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월경 장애
1. 무월경이 나타나는 질환
2. 월경과다가 나타나는 질환
3. 자궁출혈이 나타나는 질환
4. 월경 곤란증이 나타나는 질환
5. 이상자궁출혈(AUB)
1. 무월경이 나타나는 질환
2. 월경과다가 나타나는 질환
3. 자궁출혈이 나타나는 질환
4. 월경 곤란증이 나타나는 질환
5. 이상자궁출혈(AUB)
본문내용
출혈은 이물질이므로 염증화됨으로 반응하여 섬유증(fibrosis)으로 발달된다.
자궁외 조직의 성장과 출혈이 매 주기 반복됨으로 더 많은 출혈은 더 많은 섬유증을 만든 다. 이는 인접기관에 유착을 일으켜서 그 결과로 주위기관들이 조직상처를 갖거나 찌그러지 는 봉쇄현상을 보인다. 가끔 이런 장기적 진행은 증상도 없고 진단도 되지 않다가 결국엔 갱년기 동안에 사라진다. 그러나 증상이 없는 부인은 의료적 관리와 중재가 필요하다.
- 증상 -
다양하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가끔은 자궁내막증이 있는 반대쪽에 서 심한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차적 월경곤란증, 성교곤란증, 비정상적인 자궁출혈, 손상 된 수정능력 등이 그 증상이다.
자궁내막증의 첫번째 증상은 이차적 월경곤란증이거나 그와 관련된 경련이다. 여성들은 이 것을 하복통, 요통, 월경직후나 직전의 배변통 또는 다리로 뻗치는 동통으로 말한다. 경련은 진행적이며 매달 동통이 더 심해져 결국엔 지속되는 동통으로 될 수 있다. 골반 무게감도 생긴다.
둘째 증상은 성교곤란증 또는 성교통이다. 이 동통은 성교 후 몇 시간동안 계속되기도 한다. 질과 인대 주위에 유착을 가진 자궁내막증은 성교동안에 그들의 유연성을 감소시키기 때문 이다. 드물기는 하지만 월경과다, 월경 전 점적 등의 비정상적인 출혈형태도 나타난다. 과도 한 월경량은 난소의 호르몬생산을 방해하는 난소유착의 결과이다.
손상된 수정능력은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주위에 착상될 때 일어나는 경과로서 이탈된 자궁 내막 조직들이 자궁후굴을 만들며 그 조직에서 출혈이 끝날 때 주위조직과 유착을 발생시킨 다. 난관주의 유착은 난관의 가동성을 감소시키고 난관근육의 자연적 움직임과 자궁으로의 난자이동을 방해한다. 난관에는 난관채 끝에서 난자유입을 방해하는 폐쇄가 있을 수 있다. 대략 자궁내막증을 가진 여성의 30~40%는 불임이고 이런 증례는 전체 여성의 12%이다.
◆ 자궁내막 폴립(Endometrial polyp)
- 근종, 암, 육종 및 태반의 잔재조직으로 구성
- 하나 또는 여러개일 수있고, 크기도 다양함
- 폴립이 오래되어 경부쪽으로 자라고, 질 입구까지 자라 질밖으로 돌출되는 경우도 있음
- 다른원인으로 소파술을 할때 부분적으로 제거되고 또 증상벗이 현미경적 소견에 의해
진단되므로 정확히 알기가 어려움
- 30~59세 사이에 주로 발견, 50세 이후 더 많이 발견됨.
1)현미경적 구조
- 크기 : 0.3~12cm정도. 자궁저부와 자궁강에 잘 생김.
- 자구내막과 같을 형태이며 자궁내막 조직은 간호 일반적인 자궁점막과 동일한 기능성
주기변화를 나타냄.
- 미성숙하며 불완전한 형태의 자궁내막(기저층의 형태)
- 프로제스테론의 영향을 받지않아 월경주기내내 증식양상을 나타내며 스위스 치즈형의
증식상태를 나타내기도 함
2)증상
- 커지거나 2차적인 퇴행성 변화나 궤양성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면 증상은 나타나지 않음.
- 2차적인 궤양변화로 인한 증상 : 출혈
-> 자궁출혈은 중등도의 출혈을 나타내거나 다량의 출혈이 있다.
-> 큰 폴립의 혈액차단으로 괴사되어 출혈뿐 아니라 불쾌한 분비물을 배출하기도 함.
3)악성 전향 가능성
- 월경가능한 연령동안에는 거의 없다.
- 폐경기나 폐경후에 악성암과 영향
->폐경후의 부인중 폴립을가진 1,100명중 10~15%가 악성암과 관련(존홉킨스병원)
◆ 월경 전(긴장) 증후군 (Premenstrual syndrome, PMS)
명확한 정의는 아직 없지만 대체로 월경과 관련된 정서장애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신체적, 정서적 또는 행동적으로 복합된 증후군이 월경 전 약 2~10일에 나타났다가 월경 시작 직전이나 월경 직후에 소실되는 증후군.
1) 원인설
◈ 체액적류설 ◈ 내재성 엔돌핀설 ◈ 영양소 결핍설
◈ 신체적 측면 : 신체적 측면으로는 월경주기와 월경기간이 길거나 불규칙하고 월경량이 많고 피임법으로 자궁내 장치를 했을 경우 (Wood, Most & Dery, 1982)
◈ 심리적 측면 : 월경전기에 불안한 사람은 다른 시기에도 불안정한 경향이 있는데 이는 본래부터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거나 우울증 성향이 있는 여성들은 그 증 상이 월경전후기에 좀 더 악화되는 것으로 보임. (Moos. 1967)
◈ 사회적 측면
① 성역할 규범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로 수용하는 여성들 > 능동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현대여성
② 사회적 지지의 적절성
직업이나 가족과 관련된 문제 등으로 스트레스를 주는 환경은 월경에 대해 부정적 태도 를 유발시켜 악화시킨다.
2) 증상
① 신체적인 증상 - 고장증(bloating), 유방의 팽만감과 통증, 골반통, 체중의 증가나 배변 장애 등
② 정서적인 증상 - 집중력 장애, 정서적 불안정, 불안, 우울증, 기면(lethargy), 식욕의 변 화, 성욕감퇴 등. 심하면 공격적, 파괴적 충동, 자살의 기도 등
< 난소종양과 관련된 그림 >
난소낭종
난소종양으로 인하여
부풀어오른 배
5. 이상자궁출혈(AUB)
-원인-
위의 그림은 배란이일어나는 정상 월경주기이다.
FSH, LH 비정상적인 작용으로 인하여 난포호르몬이나 황체호르몬의 불규칙적으로
작용시 AUB(Abdominal utrine bleeding) 이 일어난다.
-증상-
약간 피곤한 정도부터 철결핍성빈혈, 의식변회, 대량출혈로 인한 실신까지 다양하다.
-약물 치료-
AUB의 Tx는 bleeding의 정도와 원인에 따라 다르다.
AUB의 주기와 심한정도를 파악한후 치료한다.
초경전후로 경험하는 여성들에게는 철분제제를 섭취하도록 하고 안심시켜주는 것이 치료이다.
*NSAID계 약물: Ibuprofen이나 naproxen들은 월경양 감소에 도움을 준다.
*복합경구 피임제 : Estrogen은 혈약응고와 내막의 증식을 촉진
Progestin은 내막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Fe( 철분제제) : 모든환자에게 적용
*엽산 : 심한 출혈이 있는 환자
※ 참고문헌 ※
최연순(1994). 제3판 모성간호학(Ⅱ). 수문사
최연순(1999). 제4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간간호학Ⅱ. 수문사
대한산부인과 학회 학술대회 교육강연(2009). 청소년 이상출혈. 진기획
자궁외 조직의 성장과 출혈이 매 주기 반복됨으로 더 많은 출혈은 더 많은 섬유증을 만든 다. 이는 인접기관에 유착을 일으켜서 그 결과로 주위기관들이 조직상처를 갖거나 찌그러지 는 봉쇄현상을 보인다. 가끔 이런 장기적 진행은 증상도 없고 진단도 되지 않다가 결국엔 갱년기 동안에 사라진다. 그러나 증상이 없는 부인은 의료적 관리와 중재가 필요하다.
- 증상 -
다양하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가끔은 자궁내막증이 있는 반대쪽에 서 심한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차적 월경곤란증, 성교곤란증, 비정상적인 자궁출혈, 손상 된 수정능력 등이 그 증상이다.
자궁내막증의 첫번째 증상은 이차적 월경곤란증이거나 그와 관련된 경련이다. 여성들은 이 것을 하복통, 요통, 월경직후나 직전의 배변통 또는 다리로 뻗치는 동통으로 말한다. 경련은 진행적이며 매달 동통이 더 심해져 결국엔 지속되는 동통으로 될 수 있다. 골반 무게감도 생긴다.
둘째 증상은 성교곤란증 또는 성교통이다. 이 동통은 성교 후 몇 시간동안 계속되기도 한다. 질과 인대 주위에 유착을 가진 자궁내막증은 성교동안에 그들의 유연성을 감소시키기 때문 이다. 드물기는 하지만 월경과다, 월경 전 점적 등의 비정상적인 출혈형태도 나타난다. 과도 한 월경량은 난소의 호르몬생산을 방해하는 난소유착의 결과이다.
손상된 수정능력은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주위에 착상될 때 일어나는 경과로서 이탈된 자궁 내막 조직들이 자궁후굴을 만들며 그 조직에서 출혈이 끝날 때 주위조직과 유착을 발생시킨 다. 난관주의 유착은 난관의 가동성을 감소시키고 난관근육의 자연적 움직임과 자궁으로의 난자이동을 방해한다. 난관에는 난관채 끝에서 난자유입을 방해하는 폐쇄가 있을 수 있다. 대략 자궁내막증을 가진 여성의 30~40%는 불임이고 이런 증례는 전체 여성의 12%이다.
◆ 자궁내막 폴립(Endometrial polyp)
- 근종, 암, 육종 및 태반의 잔재조직으로 구성
- 하나 또는 여러개일 수있고, 크기도 다양함
- 폴립이 오래되어 경부쪽으로 자라고, 질 입구까지 자라 질밖으로 돌출되는 경우도 있음
- 다른원인으로 소파술을 할때 부분적으로 제거되고 또 증상벗이 현미경적 소견에 의해
진단되므로 정확히 알기가 어려움
- 30~59세 사이에 주로 발견, 50세 이후 더 많이 발견됨.
1)현미경적 구조
- 크기 : 0.3~12cm정도. 자궁저부와 자궁강에 잘 생김.
- 자구내막과 같을 형태이며 자궁내막 조직은 간호 일반적인 자궁점막과 동일한 기능성
주기변화를 나타냄.
- 미성숙하며 불완전한 형태의 자궁내막(기저층의 형태)
- 프로제스테론의 영향을 받지않아 월경주기내내 증식양상을 나타내며 스위스 치즈형의
증식상태를 나타내기도 함
2)증상
- 커지거나 2차적인 퇴행성 변화나 궤양성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면 증상은 나타나지 않음.
- 2차적인 궤양변화로 인한 증상 : 출혈
-> 자궁출혈은 중등도의 출혈을 나타내거나 다량의 출혈이 있다.
-> 큰 폴립의 혈액차단으로 괴사되어 출혈뿐 아니라 불쾌한 분비물을 배출하기도 함.
3)악성 전향 가능성
- 월경가능한 연령동안에는 거의 없다.
- 폐경기나 폐경후에 악성암과 영향
->폐경후의 부인중 폴립을가진 1,100명중 10~15%가 악성암과 관련(존홉킨스병원)
◆ 월경 전(긴장) 증후군 (Premenstrual syndrome, PMS)
명확한 정의는 아직 없지만 대체로 월경과 관련된 정서장애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신체적, 정서적 또는 행동적으로 복합된 증후군이 월경 전 약 2~10일에 나타났다가 월경 시작 직전이나 월경 직후에 소실되는 증후군.
1) 원인설
◈ 체액적류설 ◈ 내재성 엔돌핀설 ◈ 영양소 결핍설
◈ 신체적 측면 : 신체적 측면으로는 월경주기와 월경기간이 길거나 불규칙하고 월경량이 많고 피임법으로 자궁내 장치를 했을 경우 (Wood, Most & Dery, 1982)
◈ 심리적 측면 : 월경전기에 불안한 사람은 다른 시기에도 불안정한 경향이 있는데 이는 본래부터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거나 우울증 성향이 있는 여성들은 그 증 상이 월경전후기에 좀 더 악화되는 것으로 보임. (Moos. 1967)
◈ 사회적 측면
① 성역할 규범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로 수용하는 여성들 > 능동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현대여성
② 사회적 지지의 적절성
직업이나 가족과 관련된 문제 등으로 스트레스를 주는 환경은 월경에 대해 부정적 태도 를 유발시켜 악화시킨다.
2) 증상
① 신체적인 증상 - 고장증(bloating), 유방의 팽만감과 통증, 골반통, 체중의 증가나 배변 장애 등
② 정서적인 증상 - 집중력 장애, 정서적 불안정, 불안, 우울증, 기면(lethargy), 식욕의 변 화, 성욕감퇴 등. 심하면 공격적, 파괴적 충동, 자살의 기도 등
< 난소종양과 관련된 그림 >
난소낭종
난소종양으로 인하여
부풀어오른 배
5. 이상자궁출혈(AUB)
-원인-
위의 그림은 배란이일어나는 정상 월경주기이다.
FSH, LH 비정상적인 작용으로 인하여 난포호르몬이나 황체호르몬의 불규칙적으로
작용시 AUB(Abdominal utrine bleeding) 이 일어난다.
-증상-
약간 피곤한 정도부터 철결핍성빈혈, 의식변회, 대량출혈로 인한 실신까지 다양하다.
-약물 치료-
AUB의 Tx는 bleeding의 정도와 원인에 따라 다르다.
AUB의 주기와 심한정도를 파악한후 치료한다.
초경전후로 경험하는 여성들에게는 철분제제를 섭취하도록 하고 안심시켜주는 것이 치료이다.
*NSAID계 약물: Ibuprofen이나 naproxen들은 월경양 감소에 도움을 준다.
*복합경구 피임제 : Estrogen은 혈약응고와 내막의 증식을 촉진
Progestin은 내막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Fe( 철분제제) : 모든환자에게 적용
*엽산 : 심한 출혈이 있는 환자
※ 참고문헌 ※
최연순(1994). 제3판 모성간호학(Ⅱ). 수문사
최연순(1999). 제4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간간호학Ⅱ. 수문사
대한산부인과 학회 학술대회 교육강연(2009). 청소년 이상출혈.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