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오이의 특징
Ⅲ. 오이의 선택법
1. 우량품
2. 불량품
3. 오이의 음식궁합
1) 찰떡궁합 - 소주와 오이
2) 금기음식 - 오이와 무
3) 금기음식 - 당근과 오이
Ⅳ. 오이와 락과
Ⅴ. 오이의 류과발생 추이
1. 다다기율과 류과발생
2. 류과율 및 수량
3. 품종별 무기성분 및 당함량 비교
Ⅵ. 오이의 효능
참고문헌
Ⅱ. 오이의 특징
Ⅲ. 오이의 선택법
1. 우량품
2. 불량품
3. 오이의 음식궁합
1) 찰떡궁합 - 소주와 오이
2) 금기음식 - 오이와 무
3) 금기음식 - 당근과 오이
Ⅳ. 오이와 락과
Ⅴ. 오이의 류과발생 추이
1. 다다기율과 류과발생
2. 류과율 및 수량
3. 품종별 무기성분 및 당함량 비교
Ⅵ. 오이의 효능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며, 일부는 계절적 적응 형태에 따른 것도 고려되어야만 할 것이다. 즉, 겨울살이청장과 샤프 1호 는 촉성 또는 반촉성재배에 적합한 품종으로 기상조건이 식물체 및 과실의 생육을 촉진하였을 것이고 반대로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억제재배용인 남극 1호에서 당함량이 더 높을수도 있으므로 이점에 대해서는 앞으로 보다 정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Ⅵ. 오이의 효능
오이가 밥상에 오르게 되면 여름이 온 것을 알 수 있던 옛날과는 달리 지금은 일년 내내 먹을 수 있어 계절 감각을 잃게 되었다. 오이는 원산지가 인도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 도입된 경로는 확실하지 않으나 상당히 오래 전부터 재배해 왔으며, 지금은 대배채소 중 가장 중요한 품목의 하나로 되었다. 오이는 박과에 속하는 덩굴성의 1연초이다. 히말라야 산맥 근처에는 노랗게 익은 야생의 큰 오이가 굉장히 많다고 한다. 노랗게 익기 때문에 황과(黃瓜)라고도 하며, 한 명으로는 호과(胡瓜)라고 한다. 우리가 식용으로 하는 오이는 녹색의 미숙한 것이어서 씨가 많아도 그대로 먹게 된다. 우리나라 속담에도 도둑질은 유전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오이는 씨가 있어도 도둑은 씨가 없다라는 말이 있다. 오이는 [칼륨] 함량(14mg)이 높아 알칼리성 식품이다. 이 칼륨은 인체의 구성물질로 약 0.35% 가량 들어 있는데 인산염으로서 혈액 및 근육조직 기관과 분비액 중에 존재한다. 칼륨을 많이 먹게 되면 체내의 나트륨염(소금)을 많이 배설하게 되어 체내의 노폐물이 나가게 되어 몸이 맑게 된다. 오이는 비타민과 무기질(회분)의 공급원으로 중요할 뿐 아니라 향미, 색깔, 씹히는 멋 등으로 식사에 변화와 풍족감을 주고 있다. 오이는 색깔은 엽록소이다. 오이지나 소박이를 담그면 갈색으로 변하는 것은 생성된 산 때문에 엽록소가 분해되기 때문이다. 오이 냄새는 오이알코올이라는 성분 때문에 나는 것이며, 오이꼭지의 쓴맛은 쿠커타파신이라는 성분인데, 품종에 따라서 다르나 저온에서 생육이 나쁘거나 건조가 심할 때 더 생긴다. 오이는 이뇨의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위병에도 좋다고 한다. 부종이 있을 때 오이 덩굴을 달여 먹으면 잘 낫는데 이 물은 피부를 곱게 하므로 화장수로 쓰인다. 오이팩을 하는 이유도 바로 이러한 효과를 노린 것이다. 오이에 많은 엽록소와 비타민 C는 피부미용에 금상첨화 격이다. 오이는 오이지, 오이장아찌, 소박이, 생채, 냉국, 오이무침, 오이샐러드 등 우리의 식탁을 풍성하게 해주는 대표적인 채소가 아닐 수 없다.
참고문헌
△ 박한영·가등미, 오이의 측지발생에 미치는 착과의 영향, 농시보고25(원예) 31-36, 1983
△ 유철성, 고소득 채소시설 재배, 오성출판사
△ 영양생장조절에 의한 오이 양질다수확 재배법 연구, 원예연시험연구보고 170-173
△ 온수 지중가온이 동계 시설오이의 근권환경,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론문, 1995
△ 조정래·허노열·김승유, 수출오이 주년재배체계 확립, 원예연시험연구보고 157-160, 1994
△ 채소원예총론, 향문사
Ⅵ. 오이의 효능
오이가 밥상에 오르게 되면 여름이 온 것을 알 수 있던 옛날과는 달리 지금은 일년 내내 먹을 수 있어 계절 감각을 잃게 되었다. 오이는 원산지가 인도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 도입된 경로는 확실하지 않으나 상당히 오래 전부터 재배해 왔으며, 지금은 대배채소 중 가장 중요한 품목의 하나로 되었다. 오이는 박과에 속하는 덩굴성의 1연초이다. 히말라야 산맥 근처에는 노랗게 익은 야생의 큰 오이가 굉장히 많다고 한다. 노랗게 익기 때문에 황과(黃瓜)라고도 하며, 한 명으로는 호과(胡瓜)라고 한다. 우리가 식용으로 하는 오이는 녹색의 미숙한 것이어서 씨가 많아도 그대로 먹게 된다. 우리나라 속담에도 도둑질은 유전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오이는 씨가 있어도 도둑은 씨가 없다라는 말이 있다. 오이는 [칼륨] 함량(14mg)이 높아 알칼리성 식품이다. 이 칼륨은 인체의 구성물질로 약 0.35% 가량 들어 있는데 인산염으로서 혈액 및 근육조직 기관과 분비액 중에 존재한다. 칼륨을 많이 먹게 되면 체내의 나트륨염(소금)을 많이 배설하게 되어 체내의 노폐물이 나가게 되어 몸이 맑게 된다. 오이는 비타민과 무기질(회분)의 공급원으로 중요할 뿐 아니라 향미, 색깔, 씹히는 멋 등으로 식사에 변화와 풍족감을 주고 있다. 오이는 색깔은 엽록소이다. 오이지나 소박이를 담그면 갈색으로 변하는 것은 생성된 산 때문에 엽록소가 분해되기 때문이다. 오이 냄새는 오이알코올이라는 성분 때문에 나는 것이며, 오이꼭지의 쓴맛은 쿠커타파신이라는 성분인데, 품종에 따라서 다르나 저온에서 생육이 나쁘거나 건조가 심할 때 더 생긴다. 오이는 이뇨의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위병에도 좋다고 한다. 부종이 있을 때 오이 덩굴을 달여 먹으면 잘 낫는데 이 물은 피부를 곱게 하므로 화장수로 쓰인다. 오이팩을 하는 이유도 바로 이러한 효과를 노린 것이다. 오이에 많은 엽록소와 비타민 C는 피부미용에 금상첨화 격이다. 오이는 오이지, 오이장아찌, 소박이, 생채, 냉국, 오이무침, 오이샐러드 등 우리의 식탁을 풍성하게 해주는 대표적인 채소가 아닐 수 없다.
참고문헌
△ 박한영·가등미, 오이의 측지발생에 미치는 착과의 영향, 농시보고25(원예) 31-36, 1983
△ 유철성, 고소득 채소시설 재배, 오성출판사
△ 영양생장조절에 의한 오이 양질다수확 재배법 연구, 원예연시험연구보고 170-173
△ 온수 지중가온이 동계 시설오이의 근권환경,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론문, 1995
△ 조정래·허노열·김승유, 수출오이 주년재배체계 확립, 원예연시험연구보고 157-160, 1994
△ 채소원예총론, 향문사
추천자료
[근로기준법][근로기준법개정][근로자]근로기준법과 근로자, 근로기준법개정의 역사, 근로기...
[방송법]방송법 개정 논란의 주요 쟁점 분석, 방송법 개정에 대한 찬성과 반대 의견 수립, 사...
[고용보험법, 고용보험요율, 직업능력개발훈련, 여성근로자, 근로자직업능력촉진]고용보험법...
[국세기본법, 국세, 국세기본법 목적, 국세우선권, 조세법률주의]국세기본법의 목적과 성격, ...
[국제인권법, 세계인권선언, 이주노동자인권, 피노체트사건, 이주노동자협약, 인권]국제인권...
[국가보안법, 국가안보]국가보안법과 국가안보, 국가보안법과 반공법, 국가보안법과 죄형법정...
[민사소송법, 민사소송법 당사자, 민사소송법 개정, 민사소송제도]민사소송법의 당사자, 민사...
[미국법, 미국법 형성, 미국법 특색, 영미법, 미국주법, 미국, 미국헌법, 미국식 교수법]미국...
[근로기준법, 근기법, 근로기준법(근기법) 추진배경, 근로기준법 개안악요지]근로기준법(근기...
[고용보험법][고용보험법 정의와 목적][고용보험법 법적 지위][심사청구]고용보험법의 정의와...
[공직선거법(선거법)]공직선거법(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선거법)의 제정배경, 주요내용, ...
[신문법]신문법(신문등의자유와기능보장에관한법률)의 필요성, 구성, 신문법(신문등의자유와...
[정신보건법, 정신보건법 제정, 정신보건법 전달체계, 정신보건법 권리, 정신보건법과 인권, ...
[증권거래법, 증권거래법 성격, 증권거래법 개정내용, 공시제도, 기업합병제도]증권거래법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