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표
3. 이론
4. 실험방법
5. Data
6. 결과 계산
7. 고찰
8. 참고문헌
2. 실험목표
3. 이론
4. 실험방법
5. Data
6. 결과 계산
7. 고찰
8. 참고문헌
본문내용
5바퀴 : = 33.0cm × 76.923g/s × 980cm/s = 0.2487690J/s
3.5바퀴 : = 32.0cm × 83.333g/s × 980cm/s = 0.2613323J/s
⑶ 유속
유속()=질량유량/(물의밀도×관의 단면적)
관의 단면적 : =1.45cm
1바퀴 : =53.050cm/s
2바퀴 : =65.681cm/s
3바퀴 : =62.696cm/s
4바퀴 : =72.595cm/s
5바퀴 : =65.681cm/s
1바퀴 : 측정불가
2바퀴 : =51.086cm/s
2.5바퀴 : =53.050cm/s
3.5바퀴 : =57.471cm/s
⑷ 레이놀드 수
1바퀴 : =72.148 (층류)
2바퀴 : =89.326 (층류)
3바퀴 : =85.267 (층류)
4바퀴 : =98.7292 (층류)
5바퀴 : =89.326 (층류)
1바퀴 : 측정불가
2바퀴 : =69.477 (층류)
2.5바퀴 : =72.148 (층류)
3.5바퀴 : =78.161 (층류)
7. 고찰
파란색의 gate라인으로 실험하기위해 마노미터와 피조미터의 공기방울을 다 제거 하고 압력을 나타내는 두 눈금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 모든 준비가 끝나고 실험을 시작하였다.
파란색의 gate라인을 먼저 측정하였고 하늘색의 glove라인을 측정하였다. glove라인을 측정하기 위해 밸브를 한바퀴 돌려놓고 펌프를 가동하였으나 마노미터와 피조미터의 높이가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그리고 물의 일정량이 이동되면 움직이던 수조도 움직이질 않았다. 기기를 멈추고 에어와 물의 상태, 누수 등을 점검하고 다시 펌프를 가동하였으나 마찬가지로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우리는 ‘glove sky라인 밸브 1바퀴’를 ‘측정불가’로 단정하고 밸브 2바퀴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혹시나 해서 다른 조의 자문을 구해보았는데 다른 조 역시 우리와 같은 경험을 하였다고 했다. glove sky라인은 유량조절밸브가 3.5바퀴 밖에 돌아가지 않아 측정을 1바퀴, 2바퀴, 2.5바퀴, 3.5바퀴에 대해 실시하였다.
실험을 마치고 계산을 하면서 왜 각 라인에 나타나는 눈금차가 다른지 계산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엘보, 곧은 관, 확장, 축소에 따른 관내의 마찰력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data로 통해 비교해볼 때 정확하게 실험이 되지는 않았다. 밸브 바퀴 수에 따라 압력이나 측정시간이 달라야 할 값이 간혹 같거나 오르락내리락 하게 측정되었다. 이것은 시간측정 시 오차가 생긴 것 같다.
8. 참고문헌
- ‘화학공학실험’ (김학준) - p180~186
- http://blog.naver.com/reenact98?Redirect=Log&logNo=40024253444
- http://203.255.224.7/%7Ekjkyum/html/fluidlec/fl01_36_lecnote.pdf
- http://211.221.242.201/Cyberlab/Heat_Fluid/friction/CyberLab.html
3.5바퀴 : = 32.0cm × 83.333g/s × 980cm/s = 0.2613323J/s
⑶ 유속
유속()=질량유량/(물의밀도×관의 단면적)
관의 단면적 : =1.45cm
1바퀴 : =53.050cm/s
2바퀴 : =65.681cm/s
3바퀴 : =62.696cm/s
4바퀴 : =72.595cm/s
5바퀴 : =65.681cm/s
1바퀴 : 측정불가
2바퀴 : =51.086cm/s
2.5바퀴 : =53.050cm/s
3.5바퀴 : =57.471cm/s
⑷ 레이놀드 수
1바퀴 : =72.148 (층류)
2바퀴 : =89.326 (층류)
3바퀴 : =85.267 (층류)
4바퀴 : =98.7292 (층류)
5바퀴 : =89.326 (층류)
1바퀴 : 측정불가
2바퀴 : =69.477 (층류)
2.5바퀴 : =72.148 (층류)
3.5바퀴 : =78.161 (층류)
7. 고찰
파란색의 gate라인으로 실험하기위해 마노미터와 피조미터의 공기방울을 다 제거 하고 압력을 나타내는 두 눈금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 모든 준비가 끝나고 실험을 시작하였다.
파란색의 gate라인을 먼저 측정하였고 하늘색의 glove라인을 측정하였다. glove라인을 측정하기 위해 밸브를 한바퀴 돌려놓고 펌프를 가동하였으나 마노미터와 피조미터의 높이가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그리고 물의 일정량이 이동되면 움직이던 수조도 움직이질 않았다. 기기를 멈추고 에어와 물의 상태, 누수 등을 점검하고 다시 펌프를 가동하였으나 마찬가지로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우리는 ‘glove sky라인 밸브 1바퀴’를 ‘측정불가’로 단정하고 밸브 2바퀴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혹시나 해서 다른 조의 자문을 구해보았는데 다른 조 역시 우리와 같은 경험을 하였다고 했다. glove sky라인은 유량조절밸브가 3.5바퀴 밖에 돌아가지 않아 측정을 1바퀴, 2바퀴, 2.5바퀴, 3.5바퀴에 대해 실시하였다.
실험을 마치고 계산을 하면서 왜 각 라인에 나타나는 눈금차가 다른지 계산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엘보, 곧은 관, 확장, 축소에 따른 관내의 마찰력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data로 통해 비교해볼 때 정확하게 실험이 되지는 않았다. 밸브 바퀴 수에 따라 압력이나 측정시간이 달라야 할 값이 간혹 같거나 오르락내리락 하게 측정되었다. 이것은 시간측정 시 오차가 생긴 것 같다.
8. 참고문헌
- ‘화학공학실험’ (김학준) - p180~186
- http://blog.naver.com/reenact98?Redirect=Log&logNo=40024253444
- http://203.255.224.7/%7Ekjkyum/html/fluidlec/fl01_36_lecnote.pdf
- http://211.221.242.201/Cyberlab/Heat_Fluid/friction/CyberLab.html
추천자료
도덕과 목표 설정의 기본 이론과 준거(제7차교육과정)
직관과 Gate Valve에서 압력강하와 마찰 손실 측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경험적 가족치료의 이론적 특성 및 주요개념과 치료목표
경험적 가족상담 이론의 개념과 상담 목표 및 기법
[실험보고서] 유체마찰 손실 및 유량측정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 개념과 치료 목표를 간단히 정리하고 이 치료기법을 어떤 가족...
과제중심모델 이론정리 (기본개념, 개입목표, 개입기법, 느낀점)
M&A(기업인수합병) 동기이론 (M&A와 기업목표, M&A의 제이론)
사회복지실천과 인지행동모델(인지행동이론, 기본개념, 인지행동모델실천목표, 실천과정, 실...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배경, 교육목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및 교사의 역할...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 유아...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