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Jung 등으로부터 내려온 유산에 대한 문화적 비평을 할 수 있는 용기를 되찾을 수 있다.
Book Review ………………………………………………………………………………
심리학의 깊은 바다 가장자리에 발을 살짝 담가보고 나니 『종교심리학』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종교심리학』을 열어보고 나니 앞서 우리의 목회현장이나 교회교육의 현장에서 이미 이러한 종교심리학이 활용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종교심리학』을 통해서 종교적 태도, 행동이 인간의 건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이며 종교적 회심, 종교적 경험을 무엇이라고 말하고 있는가, 종교와 영성의 관계성에 대하여 명확한 이론을 알고자 하였으나 명확하게 딱 떨어지는 해답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는 것이 『종교심리학』의 입장이다.
보이지 않는 정신과학을 드러내기 위해 심리학이 그러하듯이 종교심리학 또한 통계를 내고 결과물을 토대로 한 이론들을 다루었으며 다소 난해한 전문적 이론들로 인해 무리 없이 읽어 내려가기엔 부담이 되는 부분들도 있다.
심리학이 철학으로부터 기원되었지만 많은 부분 종교학에 기여하고 있으며 조직신학을 비롯하여 성서신학등 신학연구에서도 종교 심리학의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 『종교심리학』은 나에게 넓은 시야와 열린 마음을 갖고 받아들일 수 있기를 요구하고 있었기에 나의 치우쳐 있고 갇혀 있는 종교성의 문을 좀 더 넓게 여는데 다른 책을 대하는 시간보다는 좀 더 긴 시간을 요구되었다.
이 책이 출판(2003년)되기 전에 이미 2001년 사미자의 『종교심리학』이 출판되었는데 그녀가 심리학자가 아니기에 저자 김동기는 국내 심리학자로서 종교심리학 책을 쓴 것은 저자가 처음이라고 하였고 이 책의 출판을 계기로 한국 심리학회 산하에 종교심리학분과가 탄생되기를 기원한다고 하였다.
신학교에 입학하면서 작성하는 것이 있다. 신앙을 갖게 된 배경과 경로, 회심의 증거 등을 작성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것을 작성케 하는 의문을 가져 본적이 있다. 이제 종교심리학을 대하면서 신학교에서 이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마도 참된 신앙과 거짓 신앙을 구분하기 위함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그런데 참된 신앙과 거짓 신앙을 구분하는 데는 사목정책을 경험적인 측면을 가지고 설정하듯 개인적이고 제도적인 편견이 개입되기 마련이고 이러한 방식은 그 개인의 삶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종교심리학은 매우 좋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생각해 본다.
Book Review ………………………………………………………………………………
심리학의 깊은 바다 가장자리에 발을 살짝 담가보고 나니 『종교심리학』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종교심리학』을 열어보고 나니 앞서 우리의 목회현장이나 교회교육의 현장에서 이미 이러한 종교심리학이 활용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종교심리학』을 통해서 종교적 태도, 행동이 인간의 건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이며 종교적 회심, 종교적 경험을 무엇이라고 말하고 있는가, 종교와 영성의 관계성에 대하여 명확한 이론을 알고자 하였으나 명확하게 딱 떨어지는 해답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는 것이 『종교심리학』의 입장이다.
보이지 않는 정신과학을 드러내기 위해 심리학이 그러하듯이 종교심리학 또한 통계를 내고 결과물을 토대로 한 이론들을 다루었으며 다소 난해한 전문적 이론들로 인해 무리 없이 읽어 내려가기엔 부담이 되는 부분들도 있다.
심리학이 철학으로부터 기원되었지만 많은 부분 종교학에 기여하고 있으며 조직신학을 비롯하여 성서신학등 신학연구에서도 종교 심리학의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 『종교심리학』은 나에게 넓은 시야와 열린 마음을 갖고 받아들일 수 있기를 요구하고 있었기에 나의 치우쳐 있고 갇혀 있는 종교성의 문을 좀 더 넓게 여는데 다른 책을 대하는 시간보다는 좀 더 긴 시간을 요구되었다.
이 책이 출판(2003년)되기 전에 이미 2001년 사미자의 『종교심리학』이 출판되었는데 그녀가 심리학자가 아니기에 저자 김동기는 국내 심리학자로서 종교심리학 책을 쓴 것은 저자가 처음이라고 하였고 이 책의 출판을 계기로 한국 심리학회 산하에 종교심리학분과가 탄생되기를 기원한다고 하였다.
신학교에 입학하면서 작성하는 것이 있다. 신앙을 갖게 된 배경과 경로, 회심의 증거 등을 작성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것을 작성케 하는 의문을 가져 본적이 있다. 이제 종교심리학을 대하면서 신학교에서 이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마도 참된 신앙과 거짓 신앙을 구분하기 위함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그런데 참된 신앙과 거짓 신앙을 구분하는 데는 사목정책을 경험적인 측면을 가지고 설정하듯 개인적이고 제도적인 편견이 개입되기 마련이고 이러한 방식은 그 개인의 삶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종교심리학은 매우 좋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생각해 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요약)종교사회학이해-종교문화의 다양성
[스리랑카 언어][스리랑카 종교][스리랑카 역사][스리랑카 정치][스리랑카 경제][스리랑카 사...
[불교학과, 종교학과] 종교의 상징
[개신교][계시종교론][선교][교육][직업윤리][부흥운동][사회운동]개신교의 전래, 개신교의 ...
이슬람교 - 이슬람과 마케팅,이슬람종교와문화방식,종교레포트,이슬람오해,
과학·종교·예술에 대한 고찰 (과학, 과학·종교·예술의 정의 및 차이점과 상호관계)
[문명충돌][문명충돌과 문명개념][문명충돌과 종교][문명충돌과 새뮤얼 헌팅턴][문명충돌과 ...
[이문열 소설][사람의 아들][종교관][신관]이문열 소설 사람의 아들 이데올로기, 이문열 소설...
[문명충돌][문명][종교갈등][9.11테러][테러][새뮤얼 헌팅턴][세계정세]문명충돌의 개념, 문...
[상징][상징과 음성상징][상징과 종교적 상징][상징과 정치적 상징][상징과 관광상징][상징과...
[일본][일본 역사][일본 종교][일본 근대화][일본 공공성][일본 약점]일본의 역사, 일본의 종...
현대 사회에서의 종교의 새로운 의미를 정립하고, 바람직한 종교생활에 대해 논하시오.
현대 사회에서의 종교(宗敎)의 새로운 의미를 정립하고 바람직한 종교생활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복지시설들의 운영주체가 지자체로부터 위탁을 받은 종교법인에서 많이 운영하고 있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