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잉여가치의 원천
Ⅲ. 잉여가치의 재전환
Ⅳ. 잉여가치율의 의미
Ⅴ. 잉여가치율과 이윤율의 관계
Ⅵ. 잉여가치율과 노동력의 착취도
1. 잉여가치율
2. 필요노동시간
3. 잉여노동시간
Ⅶ. 잉여가치의 자본에 대한 잘못된 이해
참고문헌
Ⅱ. 잉여가치의 원천
Ⅲ. 잉여가치의 재전환
Ⅳ. 잉여가치율의 의미
Ⅴ. 잉여가치율과 이윤율의 관계
Ⅵ. 잉여가치율과 노동력의 착취도
1. 잉여가치율
2. 필요노동시간
3. 잉여노동시간
Ⅶ. 잉여가치의 자본에 대한 잘못된 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시간 중에 수행하는 노동이 잉여노동이다.
잉여가치율 s/v = 잉여노동/필요노동 이다. 그러므로 잉여가치율은 자본에 의한 노동력의 착취도 또는 자본가에 의한 노동자의 착취도의 정확한 표현이다. 잉여가치율은 s/C 또는 s/(c+v)가 아니라 s/v이며, 따라서 90/500 이 아니라 90/90=100% 인데, 이것은 외견상의 착취도의 5배 이상이나 더 크다. 잉여가치율의 계산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먼저 생산물의 총가치 중에서 그것에 재현될 뿐인 불변자본 가치를 0으로 본다. 나머지 가치액이 상품의 생산과정에서 현실적으로 새로 창조된 유일한 가치이다. 만약 잉여가치량이 주어져 있다면, 이 새로 창조된 가치에서 잉여가치량을 빼면 가변자본을 찾을 수 있다. 만약 가변자본이 주어져 있고 찾아내려는 것이 잉여가치라면 그 반대로 하면 된다. 만약 잉여가치와 가변자본이 모두 주어져 있다면 가변자본에 대한 잉여가치의 비율 s/v를 계산해 내는 마지막 작업만 하면 된다.
Ⅶ. 잉여가치의 자본에 대한 잘못된 이해
자본가가 잉여가치의 일부를 가지고 자기 자신의 소비를 위하여 구매하는 상품이 그의 생산수단이나 가치증식수단으로 되지 않는것과 마찬가지로, 그가 자기의 천성적·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구매하는 노동도 생산적 노동이 아니다. 자본가는 그러한 상품과 노동을 구매함으로써, 잉여가치를 자본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잉여가치를 소득으로서 소비하거나 지출하는 것이다. 고전파 경제학자들은 축적을 단순히 생산적 노동자에 의한 잉여생산물의 소비로 묘사. 잉여가치의 자본화는 단순히 잉여가치를 노동력으로 전환시키는 것(아담스미스) 수입 중 자본에 추가되는 부분은 생산적 노동자에 의해서 소비된다(리카도) 실제로는 잉여가치는 가변자본과 불변자본으로 분할된다. 노동력의 구매에 지출된 화폐는 생활수단으로 전환되는데, 이 생활수단은 생산적 노동이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적 노동자가 소비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 강남훈(2000), 정보혁명과 노동가치론
○ 김복주(1989), 경제학설사, 대왕사
○ 김수행(2002), 알기 쉬운 정치 경제학, 서울대학교
○ 김춘송(1995), 자본론의 이해, 민지사
○ 오카자키 에이마쓰(1986), 해설 자본론, 이론과 실천
○ K. Marx(1966), 잉여가치 학설사 제4권 제 1부, 도서출판 백의
○ K. Marx(1966), 잉여가치 학설사 제4권 제 2부, 도서출판 백의
잉여가치율 s/v = 잉여노동/필요노동 이다. 그러므로 잉여가치율은 자본에 의한 노동력의 착취도 또는 자본가에 의한 노동자의 착취도의 정확한 표현이다. 잉여가치율은 s/C 또는 s/(c+v)가 아니라 s/v이며, 따라서 90/500 이 아니라 90/90=100% 인데, 이것은 외견상의 착취도의 5배 이상이나 더 크다. 잉여가치율의 계산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먼저 생산물의 총가치 중에서 그것에 재현될 뿐인 불변자본 가치를 0으로 본다. 나머지 가치액이 상품의 생산과정에서 현실적으로 새로 창조된 유일한 가치이다. 만약 잉여가치량이 주어져 있다면, 이 새로 창조된 가치에서 잉여가치량을 빼면 가변자본을 찾을 수 있다. 만약 가변자본이 주어져 있고 찾아내려는 것이 잉여가치라면 그 반대로 하면 된다. 만약 잉여가치와 가변자본이 모두 주어져 있다면 가변자본에 대한 잉여가치의 비율 s/v를 계산해 내는 마지막 작업만 하면 된다.
Ⅶ. 잉여가치의 자본에 대한 잘못된 이해
자본가가 잉여가치의 일부를 가지고 자기 자신의 소비를 위하여 구매하는 상품이 그의 생산수단이나 가치증식수단으로 되지 않는것과 마찬가지로, 그가 자기의 천성적·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구매하는 노동도 생산적 노동이 아니다. 자본가는 그러한 상품과 노동을 구매함으로써, 잉여가치를 자본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잉여가치를 소득으로서 소비하거나 지출하는 것이다. 고전파 경제학자들은 축적을 단순히 생산적 노동자에 의한 잉여생산물의 소비로 묘사. 잉여가치의 자본화는 단순히 잉여가치를 노동력으로 전환시키는 것(아담스미스) 수입 중 자본에 추가되는 부분은 생산적 노동자에 의해서 소비된다(리카도) 실제로는 잉여가치는 가변자본과 불변자본으로 분할된다. 노동력의 구매에 지출된 화폐는 생활수단으로 전환되는데, 이 생활수단은 생산적 노동이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적 노동자가 소비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 강남훈(2000), 정보혁명과 노동가치론
○ 김복주(1989), 경제학설사, 대왕사
○ 김수행(2002), 알기 쉬운 정치 경제학, 서울대학교
○ 김춘송(1995), 자본론의 이해, 민지사
○ 오카자키 에이마쓰(1986), 해설 자본론, 이론과 실천
○ K. Marx(1966), 잉여가치 학설사 제4권 제 1부, 도서출판 백의
○ K. Marx(1966), 잉여가치 학설사 제4권 제 2부, 도서출판 백의
추천자료
정치경제학의 새로운 정체성을 위하여
마르크스와 베버의 계급론 비교
여성의 가사노동
자본주의적착취의동학
칼마르크스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자본주의적 착취의 본질에 대한 부르조아 경제학자들의 왜곡
마르크스 경제학에 관한 고찰
[정보혁명][정보][혁명][교육][데이터압축기술][정보상품][전자도서관][물류]정보혁명의 경향...
갈등주의(마르크스주의) 사회복지 사상
[페미니즘 연구] 가사노동 보조기술과 여성
가사노동
경제학] 칼 막스 / 막스의 자본론/ 막스의 경제학 이념 / 막스주의 / 막스베버의 자본주의...
[기업경영][기업자금][기업자본주의][기업구매자금대출][기업여신][기업사채][기업부채][기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