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실험을 통한 분할 이론과 개념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뇌 분할 이론
1. 뇌 분할 이론의 개관
2. 죄뇌/우뇌 기능의 특성

Ⅱ. 뇌와 관련된 여러 실험들
1. 스페리(R. W. Sperry)의 고양이 실험
2. 스페리와 가자니가(Michael Gazzaniga)의 분할뇌 피험자 실험
3. 스페리와 가자니가(Michael Gazzaniga)의 분할뇌 환자 그림 실험
4. 기타 분할뇌와 관련된 유명한 실험들

Ⅲ. 뇌 관련 실험 결과가 주는 의미

본문내용

뜻인데요?"
답 : "그 배우가 꽤 잘 생겼거든요.. . 그렇케 생각지 않으세요?"
문 : "어떻게 잘 생겼다고 아나요?"
답 : "음. . . 하여튼 안다니까요."
문 : "그럼 얼굴이 어떻게 생겼는지말해 줄 수 있나요?"
답 : "아니요, 어떻게 생겼는지는말하기 어려워요. 그렇지만 어쨌든 잘 생겼어요."
문 : "이 배우가 나오는 영화 중 생각나는 것이 무엇이지요?"
답 : "내 생각에서 연극에서 본 것 같은데요. . . 그런데 영화는 생각이 안나요."
문 : "이 배우 이름을 아나요?"
답 : "몰라요. . ."
그리고 나서 똑같은 그림을 환자의 좌반구(左半球, left hemisphere)에 제시했다.
문 : "이 얼굴 내가 먼저 보여 준 적이 있나요?"
답 : "아니요."
문 : "그럼 이 사람이 당신이 쪼금 전에 바로 보았던 사람인가요?"
답 : "아니요, 모르겠어요."
문 : "그럼 이 사람이 누군지는 아는지요?"
답 : "네, 이 사람도 아주 잘 생겼네요 . 이 사람은 Rober Redford!"
Robert Redford 사진을 환자의 왼쪽 시야(left visual field)에 보여 주면, 이 환자의 오른쪽 뇌(右腦)가 이 배우가 누군지 알아차리고 말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배우사진을 오른쪽 시야(right visual field)에 보여주면, 이 사진을 조금 전에 보았는지는 기억을 못했지만, 이 사람이 잘생긴 남자 배우였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 연구로 Sergent(1990)는 분할뇌 환자 모두가, 뇌량의 단절로 오른쪽 뇌와 왼쪽 뇌 사이의 정보가 완전히 차단되는 것은 아니고, 어떤 정보의 일부는 하부피질을 통해 슬며시 전달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
Ⅲ. 뇌 관련 실험 결과가 주는 의미
두 대뇌 반구에 대한 연구는 발작이나 머리 부상 환자를 더 잘 치료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또한 스페리와 가자니가는 각 대뇌반구가 실제로 자체의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내리고 정서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어떤 정보의 조각들이 언어 형태로 저장되지 않으면 좌뇌는 이것에 접근할 수 없다고 보았으며, 이 결과 사람은 슬픔을 느끼면서 슬픔을 왜 느끼는지 말할 수 없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고 보았다.
이상과 같은 대뇌 반구이론에 대해서 시카고대학의 자르 레비(Jarre Levy)는 인간이 두 개의 분리된 기능을 하는 뇌를 가졌다는 개념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는 과학자이다. 그녀는 두 반구의 능력을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각 반구의 통합으로 뇌는 반구 하나만의 능력과는 다르게 더 훌륭한 방식으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야기를 읽을 때 우반구는 정서적 내용을 특수화하고, 시각적 기술을 형상화하며 예술적 문체를 감상한다. 좌반구는 단어를 이해하고 문장의 관련성으로부터 의미를 도출한다. 사실 읽기에 대한 가장 초보적인 이론에서도 읽기와 관련된 이러한 기능들은 상호작용적이고 동시발생적인 양상을 보여준다는 사실을 적시하고 있다.
또한 레비는 오직 한쪽 뇌만을 이용하는 인간의 활동은 없다고 보고 정상적인 사람은 반쪽 뇌나 두 개의 뇌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반구가 국재화(Specialized)된 능력을 발휘하고 있는, 하나의 훌륭하게 변별화된 뇌를 가지고 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참고문헌>
로저 호크 (2001). 심리학을 변화시킨 40 가지 연구. 서울 : 학지사.
Richard Restak (2004). 나의 뇌, 뇌의 나. 서울 : 학지사.
윤영화 (2001). 뇌과학에서 본 기억과 학습. 서울 : 학지사
서유헌 (2000). 잠자는 뇌를 깨워라. 서울: 평단문화사.
올리버 색스 (2002).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서울 : 살림터.

키워드

,   실험,   분할,   스페리,   가자니가,   좌뇌,   우뇌,   분석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11.12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07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