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Ⅰ. 십자군 원정의 배경과 원인
1. 경제적 원인
2. 정치적 원인
3. 종교적 원인
Ⅱ. 십자군 원정의 과정
1. 십자군 선발대 (1096)
2. 1차 십자군 원정(1096-1099)
3. 2,3차 십자군 원정(1147-1148, 1189-1192)
4. 4차 십자군 원정 (1202-1204)
5. 소년 십자군 원정(1212)
6. 5차, 6차 십자군 원정(1218 - 1221,1228-1229)
7. 제7차 십자군 원정(1248 - 1250)
8. 제8차 십자군 원정(1271 - 1272)
Ⅲ. 십자군 원정의 의의
1. 봉건주의의 쇠퇴
2. 왕권의 대두
3. 동방문명과의 교류
4. 정치력, 군사력의 향상
Ⅳ. 십자군 원정의 영향
1. 서유럽에 미친 영향
2. 비잔틴 제국에 미친 영향
3. 이슬람 세계에 미친 영향
Ⅰ. 십자군 원정의 배경과 원인
1. 경제적 원인
2. 정치적 원인
3. 종교적 원인
Ⅱ. 십자군 원정의 과정
1. 십자군 선발대 (1096)
2. 1차 십자군 원정(1096-1099)
3. 2,3차 십자군 원정(1147-1148, 1189-1192)
4. 4차 십자군 원정 (1202-1204)
5. 소년 십자군 원정(1212)
6. 5차, 6차 십자군 원정(1218 - 1221,1228-1229)
7. 제7차 십자군 원정(1248 - 1250)
8. 제8차 십자군 원정(1271 - 1272)
Ⅲ. 십자군 원정의 의의
1. 봉건주의의 쇠퇴
2. 왕권의 대두
3. 동방문명과의 교류
4. 정치력, 군사력의 향상
Ⅳ. 십자군 원정의 영향
1. 서유럽에 미친 영향
2. 비잔틴 제국에 미친 영향
3. 이슬람 세계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이 중세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4장에서는 이 영향을 더욱 구체화 하여 십자군 원정의 영향을 받은 비잔틴 제국과 이슬람 세계를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서 역사 속에서 십자군원정의 위치가 어떤 것인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Ⅰ. 십자군 원정의 배경과 원인
고대 로마제국이 동서로 양분된 후 시리아는 동로마 통치하의 속주가 되고 7세기 전반에는 이슬람교도인 아라비아인들에게 정복되었다. 그 후 638년 예루살렘이 그들에게 정복되었다. 한편 서유럽에서도 기독교가 부흥함에 따라 예루살렘에 대한 의식이 고취되어왔다. 11세기 중엽에 이르러서는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개인 혹은 집단 혹은 성지순례의 길을 떠났다. 이 무렵 동방의 이슬람세계에서는 셀주크 투르크(Seljuk Turks)가 세력을 신장하여 비잔틴제국까지 진출하였다. 십자군 원정의 표면상의 원인은 이들이 1071년 예루살렘을 점령한데서 시작된다. 이들은 이전의 이슬람 인들과는 다르게 그리스도인들의 성지순례를 방해했고 성지를 더럽히는 일이 자주 발생하였다. 1092년 셀주크 왕조의 통일이 깨지고 그 영토는 왕족들 간에 분할되었다. 이 기회에 비잔틴제국 황제 알렉시오스1세는 비잔틴제국의 부흥을 꾀하고자 로마 교황청으로 군사적 원조를 요청하는 사적을 보낸다. 이 요청에 의해 십자군이 형성되었고 성지순례에 대한 어려움과 박해로 인해 서방 기독교인들은 이슬람교도들로부터 예루살렘을 탈환해야한다는 의식이 팽배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방의 공식적 요청은 십자군이라는 형태로 그 열망을 분출할 수 있었다.
1. 경제적 원인
1차 십자군 원정이 발생하기 전에 유럽세계에는 약 30년간 흉년이 계속되었다. 이런 큰 흉년은 의식주의 문제에 압박을 주었고 결국 서방사람들은 인구밀도가 포화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라고 보았는데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동방의 땅을 점령하여 인구를 분산시켜야한다는 결론을 공감하고 있었던 것 같다. 동시에 1차 십자군 원정 직전 경제적 부흥이 이루어졌는데, 삼림은 날로 베어져 토지는 황폐해졌고 국경의 확장으로 경제가 확대되었지만 귀족들, 소시민들, 농민들은 새로운 길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 영주들과 하급기사들은 새로운 영토확보
를 위한 야망을 갖고 십자군에 참여하였고 상인들은 경제적인 이윤추구, 농민들은 봉건사회의 중압감에서 해방되려는 희망을 갖고 십자군에 참여하게 되었다.
2. 정치적 원인
동방과 서방의 교회도 10-11세기 동안 화해보다는 갈등의 관계로 지내고 있었다. 1054년 일어났던 교황청과 콘스탄티노플 대주교의 협상의 결렬로 불화관계는 더욱 심화되었고 비잔틴제국의 황제 알렉시오스 1세의 요청으로 교황 우르반2세는 서방에 십자군 원정에 협력하기를 요청했지만 그는 의견을 달리했다. 그는 동방원정이라는 어려운 사업을 통해 유럽에서 교황권을 더욱 확고히 하고 나아가서 비잔틴세계의 그리스 정교회를 로마교회 산하로 통일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 십자군 원정으로 확보된 영토에 라틴 제국을 건설하고 그곳의 교회도 동방교회의 소속이 아닌 유럽의 라틴교회영향권에 있었다. 당시의 정치권은 종교계의 흐름과 맞물려있기 때문에 종교적인 원인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고 서로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이어서 종교적 원인을 살펴보겠다.
3. 종교적 원인
4세기 초 콘스탄틴 시대 이후에는 성지순례가 성행하여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태어나신 베들레헴과 십자가에 달리신 곳, 골고다 언덕이나 예수님을 안장했던 무덤과 같은 성지나 성물들을 직접 보고 싶어 했는데, 11세기 초 셀주크 투르크인 들이 예루살렘을 점령하면서 이들의 기대는 이루어질 수 없었다. 셀주크 투르크인들은 기독교인들을 감옥에 가두거나 죽이기까지 했으며 심지어 교회의 감독들을 투옥시키기도 했다. 이러한 동방기독교인들에게 재난을 입히고 순례를 훼방하며 성지를 모독하는 일들이 유럽에 알려지게 되었다. 제 1차 십자군 원정을 위해 1095년 우르반 2세는 클레르몽(Clermont)회의를 소집하였다. 이 회의에서 하나님의 휴전과 하나님의 평화가 선포되었다. 평화운동이라는 명목은 이 전쟁이 억압받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십자군 원정은 동방의 기독교형제들을 돕는 것이라는 사상적 명분을 만들어 주었고, 더 나아가 서구유럽에서는 성지 재탈환 운동의 영향으로 기독교 국가를 위한 전쟁이 정당하며 오히려 거룩한 일이기 때문에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것이라는 사상이 만연하게 되었다.
우르반2세는 그는 클루니 수도원의 부원장까지 지냈던 클루니 개혁운동의 중심이었던 사람이었는데 교황권이 강화되어서 십자군 원정을 일으킬 수 있었다. 십자군 원정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또 다른 사람인 은둔자 베드로는 성지순례를 갔다가 꿈에 그리스도가 나타나서 성지를 정화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래서 구라파로 돌아와서 열정적으로 십자군을 일으켜야 한다는 설교를 했다. 그는 남프랑스, 스페인, 로레인, 라인강 지역까지 나귀를 타고 맨발로 다니며 설교를 했다.
우르반2세가 클레르몽공의회에서 설교했던 내용은 남아있지 않지만 그 자리에 있었던 4명의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Fulcher는 “십자군에 참여하는 사람은 십자군에 참여해서 죽으면 즉각적으로 모든 죄가 사하여지고 바로 천국에 갈 수 있다. 귀신을 믿는 천박한 민족이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는 민족을 점령한 것이 얼마나 불명예스러운 일인가. 기독교인들의 자긍심에 호소했다. \"같은 신앙인들끼리 부당하게 싸우는 자들은 불신자들과 싸우고, 봉건영주들은 잦은 싸움을 끝내고 이슬람교도와 싸우는 것이 낫다. 오랫동안 도적질을 했던 사람은 이번 기회에 기사가 되어라. 적은 돈을 보상으로 받고 용병으로 활동하는 자들은 이번 기회에 영원한 보상을 받기 위하여 이 전쟁에 참여하라. 십자군에 직접 참여하는 자들은 땅을 팔아서 경비를 조달하라.\" Robert는 “이슬람교도들은 기독교도들을 붙잡아서 노예로 팔거나, 살해하고, 교회당을 파괴하고, 제단을 헐었다. 그리스도인들을 붙잡아서 화살 과녁으로 삼았다. 잔인한 이슬람교도들의 박해 상을 사람들에게 말해 주었다. \"이 땅에는 인구가 많다. 땅은 넉넉지 않다. 성묘가 있는 곳에 있는 곳에 있는 악한 자들을
Ⅰ. 십자군 원정의 배경과 원인
고대 로마제국이 동서로 양분된 후 시리아는 동로마 통치하의 속주가 되고 7세기 전반에는 이슬람교도인 아라비아인들에게 정복되었다. 그 후 638년 예루살렘이 그들에게 정복되었다. 한편 서유럽에서도 기독교가 부흥함에 따라 예루살렘에 대한 의식이 고취되어왔다. 11세기 중엽에 이르러서는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개인 혹은 집단 혹은 성지순례의 길을 떠났다. 이 무렵 동방의 이슬람세계에서는 셀주크 투르크(Seljuk Turks)가 세력을 신장하여 비잔틴제국까지 진출하였다. 십자군 원정의 표면상의 원인은 이들이 1071년 예루살렘을 점령한데서 시작된다. 이들은 이전의 이슬람 인들과는 다르게 그리스도인들의 성지순례를 방해했고 성지를 더럽히는 일이 자주 발생하였다. 1092년 셀주크 왕조의 통일이 깨지고 그 영토는 왕족들 간에 분할되었다. 이 기회에 비잔틴제국 황제 알렉시오스1세는 비잔틴제국의 부흥을 꾀하고자 로마 교황청으로 군사적 원조를 요청하는 사적을 보낸다. 이 요청에 의해 십자군이 형성되었고 성지순례에 대한 어려움과 박해로 인해 서방 기독교인들은 이슬람교도들로부터 예루살렘을 탈환해야한다는 의식이 팽배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방의 공식적 요청은 십자군이라는 형태로 그 열망을 분출할 수 있었다.
1. 경제적 원인
1차 십자군 원정이 발생하기 전에 유럽세계에는 약 30년간 흉년이 계속되었다. 이런 큰 흉년은 의식주의 문제에 압박을 주었고 결국 서방사람들은 인구밀도가 포화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라고 보았는데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동방의 땅을 점령하여 인구를 분산시켜야한다는 결론을 공감하고 있었던 것 같다. 동시에 1차 십자군 원정 직전 경제적 부흥이 이루어졌는데, 삼림은 날로 베어져 토지는 황폐해졌고 국경의 확장으로 경제가 확대되었지만 귀족들, 소시민들, 농민들은 새로운 길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 영주들과 하급기사들은 새로운 영토확보
를 위한 야망을 갖고 십자군에 참여하였고 상인들은 경제적인 이윤추구, 농민들은 봉건사회의 중압감에서 해방되려는 희망을 갖고 십자군에 참여하게 되었다.
2. 정치적 원인
동방과 서방의 교회도 10-11세기 동안 화해보다는 갈등의 관계로 지내고 있었다. 1054년 일어났던 교황청과 콘스탄티노플 대주교의 협상의 결렬로 불화관계는 더욱 심화되었고 비잔틴제국의 황제 알렉시오스 1세의 요청으로 교황 우르반2세는 서방에 십자군 원정에 협력하기를 요청했지만 그는 의견을 달리했다. 그는 동방원정이라는 어려운 사업을 통해 유럽에서 교황권을 더욱 확고히 하고 나아가서 비잔틴세계의 그리스 정교회를 로마교회 산하로 통일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 십자군 원정으로 확보된 영토에 라틴 제국을 건설하고 그곳의 교회도 동방교회의 소속이 아닌 유럽의 라틴교회영향권에 있었다. 당시의 정치권은 종교계의 흐름과 맞물려있기 때문에 종교적인 원인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고 서로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이어서 종교적 원인을 살펴보겠다.
3. 종교적 원인
4세기 초 콘스탄틴 시대 이후에는 성지순례가 성행하여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태어나신 베들레헴과 십자가에 달리신 곳, 골고다 언덕이나 예수님을 안장했던 무덤과 같은 성지나 성물들을 직접 보고 싶어 했는데, 11세기 초 셀주크 투르크인 들이 예루살렘을 점령하면서 이들의 기대는 이루어질 수 없었다. 셀주크 투르크인들은 기독교인들을 감옥에 가두거나 죽이기까지 했으며 심지어 교회의 감독들을 투옥시키기도 했다. 이러한 동방기독교인들에게 재난을 입히고 순례를 훼방하며 성지를 모독하는 일들이 유럽에 알려지게 되었다. 제 1차 십자군 원정을 위해 1095년 우르반 2세는 클레르몽(Clermont)회의를 소집하였다. 이 회의에서 하나님의 휴전과 하나님의 평화가 선포되었다. 평화운동이라는 명목은 이 전쟁이 억압받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십자군 원정은 동방의 기독교형제들을 돕는 것이라는 사상적 명분을 만들어 주었고, 더 나아가 서구유럽에서는 성지 재탈환 운동의 영향으로 기독교 국가를 위한 전쟁이 정당하며 오히려 거룩한 일이기 때문에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것이라는 사상이 만연하게 되었다.
우르반2세는 그는 클루니 수도원의 부원장까지 지냈던 클루니 개혁운동의 중심이었던 사람이었는데 교황권이 강화되어서 십자군 원정을 일으킬 수 있었다. 십자군 원정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또 다른 사람인 은둔자 베드로는 성지순례를 갔다가 꿈에 그리스도가 나타나서 성지를 정화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래서 구라파로 돌아와서 열정적으로 십자군을 일으켜야 한다는 설교를 했다. 그는 남프랑스, 스페인, 로레인, 라인강 지역까지 나귀를 타고 맨발로 다니며 설교를 했다.
우르반2세가 클레르몽공의회에서 설교했던 내용은 남아있지 않지만 그 자리에 있었던 4명의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Fulcher는 “십자군에 참여하는 사람은 십자군에 참여해서 죽으면 즉각적으로 모든 죄가 사하여지고 바로 천국에 갈 수 있다. 귀신을 믿는 천박한 민족이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는 민족을 점령한 것이 얼마나 불명예스러운 일인가. 기독교인들의 자긍심에 호소했다. \"같은 신앙인들끼리 부당하게 싸우는 자들은 불신자들과 싸우고, 봉건영주들은 잦은 싸움을 끝내고 이슬람교도와 싸우는 것이 낫다. 오랫동안 도적질을 했던 사람은 이번 기회에 기사가 되어라. 적은 돈을 보상으로 받고 용병으로 활동하는 자들은 이번 기회에 영원한 보상을 받기 위하여 이 전쟁에 참여하라. 십자군에 직접 참여하는 자들은 땅을 팔아서 경비를 조달하라.\" Robert는 “이슬람교도들은 기독교도들을 붙잡아서 노예로 팔거나, 살해하고, 교회당을 파괴하고, 제단을 헐었다. 그리스도인들을 붙잡아서 화살 과녁으로 삼았다. 잔인한 이슬람교도들의 박해 상을 사람들에게 말해 주었다. \"이 땅에는 인구가 많다. 땅은 넉넉지 않다. 성묘가 있는 곳에 있는 곳에 있는 악한 자들을
추천자료
남북전쟁의 원인에 대하여
[인문과학] 한국전쟁의 원인과 영향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
한국 전쟁발생의 원인
남북전쟁(the Civil War)의 원인, 노예제도
6.25 전쟁의 원인
한국전쟁 발발의 원인에 대한 전통주의적 해석
러일전쟁의 배경과 원인 및 경과 한국에 미친영향
[미국독립전쟁][미국독립혁명][독립전쟁][독립혁명]미국독립전쟁(미국독립혁명)의 의의와 미...
(전쟁사)한국전쟁의원인
북한군 서울 점령 후 3일간의 지체 원인과 전쟁에 미친 영향
[사회과학] [에너지전쟁의 해결방안] 에너지 전쟁의 발발 원인, 문제점, 배경, 에너지 전쟁의...
한국전쟁 ( 6.25 전쟁 ) 원인, 배경, 과정, 결과, 영향
이라크 (Republic of Iraq) - 국가개황, 사회문화, 정치. 인물, 이라크전쟁 원인과 결과.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