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학사) 송대 정통론의 형성과 그 내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송대 정통론의 형성 배경

3. 북송시대의 정통사상 - 구양수를 중심으로

4. 남송시대의 정통사상 - 주희를 중심으로

5. 나오며

본문내용

의 역사인식下, 창작과 비평사, 1993, pp.427~428 참조. 사마광은 풍도(馮道)와 정도(鄭韜)의 사례를 들어 무너진 군신의 명분을 다시 바로잡으려 하였다.
반면 남송에서의 정통론은 이민족의 침입으로 민족적 위기에 대한 대항의식으로써 화이관과 더불어 유행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정통론들은 시대적인 모순과제를 해결하고자 하기 위한 사상적인 측면이라 할 수 있으며, 중국 역사서술에 있어서 발전을 가져온 점은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겠으나, 결국 정통이라는 것은 후대의 역사가들이 평가 하였듯이 전근대적 봉건왕조의 지속성을 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누노메 조후ㆍ구리하라 마쓰오 , 임대희 옮김, 중국의 역사 - 수당오대, 혜안, 2001.
陳芳明, 李範鶴 역, 송대 정통론의 형성과 그 내용, 중국의 역사인식下, 창작과 비평사, 1993.
高國抗, 오상훈ㆍ이개석ㆍ조병한 옮김, 중국사학사下, 풀빛, 1998.
卓用國, 中國史學史大要, 探求堂, 1986.
박지훈, 당송변혁기의 화이관의 이해, 중국학보v.40, 한국중국학회, 1999.
______, 남송 고종대 주전파의 화이론, 동양사학연구v.85, 동양사학회, 2003.

키워드

정통론,   사학사,   북송,   남송,   주자,   구양수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11.01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8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