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포주기(Cell Cycle)란?
*Cyclin과 CDK(Cyclin-dependent kinase)
① Cyclin & CDK의 구조와 기능
② Cyclin-CDK의 결합
*Cell cycle의 조절
① CDK의 조절
② CDK inhibitors.
*References
*Cyclin과 CDK(Cyclin-dependent kinase)
① Cyclin & CDK의 구조와 기능
② Cyclin-CDK의 결합
*Cell cycle의 조절
① CDK의 조절
② CDK inhibitors.
*References
본문내용
p21 gene이 발현된다. p21은 S-phase를 유도하는 Cyclin-CDK complex에 결합하여 CDK4/6/2의 kinas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Rb의 인산화를 막는다. 그 결과, 세포는 G1에 머물면서 손상된 DNA를 수리할 시간을 얻게 된다. 만일 DNA 손상이 세포가 수용하지 못할 정도로 심하면 p53은 apoptosis-inducing gene인 Bax 단백질의 gene을 발현시킨다. 즉, 세포증식의 조절에 있어서 p53의 작용은 p21 gene을 발현시켜 세포증식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 (growth-arrest) , 또는 p53-binding protein인 ASPP와 결합한 p53이 Bax gene을 발현시켜 세포 죽음을 유발하는 것 (apoptosis-inducing), 이렇게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Apoptosis는 예정된 세포 죽음(programmed cell death)이라고도 하며 세포가 조직 내에서 더 이상 필요 없을 때, 바이러스의 침입을 받았거나 암세포로 변환되었을 때 등, 개체수준에서 세포의 죽음이 오히려 도움이 되면 세포 스스로 자살하는 기전이다.
세포 증식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Tumor suppressor gene과 proto-oncogene과의 균형이 유지되어야 한다. Tumor suppressor gene인 p53이 mutation(변이)되면 비정상적인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할 수 없으므로 비정상적 세포 증식(Abnormal Cell Proliferation)을 유발한다. 또한 정상적인 세포 증식 인자인 Proto-oncogene이 변이(virus에 의한 유전자 치환 등으로 인한)되거나 과 발현되어 Oncogene이 되어도 암세포와 같은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을 유도한다. Oncogene은 비정상적인 활성을 갖는 Growth factor, Intracellular signaling protein을 만들어 False signal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의 증식 신호가 없어도 세포증식이 일어난다.
*References
http://oxen.konkuk.ac.kr/%7Emixed/cell-cycle.htm
http://www.biology.arizona.edu/cell_bio/tutorials/cell_cycle/cells2.html
http://www.chembio.uoguelph.ca/educmat/chm736/cycle.htm
세포 증식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Tumor suppressor gene과 proto-oncogene과의 균형이 유지되어야 한다. Tumor suppressor gene인 p53이 mutation(변이)되면 비정상적인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할 수 없으므로 비정상적 세포 증식(Abnormal Cell Proliferation)을 유발한다. 또한 정상적인 세포 증식 인자인 Proto-oncogene이 변이(virus에 의한 유전자 치환 등으로 인한)되거나 과 발현되어 Oncogene이 되어도 암세포와 같은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을 유도한다. Oncogene은 비정상적인 활성을 갖는 Growth factor, Intracellular signaling protein을 만들어 False signal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의 증식 신호가 없어도 세포증식이 일어난다.
*References
http://oxen.konkuk.ac.kr/%7Emixed/cell-cycle.htm
http://www.biology.arizona.edu/cell_bio/tutorials/cell_cycle/cells2.html
http://www.chembio.uoguelph.ca/educmat/chm736/cycle.htm
키워드
추천자료
세포 변성 변화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생물)
줄기세포 연구를 계속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편평상피세포 암종과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
줄기세포에 관해서
세포 분리 및 배양 실험
줄기세포 연구 찬반에 관한 영문 에세이
세포해부학에대한 이론과 그림
[뼈][골격][골격 세포][골격 성장][탄산음료]뼈(골격)의 정의, 뼈(골격)의 발생, 뼈(골격)의 ...
세포질분열
[산화, 세포산화조절, 일산화탄소, 이산화염소]산화와 세포산화조절, 산화와 일산화탄소, 산...
간세포암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 A형간염, B형간염, C형간염, 간경변증 구분
hcc 원발성 간암 또는 간세포성 암 케이스 스터디 A+ (간암 케이스, 간세포성 암 케이스, hcc...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