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내부협상과 외부협상 (Two level game)
Ⅲ. 한국의 협상력
1)한국의 내부협상력 검토
2)한국의 외부협상력 검토
Ⅳ. 문제점 개선 방안
Ⅴ. 결론
Ⅱ. 내부협상과 외부협상 (Two level game)
Ⅲ. 한국의 협상력
1)한국의 내부협상력 검토
2)한국의 외부협상력 검토
Ⅳ. 문제점 개선 방안
Ⅴ. 결론
본문내용
에서 뛰어난 이들을 한국대표 협상단으로 임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무원의 순환보직으로, 한 협상에서도 몇 번이나 책임자가 바뀌는 비전문적이고 비효율적인 방법은 개선되어야만 할 것이다. 또한, 임명된 협상단은 내부협상을 최대한 외부협상에 반영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반대여론을 충분히 활용하여 협상 시 협상의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국민 이해관계자들을 모두 포함하는 말이다. 언론, 국회도 여기에 포함된다.
들에게 언론과 다양한 방송매체들을 통한 협상사안에 대한 제대로 된 교육을 통해서 국민들이 그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그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여 여론을 통합하고 그를 국가가 수용할 수 있는 ‘메커니즘’의 마련은 꼭 필요하다. 협상이 진행될 때마다 이러한 시스템의 작동을 통해 정부는 사실을 왜곡하고 숨기기에 급급한 언론플레이보다는 협상진행과정과 정부의 협상에 대한 입장결정이유, 그리고 논리적인 뒷받침이 전제되어 국민을 이해시키고 국민의 의견을 반영한 진정한 의미의 국가협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언론탄압과 언론봉쇄 보다는 매스미디어와 투명한 유기적 관계를 가져 그를 적절히 국가적 협력을 위해 이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의견도 시스템을 통하여 충분히 수렴하고 부득이한 경우는 예상되는 산업의 피해를 사전에 협의하여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구조조정이나 피해보상, 지원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Ⅴ. 결론
한국은 경제력 면에서 세계 상위권 안에 드는 국가이지만, 지리적 역사적 위치로 인해서 강대국들과 마찰이 많고 통상협상 또한 강대국을 위주로 일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우리의 협상력이 기대 이하인 것은 국력 때문이라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국력은 협상력과 현실적으로 보았을 때, 그 상관관계가 아예 없다고는 할 수 없다. 실질적으로 미국의 협상을 보면 국가적 보복을 앞세워 협박을 하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의 독도문제, 중국의 역사왜곡 문제만 보더라도 세계에서 한국이 가지는 입지보다 굳건함으로 비록 그것이 잘 못된 것이라 할지라도 국력이 약한 나라가 주장하는 것보다는 더욱 힘을 얻곤 하는 불공평한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의 협상력은 한국의 국력 때문이라고도 평가하는 의견이 전혀 타당성이 없다고는 할 수 없으나 본인은 잘 못된 판단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고려시대의 뛰어난 협상가였던 서희를 기억한다. 거대한 송과 거란의 틈바구니에서 거란이 80만 대군을 몰고 고려 침략에 나선 가운데 뛰어난 지혜로 국제정세를 판단하고 지혜롭게 협상으로 거란과의 전쟁을 막고 영토까지 넓힌 한국 역사상 최고의 협상가이다. 또한 협상은 항상 강대국들이 승리하는 것만은 아니다. 궐련에 있어서 미국보다 우위를 차지하는 쿠바를 생각해보면 미국과 쿠바의 궐련가격 협상에 있어서는 강대국인 미국보다 쿠바가 협상력이 더욱 높다는 것을 생각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국력이 약해서 라는 핑계 뒤로 숨기보다는 앞에서 검토한 한국의 협상력에 있어서 문제점을 잘 검토해보고 이를 개선하여 국가의 협상력을 증대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인생은 협상이다. 국가의 인생에 있어서도 협상은 중요하다. 앞으로 한국이 어떠한 길을 걷게 될 것인가는 협상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한 점을 잘 새기고 협상력을 기르기 위한 노력을 통해 서서히 문제점을 보완해 간다면 우리역사에 길이 남을 서희의 뛰어난 협상과 같이 훌륭한 협상에 관한 영웅담을 앞으로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참고자료>
김기홍, 서희, 협상을 말하다. 새로운 제안
신국호, 상생으로 가는 협상전략. 종합출판
모종린, 최병일, 한국의 통상협상. 오름
10년전 마늘파동이란, 서울경제, 2009.1.20
http://blog.daum.net/xpert15/11945517, 제5편 한중마늘협상, 2007.7.3
강진구, 美쇠고기 합의문 ‘퍼주기 협상’사실로..., 경향신문, 2008.5.5
광우병 여러건 발생해도 쇠고기 수입중단 못한다. 경향신문, 2008.5.5
YTN한미쇠고기협상타결 2008.04.18
(PD수첩)제작진 무더기 체포, PD&작가 강력 반발, 프레시안, 2009.4.28
대책회의 활동 1년, 광우병 위험은 현재진행형, OHMYNEWS ,2009.5.6
한-칠레 FTA에 대한 걱정은 기우, http://blog.daum.net/hellopolicy/6977703
들에게 언론과 다양한 방송매체들을 통한 협상사안에 대한 제대로 된 교육을 통해서 국민들이 그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그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여 여론을 통합하고 그를 국가가 수용할 수 있는 ‘메커니즘’의 마련은 꼭 필요하다. 협상이 진행될 때마다 이러한 시스템의 작동을 통해 정부는 사실을 왜곡하고 숨기기에 급급한 언론플레이보다는 협상진행과정과 정부의 협상에 대한 입장결정이유, 그리고 논리적인 뒷받침이 전제되어 국민을 이해시키고 국민의 의견을 반영한 진정한 의미의 국가협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언론탄압과 언론봉쇄 보다는 매스미디어와 투명한 유기적 관계를 가져 그를 적절히 국가적 협력을 위해 이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의견도 시스템을 통하여 충분히 수렴하고 부득이한 경우는 예상되는 산업의 피해를 사전에 협의하여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구조조정이나 피해보상, 지원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Ⅴ. 결론
한국은 경제력 면에서 세계 상위권 안에 드는 국가이지만, 지리적 역사적 위치로 인해서 강대국들과 마찰이 많고 통상협상 또한 강대국을 위주로 일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우리의 협상력이 기대 이하인 것은 국력 때문이라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국력은 협상력과 현실적으로 보았을 때, 그 상관관계가 아예 없다고는 할 수 없다. 실질적으로 미국의 협상을 보면 국가적 보복을 앞세워 협박을 하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의 독도문제, 중국의 역사왜곡 문제만 보더라도 세계에서 한국이 가지는 입지보다 굳건함으로 비록 그것이 잘 못된 것이라 할지라도 국력이 약한 나라가 주장하는 것보다는 더욱 힘을 얻곤 하는 불공평한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의 협상력은 한국의 국력 때문이라고도 평가하는 의견이 전혀 타당성이 없다고는 할 수 없으나 본인은 잘 못된 판단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고려시대의 뛰어난 협상가였던 서희를 기억한다. 거대한 송과 거란의 틈바구니에서 거란이 80만 대군을 몰고 고려 침략에 나선 가운데 뛰어난 지혜로 국제정세를 판단하고 지혜롭게 협상으로 거란과의 전쟁을 막고 영토까지 넓힌 한국 역사상 최고의 협상가이다. 또한 협상은 항상 강대국들이 승리하는 것만은 아니다. 궐련에 있어서 미국보다 우위를 차지하는 쿠바를 생각해보면 미국과 쿠바의 궐련가격 협상에 있어서는 강대국인 미국보다 쿠바가 협상력이 더욱 높다는 것을 생각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국력이 약해서 라는 핑계 뒤로 숨기보다는 앞에서 검토한 한국의 협상력에 있어서 문제점을 잘 검토해보고 이를 개선하여 국가의 협상력을 증대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인생은 협상이다. 국가의 인생에 있어서도 협상은 중요하다. 앞으로 한국이 어떠한 길을 걷게 될 것인가는 협상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한 점을 잘 새기고 협상력을 기르기 위한 노력을 통해 서서히 문제점을 보완해 간다면 우리역사에 길이 남을 서희의 뛰어난 협상과 같이 훌륭한 협상에 관한 영웅담을 앞으로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참고자료>
김기홍, 서희, 협상을 말하다. 새로운 제안
신국호, 상생으로 가는 협상전략. 종합출판
모종린, 최병일, 한국의 통상협상. 오름
10년전 마늘파동이란, 서울경제, 2009.1.20
http://blog.daum.net/xpert15/11945517, 제5편 한중마늘협상, 2007.7.3
강진구, 美쇠고기 합의문 ‘퍼주기 협상’사실로..., 경향신문, 2008.5.5
광우병 여러건 발생해도 쇠고기 수입중단 못한다. 경향신문, 2008.5.5
YTN한미쇠고기협상타결 2008.04.18
(PD수첩)제작진 무더기 체포, PD&작가 강력 반발, 프레시안, 2009.4.28
대책회의 활동 1년, 광우병 위험은 현재진행형, OHMYNEWS ,2009.5.6
한-칠레 FTA에 대한 걱정은 기우, http://blog.daum.net/hellopolicy/69777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