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대 정통론(正統論)의 형성과 그 내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송대 정통론(正統論)의 형성과 그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통사상의 연원 및 정통논쟁
(1) 정통사상의 연원
(2) 정통사상의 논쟁

2. 송대 정통론의 형성 배경
(1) 오대(五代)의 혼란에 대한 감계(鑑戒)
(2) 춘추학의 성황
(3) 사서 편찬시에 부닥친 문제점

3. 송대 정통론의 내용
(1) 북송시기
(2) 남송시기

4. 결론

본문내용

통시기에는 여러 정권이 있으므로 주객을 나누지 않은 반면, 자치통감은 하나의 연호를 세움으로써 은연중에 특정한 정권의 정통적 지위를 인정한 것이 되었다. 주희의 통감강목이 나온 이후 사가의 정통관은 거의 그의 관점을 따른다. 특히, 주희 이후부터, 점차 정통론에 민족주의적 사고방식이 스며들어갔는데 이는 송조가 남쪽으로 간 때부터 시작해서 누차 오랑캐의 침입을 받아 온 시대적 배경 속에서 나타난 현상이다. 이때부터 정통론으로써 중국인과 이민족을 구별하는 화이(華夷)의 구분이 생겼다.
4. 결론
정통론에 결함이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것이며 이는 중국의 역사방법의 한계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중국의 정사에는 반드시 "본기"를 기록해야 하는데 본기는 정통의 소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분할되어 정립한 시대에는 이론이 분분하여 해결을 보기가 어려워. 하지만 송대의 정통론은 당시 시대적 배경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사적 관점에 본다면 중국사가의 자각을 의미하는 것이다. 정통론은 사학사상을 둘러싼 논의를 거쳐 수정되었는데 이 수정이 완전한 성공을 거두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이로써 사가라면 누구나 사학사상을 받아들이는 것이 맹목적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1.06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15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