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사』의 고대문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문학사』의 고대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고대문학>

<중세전기문학 - 제1기. 삼국 남북국시대>

본문내용

개토왕릉비>는 글씨체도 고구려 기풍으로 되어있다. 이 비문은 지금 남아 있는 문학작품 가운데 연대가 확실한 최초의 것이며, 건국서사시 다음단계의 문학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었는가를 아는 데 소중한 자료이다. 또 이것은 초인간적인 상상이 아닌 사실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데 치중했다. <중원비>는 이두식 표기로 되어있고, 고구려의 우월성이 잘 드러난다.
백제의 비문에는 <사택지적비>가 있는데, 부여에 전한 것으로, 대우법에 충실한 변려문의 특색이 드러나며, 화려한 수식 위주의 미문취향을 지닌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의 비문에는 <적성비>와 순수비인 <창녕비>, <마운령비>, <황초령비>, <북한산비>가 있다. <적성비>에는 신라에 충성할 것을 권유한 내용이 담겨있고, 고구려의 중원비보다 이두식 표현이 더 많이 나타난다. 또 순수비는 이두식 표기가 고유명사에만 쓰인다. 즉, 위엄을 갖추기 위해서는 온전한 한문으로 지은 비문이 적합하다고 생각한 사고방식의 변화를 볼 수 있다.
4. 외교문서
고구려의 외교문서(국서)에는 <여수장우중문시>, <영고석>, <인삼찬> 등이 있다. <여수장우중문시>는 미사여구로 장식된 외교문서가 아닌 수나라 장수의 허세를 조롱하는 을지문덕의 시이다. 수나라 군사들이 굶주리고 피로한 기색을 보이자 을지문덕이 시를 보내어 상대방이 안심하고 후퇴하도록 한 다음 섬멸전을 펼쳤다. 이 시는 지금 남아 있는 최초의 한시인데, 반어적인 의미로 허세를 비꼬았다. 이들은 한문학의 내용을 다채롭게 보여준다.
백제의 국서로는 칠지도를 들 수 있는데, 칠지도를 일본에 내린 일이 있다. 앞면의 명문에 새겨진 칼의 유래를 설명하면서, 백병을 물리칠 수 있는 것이므로 후왕에게 준다고 했다. 이 후왕은 왜왕을 말했던 것 같다.
신라의 국서에는 <태평송>, <대사교서>, <유조>가 있다. <태평송>은 진덕여왕이 당나라에 보낸 시로, 세계제국의 위엄과 문화적 우월성을 인정하고 칭송하는 내용이며, 당나라에서 다듬어진 격식을 충실하게 갖추었다. 강수는 육두품 계층의 문인으로, 외교문서를 맡았는데, 문무왕은 삼국통일을 이루는데 강수의 공적이 컸다고 칭찬하였다. 또 문무왕의 <대사교서>는 삼국통일 후 민족의 단합을 꾀하고 민정을 안정시키기 위해 내린 교서이다. 그는 <유조>를 내려 자신의 공적을 강조하고, 자기가 죽으면 검약한 장례를 치를 것과 국방을 튼튼히 하고 과세를 감하며 율령을 편리한 대로 고쳐 시행할 것을 당부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1.19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1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