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봉동굴 유적 조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두루봉동굴 유적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소 재 지

시 대

발굴연도

발굴기관

☑ 지질적 특성

☑ 제 2 굴

☑ 제 15굴 집터

☑ 새 굴

☑ 처녀굴

☑ 흥수굴

본문내용

홍수굴에서는 나온 석기의 감은 석영, 규암, 규장암, 거정화강암, 반암 등이었고, 굴의 입구쪽에서 모롯돌망치를 비롯하여 많은 석기가 출토되어 이곳이 바로 석기제작소이며, 생활의 중심지임을 알 수 있었다. 긁개와 사냥돌, 자르개, 찍개, 밀개 등이 나왔는데, 긁개는 가파른 날을 가진 것이 많으며, 계단식 떼기를 배푼 것이 자주 보인다. 화덕자리 옆에서 많이 나온 사냥들과 찌르개는 그때 사람들의 사냥행위 및 도살행위를 복원할 수 있는 좋은 자료로 여겨진다. 석영판자돌을 이용하여 엇갈림떼기를 베풀어 만든 전형적인 안팎날 찍개는 우라니라 구석기 표준 유적인 석장리의 자갈돌찍개와 비료되며, 판자돌을 몸돌로 하여 만든 주먹도끼(Proto hand-axe)는 아시아 주먹도끼 전통문화에서 새로운 위치를 차지할 것이 확실하다. 이 흥수굴에서는 대부분 석기들이 층위로 출토되어, 자세한 연구로 문화성격이 밝혀질 것이다. 동물화석으로는 멧돼지.사슴.오소리.박쥐.달팽이 등이 출토되어 식생활 및 기후를 복원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것은 앞으로의 연구에서 체질학적 인류의 특성과 매장방법 습속에 관한 많은 자료가 밝혀져 돌연모를 갖고 있는 전체의 문화성격이 밝혀질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10.10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58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