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아시아의 국조(國祖) 신화(神話):단군, 황제, 아마테라스
(1)단군(檀君)
(2)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
(3)황제(黃帝)
참고할 만한 책
(1)단군(檀君)
(2)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
(3)황제(黃帝)
참고할 만한 책
본문내용
중국은 이 세 신을 ‘중화삼조(中華三祖)’라 부르며 사당(중화삼조당)을 만들어 제사를 모시고 있다. 물론 이 셋 중 중앙에 앉아 있는 것은 황제이다.
③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代工程)과 중화문명탐원공정(中華文明探源工程)
동북공정이 중국사의 무대를 공간적으로 확대하려는 시도라고 한다면 하상주단대공정과 중화문명탐원공정은 시간적 확대를 위한 것이다. 하상주단대공정을 통해 하왕조의 존재는 기정사실로 했고, 나아가 중국문명 5천년, 심지어 1만년까지도 가능하다고 하면서 黃帝를 비롯한 오제는 물론 그 이전의 삼황의 존재까지 실존한 인물로 보고 그것을 증명하기 위한 고고학적 발굴과 연구에 열을 올리고 있다.
참고할 만한 책
김학이천성림박진우 등 공저,『현대의 기억 속에서 민족을 상상하다』, 세종출판사, 2006.
③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代工程)과 중화문명탐원공정(中華文明探源工程)
동북공정이 중국사의 무대를 공간적으로 확대하려는 시도라고 한다면 하상주단대공정과 중화문명탐원공정은 시간적 확대를 위한 것이다. 하상주단대공정을 통해 하왕조의 존재는 기정사실로 했고, 나아가 중국문명 5천년, 심지어 1만년까지도 가능하다고 하면서 黃帝를 비롯한 오제는 물론 그 이전의 삼황의 존재까지 실존한 인물로 보고 그것을 증명하기 위한 고고학적 발굴과 연구에 열을 올리고 있다.
참고할 만한 책
김학이천성림박진우 등 공저,『현대의 기억 속에서 민족을 상상하다』, 세종출판사,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