과정의 총 소요시간은 117초입니다.
설거지 행동별 단계
설거지 과정 시간
①단계 : 최초 설거지 실시의 준비자세
3초
②단계 : 고무장갑 착용
9초
③단계 : 세척대상의 정리
6초
④단계 : 세척대상의 운반
7초
⑤단계 : 세척대상 식기통(물 속)에 담그기
13초
⑥단계 : 수세미에 세제 뿌리기
5초
⑦단계 : 수세미 비벼서 거품내기
4초
⑧단계 : 그릇에 수세미 문지르기
평균8초*3=24초
⑨단계 : 물틀기 & 물로 세척하기
평균7초*3=21초
⑩단계 : 그릇 진열하기
6초
⑪단계 : 주변 정리
11초
⑫단계 : 고무장갑 제거 및 설거지 과정 완료
8초
총117초 (1분 57초)
III. 설거지 노동의 분석의 결론
이번 설거지 노동과정의 분석을 통해 설거지 노동을 각 12단계로 세분화하였으며 단계별로 노동과정의 시간을 도출하였습니다. 설거지를 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동작별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노동소요시간을 측정하여서 노동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테일러주의와 같은 원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는 이런 노동과정의 단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립하여 설거지를 보다 능률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노동 생산성을 이룰 수 있습니다.
우선 설거지 노동의 동작분석 결과, 설거지 노동에는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동작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즉, 수세미의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과정과 물을 이용하여 세제가 뭍은 대상을 씻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거지 노동 동작 과정 중에서 반복되는 동작 과정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즉, 이 동작과정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법으로 세제를 묻힌 그릇을 모으는 곳에 미리 물을 채워두고 세제를 묻히는 즉시 물 속에 담그면 어느 정도의 세제를 미리 씻겨 나가게 됩니다. 이 때문에 물을 틀어서 씻는 단계가 효율적으로 단축될 수 있습니다. 실제 설거지 노동 동작과정의 반복과정을 간단하게 실시한 결과, 8,9단계 총 소요시간 45초에서 31초로 9초가 단축되었습니다. 우리가 실시한 설거지의 경우는 세척대상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황을 가정하였기 때문에 비교적 단축 시간이 적지만, 설거지노동의 세척대상의 양이 증가할수록 단축시간 역시 비례하여 증가할 것입니다. 또한 위와 같은 원리로 설거지 세척 대상의 운반단계 중에서 식기들을 모으는 곳에 미리 세제를 풀어 놓거나 물을 채워 둠으로써, 이 역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그릇을 옮기는 과정에서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한 그릇들의 종류와 크기, 수량 등이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운반하는 방법 역시 다양하게 사용되어 집니다. 세척대상의 양에 따라 직접운반과 간접운반으로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우선 직접운반의 경우, 우리가 체험한 설거지 노동의 경우처럼 세척대상이 적을 시에는 한손 집기를 이용하여 몇 번의 반복 작업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세척대상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을 경우, 다수의 용기들을 한꺼번에 담아 운반할 수 있는 쟁반 등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간접운반은 다수의 용기들을 한번에 운반함으로써 몇 회의 반복과정을 줄여주어 4단계의 세척대상의 운반노동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설거지 제반 시설을 이용하는 동선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설거지 하는 과정에서는 수세미나 세제용품, 고무장갑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런 생산수단을 가까이 위치함으로써 설거지 행위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즉, 다양한 생산수단의 위치를 행위자의 위치에서 가깝게 위치하여 사용할 생산수단을 빠르게 이용함으로써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그릇을 진열하는 위치 또한 가깝게 위치시킴으로써 그릇을 씻은 다음에 바로 정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따로 정리하는 시간을 절약시킬 수 있습니다.
우리는 설거지 노동을 직접 체험하고 분석함으로써 노동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도출시켜 노동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였습니다. 즉, 테일러주의를 통한 설거지 노동의 분석과정으로 노동과정의 동작들을 세분화하고 이에 따라 노동과정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킬수 있는 방법들을 통해 노동의 생산력을 증가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한편 오른손으로는 세제의 거품과 이물질들이 깨끗이 세척되도록 물이 닿는 식기의 부위 및 주위를 손가락의 힘으로 문질러줍니다. 이 역시 왼쪽 손목의 운동과 마찬가지로 그에 상응하는 손목운동과 전후 반복운동이 요구되어 집니다.
[⑩단계 : 그릇 진열하기]
세척이 완료된 식기들을 진열하는 장소에 하나씩 진열하는 단계입니다. 식기를 진열하는 장소의 위치에 따라 팔동작의 방향이나 궤적이 달라지는데, 이 경우에는 진열대가 세척장소의 바로 위쪽에 위치합니다.
식기를 한손이나 양손으로 잡고 팔의 상하 반복 운동을 통하여 식기들을 진열합니다.
[⑪단계 : 주변 정리]
식기의 진열까지 완료되면 싱크대 내의 잔존 세제 및 물기를 행주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입니다. 손바닥을 행주에 밀착 시키고 손목의 유기적인 각도조걸과 팔꿈치의 전후 반복 운동을 통해 싱크대 주변을 깨끗이 정리합니다.
[⑫단계 : 고무장갑 제거 및 설거지 과정 완료]
최종적으로 착용한 양손의 고무장갑을 차례로 제거해줍니다. 왼쪽 고무장갑을 제거하기 위해 오른손의 엄지와 검기를 꼬집듯이 장갑의 끝부분을 잡고, 왼손은 팔꿈치의 후방 쪽 운동으로 이동하고 오른손을 왼손의 끝 방향 쪽으로 껍질을 벗기듯이 끌어내려 줍니다. 반대쪽도 같은 원리로 제거하여 제거된 고무장갑을 정리합니다. 이로써 설거지 과정이 최종적으로 완료됩니다.
II-3. 설거지 노동과정의 시간별 분석
설거지 노동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설거지 노동과정을 행동별로 12단계의 과정으로 세분하고, 설거지동작의 단계별 과정을 시간으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다음 <표-1>에서 각 단계별 소요시간을 나타냈으며 직접 체험한 이번 설거지 노동과정의 총 소요시간은 117초입니다.
설거지 행동별 단계
설거지 과정 시간
①단계 : 최초 설거지 실시의 준비자세
3초
②단계 : 고무장갑 착용
9초
③단계 : 세척대상의 정리
6초
④단계 : 세척대상의 운반
7초
⑤단계 : 세척대상 식기통(물 속)에 담그기
13초
⑥단계 : 수세미에 세제 뿌리기
5초
⑦단계 : 수세미 비벼서 거품내기
4초
⑧단계 : 그릇에 수세미 문지르기
평균8초*3=24초
⑨단계 : 물틀기 & 물로 세척하기
평균7초*3=21초
⑩단계 : 그릇 진열하기
6초
⑪단계 : 주변 정리
11초
⑫단계 : 고무장갑 제거 및 설거지 과정 완료
8초
총117초 (1분 57초)
III. 설거지 노동의 분석의 결론
이번 설거지 노동과정의 분석을 통해 설거지 노동을 각 12단계로 세분화하였으며 단계별로 노동과정의 시간을 도출하였습니다. 설거지를 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동작별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노동소요시간을 측정하여서 노동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테일러주의와 같은 원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는 이런 노동과정의 단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립하여 설거지를 보다 능률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노동 생산성을 이룰 수 있습니다.
우선 설거지 노동의 동작분석 결과, 설거지 노동에는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동작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즉, 수세미의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과정과 물을 이용하여 세제가 뭍은 대상을 씻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거지 노동 동작 과정 중에서 반복되는 동작 과정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즉, 이 동작과정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법으로 세제를 묻힌 그릇을 모으는 곳에 미리 물을 채워두고 세제를 묻히는 즉시 물 속에 담그면 어느 정도의 세제를 미리 씻겨 나가게 됩니다. 이 때문에 물을 틀어서 씻는 단계가 효율적으로 단축될 수 있습니다. 실제 설거지 노동 동작과정의 반복과정을 간단하게 실시한 결과, 8,9단계 총 소요시간 45초에서 31초로 9초가 단축되었습니다. 우리가 실시한 설거지의 경우는 세척대상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황을 가정하였기 때문에 비교적 단축 시간이 적지만, 설거지노동의 세척대상의 양이 증가할수록 단축시간 역시 비례하여 증가할 것입니다. 또한 위와 같은 원리로 설거지 세척 대상의 운반단계 중에서 식기들을 모으는 곳에 미리 세제를 풀어 놓거나 물을 채워 둠으로써, 이 역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그릇을 옮기는 과정에서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한 그릇들의 종류와 크기, 수량 등이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운반하는 방법 역시 다양하게 사용되어 집니다. 세척대상의 양에 따라 직접운반과 간접운반으로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우선 직접운반의 경우, 우리가 체험한 설거지 노동의 경우처럼 세척대상이 적을 시에는 한손 집기를 이용하여 몇 번의 반복 작업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세척대상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을 경우, 다수의 용기들을 한꺼번에 담아 운반할 수 있는 쟁반 등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간접운반은 다수의 용기들을 한번에 운반함으로써 몇 회의 반복과정을 줄여주어 4단계의 세척대상의 운반노동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설거지 제반 시설을 이용하는 동선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설거지 하는 과정에서는 수세미나 세제용품, 고무장갑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런 생산수단을 가까이 위치함으로써 설거지 행위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즉, 다양한 생산수단의 위치를 행위자의 위치에서 가깝게 위치하여 사용할 생산수단을 빠르게 이용함으로써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그릇을 진열하는 위치 또한 가깝게 위치시킴으로써 그릇을 씻은 다음에 바로 정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따로 정리하는 시간을 절약시킬 수 있습니다.
우리는 설거지 노동을 직접 체험하고 분석함으로써 노동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도출시켜 노동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였습니다. 즉, 테일러주의를 통한 설거지 노동의 분석과정으로 노동과정의 동작들을 세분화하고 이에 따라 노동과정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킬수 있는 방법들을 통해 노동의 생산력을 증가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