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계층과 언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계층과 언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사회 계급의 개념과 분류
2.1 사회 계급의 개념
2.2 사회 계급의 분류
2.3 한국의 사회 계급

3. 언어의 사회계층화 현상
3.1 계량 분석과 언어 변수
3.2 언어 변수의 사회 계급 분화
3.3 언어 변수의 질

4. 맺음말

본문내용

이익섭(1994:104-105)
첫 번째는 사회 지시소(社會 指示素)다. 이것은 분명히 사회 계급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언어 변수이기는 하지만 그 변이에 대해 언중이 거의 의식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그것을 듣고 화자의 사회적 지위를 판단하는 일에 거의 쓰이지 못하는 종류를 가리킨다.
(2)a. 소주: 소주~쏘주~쐬주
b. 꽃을: 꼬츨~꼬슬~꼬틀
(2a)는 어두경음화 현상의 한 예로 소주를 [쏘주]나 [쐬주]로 사용한다고 하여서 그 사람의 사회 계급을 딱히 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2b)도 마찬가지로 체언 어간말 자음의 마찰음화 현상을 예로 든 것이다.
두 번째는 사회 표지(社會 標識)다. 이것은 언중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꼬집어내든 못 하든 어떤 변이형으로 화자의 사회적 지위를 짐작케 해주는 종류라고 할 수 있다. 앞의 (ŋ)가 이 등급에 속할 것이다.
세 번째는 사회 통념형(社會 通念形)이다. 이것은 일반에게 널리 인식되어 흔히 이야깃거리가 되는 종류를 가리킨다. 지역 방언의 예로서 가령 경상도 방언의 특징으로 ‘머라카나’를 예로 들고, 또 전라도 방언의 특징으로 ‘그렇당개’를 예로 들면서 그것으로 사람을 놀리기도 한다. 이 경우 경상도의 ‘카’나 전라도의 ‘당개’는 통념형인데 어떤 변수가 그런 통념형의 수준에 이르면 그것이 곧 사회 통념형이 되는 것이다.
4. 맺음말
이상에서 사회에 따른 언어 사용의 변화에 있어서 그 사회적 요인의 하나로 사회계층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회 계급보다는 다소 느슨한 개념인 사회계층을 학력, 직업, 수입, 주거지 등의 기준으로 나누어 보았다. 또한 어떤 사회적 의미를 가지는 변이형을 거느리는 언어 항목으로 언어 변수를 정의하고 그 질(質)을 분류하며, 이 언어 변수로 사회 계급의 분화를 정리하였다. 그로 인해 사회계층이 주요한 사회적 요인의 하나라는 것과, 동시에 언어가 그 사회계층과 분명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로 요약할 수 있다. 가령 보다 낮은 계층에서는 비표준 변이형의 사용 빈도가 높았고 이에 반하여 보다 높은 계층에서는 표준 변이형의 사용이 잦았다.
지금도 많은 연구 성과들이 쏟아져 나오고는 있지만, 아직 가야할 길이 먼 것처럼 보인다. 국제화, 세계화라고 일컬어지는 21세기의 사회에서 보다 새롭고도 다채로운 모습을 연구하는 노력이 더욱 많아져야겠다.
【참고문헌】
김영모(1980), 「한국인의 계층조사와 계층의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논문집 제24집.
(1982), 『한국사회계층연구』, 일조각.
박문성 공역(2001), 『재미있는 사회언어학』, 보고사.
이익섭(1994), 『사회언어학』, 민음사.
이주행(1999), 「한국 사회계층별 언어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최명숙(1992), 「언어와 사회계층」, 한국영어교육연구회.
서울대학교 사회학연구회(1991), 『사회계층-이론과 실제』, 차산출판사.
신행철 외(1999), 『한국사회의 계급연구』, 아르케.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01g3337b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1.11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04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