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감염관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1

본론 ---------------------- 1
Ⅰ. 치과감염관리
---------------------- 1
Ⅱ. 개인방어
---------------------- 2
Ⅲ. 기구관리
---------------------- 4
Ⅳ. 치과장비와 표면의 감염관리
---------------------- 9

결론 ---------------------- 11

본문내용

clave)
수증기 대신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 등을 사용하여 멸균하는 방법이다.
멸균조건 : 131°C, 20분
포장용 재료 : 구멍이 난 금속 트레이, 종이
◎ 장점
1. 주기 시간이 짧다.
2. 금속기구를 부식시키지 않는다.
3. 절단연을 무디게 하지 않는다.
◎ 단점
1. 기구를 처리하기 전에 완전히 건조시켜야 한다.
2. 특별한 화학용액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열에 약한 합성수지를 파괴한다.
4. 통풍이 잘 되지 않는 지역에서 화학약품 냄새가 난다.
5. 액체를 멸균할 수 없다.
③ alcohol류 (방부제 25%~50%, 살균제 70%~75%)
ㆍethyl alcohol (ethanol) : 70%, 2분내에 90%미생물이 죽는다. 주사시 피부, 손, 기구소독.
ㆍisopropyl alcohol : 살균력이 강하며 에틸알콜 대신 50%용액을 피부에 사용.
④ 포름알데히드 ( formaldehyde gas, formalin용액 ) ; 35~38%
ㆍ 강한 살균력, 냄새가 좋지 않고 인체에 유해
ㆍ 인체에 사용 전 증류수로 여러 번 철처하게 헹구어야 함.
ㆍ ex) cidex-결핵균 10분내, 자극성 냄새, 담근 후 사용 전에 증류수로 담군다.
ㆍ 비부식성 (고무나 플라스틱 제품의 멸균과 예리한 날이 있는 기구, 렌즈가 달린 기구소독에 적당, 자극성 냄새, 담근 후 사용 전에 증류수로 헹군다.)
⑤ phenol제제 (phenolic compounds) ; 3~5%용액
ㆍ살균력이 강하다. 약간의 열에도 농도가 일정하고 값이 싸다.
ㆍ부식성이 강하고 아포사멸불가, 작용이 느리다, 조직에 손상을 주어 피부를 거칠게 함.
ㆍ페놀 유도체 - cresol, lysol, hexachlorophene
⑥ 염소제제 (chloroline compounds)
ㆍ음료수 소독, 가구, 피부, 유리제품 소독
ㆍ부식성이 있으므로 금속류에는 사용하지 않음.
ㆍzepharon chloride - 외과수술 전 피부소독에 사용, 피부에 엷은 막 형성.
내시경과 같은 기구소독에 좋음.
⑦ 암모늄 제제 (ammonium compounds)
ㆍ인체 무해, 방부제, 소독제로 널리 쓰임, 비누와 함께 사용 시 살균력 저하.
⑧ Boric acid : 1~5%용액, 구강, 안결막 세척, 소독 시, 살균력이 약하다.
Ⅳ. 치과장비와 표면의 감염관리
치과의 유니트 체어와 그 표면은 진료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타액이나 혈액등이 묻은 치과 종사자의 손이나 환자의 구강 분비물이 치과 장비의 표면을 오염시킬 수 있다. 오염된 표면은 다음 환자의 진료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오염된 물질이나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술식이 요구된다.
1. 매 환자 치료 후 소독해야 하는 표면
① 3-way syringe의 손잡이와 튜브, 핸드피스 방출구 호스
② 타구와 양치룔 컵을 올려 놓는 곳, 타구의 외면
③ 조명등과 브라켓 테이블 손잡이, 조정용 손잡이와 스위치
④ 의자의 팔과 머리 받침,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의자
⑤ 아말감 혼합기, 광중합기
⑥ 유니트체어의 조정 스위치
⑦ 개수통 지역, 꼭지나 재래식 손잡이
2. 표면덮개
표면의 무균 술직에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즉, 표면덮개를 사용하는 방법과, 사용전에 세척 및 소독하고 사용으로 오염된 표면을 세척 및 소독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가능하면 사전후 세척보다는 표면을 덮는 것이 쉬운 방법이다.
표면덮개는 방수성과 불투과성을 갖춘 것이어야 한다. 주로 투명비닐재질로 된 싸개형, 주머니형, 튜브형이 있으며 비닐종이도 유용하다.
표면덮개는 환자가 오기 직전에 씌워야 하며 제거할때에는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만약 제거하다가 표면과 닿은 경우 그 표면을 세척하고 소독해야한다.
3. 표면세척
◎ 표면세척의 과정
분무 → 닦고 → 분무 → 10분후 건조
◎ 표면세척제의 종류
1) 알데하이드 류 : 글루타 알데하이드 - 바이텍스, 와이텍스
2) 아이오도포 : 포타딘, 베타딘, 포비돈
① 장점 : 가격저렴, 안전, 광범위한 살균력
② 단점 : 착색의 위험
3) 알코올 :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표면세척제로는 권장하지 않는다.
4) 과산화수소
5) 합성페놀 : 페닐페놀, 클로르 페놀, 벤질페놀
6) 차아염소산 나트륨 (락스)
① 단점 : 금속부식, 표백, 탈색, 자극적
4. 유니트 체어의 물관리
치과에서 사용되는 물은 주로 상수도를 통해 공급된다. 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호스를 따라 고속 핸드피스, 3-way syringe, 초음파 치석제거기 등의 여러 치료 장비로 전달되며, 치과 내의 나머지 시설물에도 동일하게 급수된다.
하지만 물은 정체시에 BioFilm을 생성하게 되고 이에는 병원성 미생물이 존재 할 수 있으므로 물관리 역시 필요하다.
역류성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물빼주기는 매 진료 시작전2~3분, 매환자 보기전20~30초, 공휴일2~3분정도 실시하고 수관소독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물에의한 교차감염을 예방하여야 한다.
◎ 수관소독방법
① 수관물비우기 : 물통을 비우고 핸드피스와 3-way syringe를 제거하고 페달을 밟아 물을 제거한다.
② 수관소독제 채우기 : 보통 차아염소산나트륨을 1:25로 물과 섞어서 사용한다.
③ 15분 방치
④ 수관헹구기 : 물통에 담겼던 소독제는 석션을 사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 석션역시 소독시킨다.
IMPRESSION
병원에서의 세균감염은 어느새 남의 일이 아니다. 지난 2006년 5월과 8월 MBC의 PD수첩에서 병원의 감염에 대한 사례를 조사하여 방영 한 적이 있었다.
현재는 그때에 비해 많이 나아졌다 하지만 아직도 감염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병원들은 많이 존재한다.
병원은 병을 고치러 가는 곳이지 미생물을 만나러 가는 곳은 아니다. 내가 앞으로 병원 조직원의 한 사람이 되려면 무엇보다 병원의 역할을 항상 인지하고 교차감염의 방지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
치과감염관리학 정원균외 11인 대한나래출판사 2002
치과임플란트학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대한나래출판사 2006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0.29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7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