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전쟁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일전쟁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중일전쟁

●중일전쟁 배경

●경과

●전쟁의 고착화/전쟁의 확대

●종전

본문내용

서 6월에는 한커우로 통하는 철도를 봉쇄하고자 정저우 시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진격은 중국군이 황하의 제방을 무너뜨려, 주변 지역을 강물로 범람 시켰기 때문에 일본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게되고, 패배하게 된다.
그러는 동안에도 일본군은 장개석 정부의 수도인 한커우로 공격을 더욱 가열시켜, 8월에는 4만여 명의 병력을 영국령 홍콩으로부터 20마일 즈음 북쪽으로 상륙시킴으로써, 광동지역을 쉽사리 점령했다. 이 때문에 한커우는 그 주요 보급로가 차단당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9월에 가서야 장개석은 주요산업시설들을 보다 내륙으로 이전하는 한편, 수도를 충칭으로 옮겼다.
이렇게 되면서 1938년 말까지 일본은 중국의 해안 주요도시들을 거의 장악했었으나, 그 지역 내에 아직도 계속적인 난관에 부딪쳤엇다. 각 지역마다 게릴라의 활동은 나날이 격화되어가고, 일본의 비인도적인 행정통치와 점령지 주민들에 대한 갖가지 횡포 등으로 주민들의 적개심 또한 깊어만 갔다. 쉽사리 항복할 것으로 생각했던 중국군은 계속 저항을 하고 있엇고, 이와 동시에 미국이 중국 국민당에 더욱더 적극적으로 많은 원조를 제공함으로써 원기를 돋우어 주고 있었다.
2년 만에 신속한 승리를 쟁취하고자 했던 당초의 의도가 좌절된 일본 제국은 1939년에 접어들면서 최소의 군사력으로 전략적 요충지를 점거하는 봉쇄전술로 전환하게 되었다. 즉, 중국의 해안지대를 거의 점령한 일본군은 중국의 보급로를 봉쇄시키는 '경제적 교살정책'으로 바꾼 것이다. 그러나 넓은 대륙을 바탕으로 한 중국군과 중국인들의 끈질긴 저항으로 전쟁의 양상은 계속 지속되어 고착화 되어갔다.
2. 전쟁의 확대
1940년
1940년 이후 중국대륙은 일본군 점령지구, 충칭을 중심으로 하는 국민당 정부, 옌안을 중심으로 하는 공산당의 섬강녕변구 등 3개 지역으로 크게 나뉘었다.
전쟁이 고착화되어가면서 계속 시일만 끌어갈 뿐이였다. 그럼에 따라 마오쩌둥의 공산당은 세력이 점점 커져가고 팔로군도 1940년에는 40만 명으로 불어났고, 신사군이 2만에서 10만으로 급증되었다. 팔로군은 백단전투에서 일본군을 25000여명을 크게 무찌르는 등 성과를 보였다.
1941년
1941년 10월, 장제스의 국민당군과 마오쩌둥의 공산당계열의 신사군간의 싸움인 환남 사변이 일어나게 된다. 장제스의 명령에 의해 북상하던 신사군의 일부가 국민당군에 의해 기습을 당하게된다. 국민당과 공산당 양군은 7일동안 밤낮으로 전투했고, 이 전투에서 신사군 9천여명이 전사했고 1천여명이 간신히 탈출했다. 이 환남 사변으로 공산군은 커다란 충격을 맞게 된다.
1941년 12월 8일, 일본제국 연합 함대가 미국 하와이 진주만을 기습공격 함으로써,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게 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은 아시아전역으로 확대되었다.
중국 국민당 정부는 일본, 나치독일, 이탈리아왕국에 선전포고 선언을 하였다. 이렇게 됨으로써 국민당 정부는 연합군의 일원으로 참전하게 되면서 장제스의 직속부대들을 버마전선으로 파견하여 영국군과 공동작전을 전개해 나아갔었다.
이어서 미국은 조셉 스틸웰을 군사고문관으로 중국으로 파견하여 버마-인도전선 지휘를 하였고, 미 공군은 중국 전선으로 지원하여 중국 국민당 공군 소속으로 일본군과 싸워 제공권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들은 미 공군 의용대대는 플라잉 타이거즈라 불리며, 이들은 연합국이 일본군에 연패하던 태평양 전쟁 초기 몇 개월 동안 연합국 부대 중에서 유일하게 주목할 만한 전과를 올림으로써 연합국의 사기를 크게 올렸다. 이들 플라잉 타이거즈 대대는 미국이 태평양 전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해체되었고, 이후 중국대륙 내에는 미 육군 제 23 전투기 집단으로 대체되었다.
●종전
일본 제국은 태평양 전쟁 초기에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곧이어 미국 해군의 반격으로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 미 함대의 승리로 전세가 뒤바뀌기 시작하였고, 이어서 과달카날 전투에서 미군이 기세를 확고히 잡게된다.
미국 공군은 중국 전선에서도 제공권을 잡아, 일본제국 군대와 본토를 폭격하여 강타했다.
1945년이 들어서면서 일본제국의 패배가 명백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8울 6일에는 히로시마에 ,9일에는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떨어지고, 이어서 소련이 일본제국에 선전포고함으로써 소련은 '8월 폭풍 작전'을 감행했다. 이렇게 됨으로써 8월 15일에 일본제국 히로히토 덴노가 연합군에 무조건 항복 선언함으로써, 태평양 전선의 종전은 물론 중일전쟁도 종전을 맞아 일본제국의 침략전쟁은 막을 내리게 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1.30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35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