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3세기
2. 4세기
3. 5세기
4. 6세기
참고문헌
2. 4세기
3. 5세기
4. 6세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여 함락시켰던 것이다. 이때 나머지의 여러 가야들도 모두 신라에 병합되었을 것이다. 이렇게 가야 여러 나라들은 신라에 병합되었으나, 그 문화와 인물은 신라에 흡수되어 신라문화의 발전에 커다란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한강하류 점령과 가야 지역 평정은 신라에게 경제적·군사적 토대를 배로 늘려주었고, 김유신·강수·우륵 같은 가야계 인적 자원을 보태주어 획기적 발전의 든든한 기반이 되었다. 이후 신라는 고구려·백제에게 협공을 받아 한때 위기 상황에 몰리기도 했지만, 탄력성 있는 대내외정책을 펼쳐 마침내 삼국을 통일하는 최후의 승자가 되었다.
한반도의 중원이라 불리 우는 충주의 모습 속에서 우리는 삼국이 치열한 항쟁 가운데 남긴 역사적 유물들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충주는 삼국시대에는 먼저 백제의 땅이었으나, 5세기 말 고구려 장수왕이 적극적인 남하정책을 펴면서 고구려땅이 되어 국원성으로 불렸다. 고구려는 충주를 비롯한 남한강 유역을 점령한 후 나라의 남방경계이자 장차 남방 진출의 거점이 될 이곳에 기념비를 세웠다. 가금면 용전리의 중원 고구려비가 그것이다.
삼국을 통일하게 됨으로써 신라라는 작은 나라를 통해 비로소 한반도가 하나로 합쳐지게 된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또한 영토가 하나로 합쳐지게 되다 보니 각국의 민족문화가 하나로 합쳐지게 됨으로써 융합된 민족문화가 등장하게 된 것도 하나의 의의라고 볼 수 있겠다. 비록 외세를 이용한 한반도의 통일이며, 고구려가 지배하였던 지역을 전부 통일하지 못하고 대동강과 원산만 이남만을 통일했다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한반도를 하나의 국가로 통일하였다는 점, 그리고 그것이 고구려와 백제와의 관계 속에서 얻어진 부산물이 아니라, 신라의 노력의 결실이라는 것에 더욱 의의를 두고 바라보는 것이 어떨까?
참고문헌
서의식 · 강봉룡 저.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고조선, 삼국]. 솔. 2003.
한국 문화유산 답사회 저.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북]. 돌베개. 2000.
국사편찬 위원회 저.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 탐구당 문화사. 1996.
박영규 저. 한권으로 읽는 고구려 왕조 실록. 웅진닷컴. 2003.
박영규 저. 한권으로 읽는 백제 왕조 실록. 웅진닷컴. 2003.
박영규 저, 한권으로 읽는 신라 왕조 실록, 웅진닷컴. 2003.
이기백 외 공저. 한국사강좌. 일조각. 1982.
국사편찬 위원회 저.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Ⅲ. 탐구당 문화사. 1996.
한강하류 점령과 가야 지역 평정은 신라에게 경제적·군사적 토대를 배로 늘려주었고, 김유신·강수·우륵 같은 가야계 인적 자원을 보태주어 획기적 발전의 든든한 기반이 되었다. 이후 신라는 고구려·백제에게 협공을 받아 한때 위기 상황에 몰리기도 했지만, 탄력성 있는 대내외정책을 펼쳐 마침내 삼국을 통일하는 최후의 승자가 되었다.
한반도의 중원이라 불리 우는 충주의 모습 속에서 우리는 삼국이 치열한 항쟁 가운데 남긴 역사적 유물들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충주는 삼국시대에는 먼저 백제의 땅이었으나, 5세기 말 고구려 장수왕이 적극적인 남하정책을 펴면서 고구려땅이 되어 국원성으로 불렸다. 고구려는 충주를 비롯한 남한강 유역을 점령한 후 나라의 남방경계이자 장차 남방 진출의 거점이 될 이곳에 기념비를 세웠다. 가금면 용전리의 중원 고구려비가 그것이다.
삼국을 통일하게 됨으로써 신라라는 작은 나라를 통해 비로소 한반도가 하나로 합쳐지게 된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또한 영토가 하나로 합쳐지게 되다 보니 각국의 민족문화가 하나로 합쳐지게 됨으로써 융합된 민족문화가 등장하게 된 것도 하나의 의의라고 볼 수 있겠다. 비록 외세를 이용한 한반도의 통일이며, 고구려가 지배하였던 지역을 전부 통일하지 못하고 대동강과 원산만 이남만을 통일했다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한반도를 하나의 국가로 통일하였다는 점, 그리고 그것이 고구려와 백제와의 관계 속에서 얻어진 부산물이 아니라, 신라의 노력의 결실이라는 것에 더욱 의의를 두고 바라보는 것이 어떨까?
참고문헌
서의식 · 강봉룡 저.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고조선, 삼국]. 솔. 2003.
한국 문화유산 답사회 저.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북]. 돌베개. 2000.
국사편찬 위원회 저.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 탐구당 문화사. 1996.
박영규 저. 한권으로 읽는 고구려 왕조 실록. 웅진닷컴. 2003.
박영규 저. 한권으로 읽는 백제 왕조 실록. 웅진닷컴. 2003.
박영규 저, 한권으로 읽는 신라 왕조 실록, 웅진닷컴. 2003.
이기백 외 공저. 한국사강좌. 일조각. 1982.
국사편찬 위원회 저.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Ⅲ. 탐구당 문화사. 1996.
추천자료
지역별 고유떡문화
지역분쟁사례연구-티벳
지역주의(지역감정) 투표에 관한 보고서
[지역사회복지체계][영국 지역사회복지][일본 지역사회복지][한국 지역사회복지][지역사회복...
[지역복지론]지역사회조사
라후족에게서 찾은 우리민족의 흔적 - 그들은 고구려의 후예다?
광주광역시의 연혁과 지역여건, 광주(광주광역시)의 고속철도와 축제, 광주(광주광역시)의 비...
국사(신라 삼국통일, 발해가 고구려의 계승국, 해상세력(호족), 청해진 설치, 고려 전기 귀족...
현재 본인이 거주(경기도 수원)하는 지역사회의 역사와 특성을 조사하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국가의 형성 - 청동기의 보급과 철기의 사용, 청동기와 철기 시대의 생활과 예술, 단군과 고...
신라통일왕국의 주자 김춘추, 김유신 (의자왕대, 고구려말기상황, 백제말기상황)
간도(間島) 지역분쟁과 우리나라의 대응방향 (간도지역 분쟁과 의미, 간도분쟁의 역사적 배경...
[의복의 역사] 의복의 기원, 원시시대, 삼국시대 복식_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복식, 통일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