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기구 및 시약
3. 실험원리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
5. 고찰
6. 요약
7. 참고문헌
2. 실험기구 및 시약
3. 실험원리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
5. 고찰
6. 요약
7. 참고문헌
본문내용
tose는 적색 침전을 형성하여 이 둘은 환원당임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sucrose는 아무런 변화가 없어 비환원당임이 입증이 되었다.
3) Barfoed test는 단/이당류 구별하는 실험방법이다. Cu2+가 약산 용액 중에서 당질의 환원기에 의해 환원되어 Cu2O로 침전된다. 단당류는 이 반응에서 산화제일구리의 적색 침전을 형성하나 환원성 이당류에서는 이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단당류와의 구별에 사용된다. 결과로는 5% glucose만 적색 침전을 형성하여 단당류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5% sucrose, 5% maltose 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
7. 참고문헌
1. 식품화학실험 10th
2. 한국식품과학교수협의회(2009), 식품(산업)기사, 경기파주, 지구문화사
3.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14063694
4. http://cafe.naver.com/bioexper/28
3) Barfoed test는 단/이당류 구별하는 실험방법이다. Cu2+가 약산 용액 중에서 당질의 환원기에 의해 환원되어 Cu2O로 침전된다. 단당류는 이 반응에서 산화제일구리의 적색 침전을 형성하나 환원성 이당류에서는 이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단당류와의 구별에 사용된다. 결과로는 5% glucose만 적색 침전을 형성하여 단당류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5% sucrose, 5% maltose 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
7. 참고문헌
1. 식품화학실험 10th
2. 한국식품과학교수협의회(2009), 식품(산업)기사, 경기파주, 지구문화사
3.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14063694
4. http://cafe.naver.com/bioexper/2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