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감염의 과정
2. 감염회로
1) 병원체
2) 저장소
3)출구
4) 전파방식
5) 침입구
6) 민감한 숙주
2. 감염회로
1) 병원체
2) 저장소
3)출구
4) 전파방식
5) 침입구
6) 민감한 숙주
본문내용
시킬 요소들은 너무 많기 때문에 모든 전강관리자들은 감염통제 실무를 세심하게 행해야한다. 예를들면, 적절한 손씻기 혹은 장비가 적절하게 소독되고 멸균되었음을 확인하는 일 등이다.
5) 침입구
미생물은 탈출할 때와 같은 통로를 통해 체내로 들어올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염된 바늘이 대상자의 피부를 찌를 때 미생물은 체내로 들어간다. 도뇨관에 의해 소변의 흐름이 막히면 미생물이 요도를 따라 올라간다. 개방침상에 감는 무균 붕대를 잘못 다루는 것은 병원체를 노출된 조직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다. 신체 방어기전을 감소시키는 요소들은 병원체가 들어갈 기회를 증가시킨다.
6) 민감한 숙주
개인의 감염여부는 감염성 인자에 대한 감수성에 따르며, 감수성은 병원체에 대한 개개인의 저항 정도에 따라 다르다. 누구나 지속적으로 다수의 미생물과 접촉하기는 하지만 그 사람이 미생물의 수와 강도에 감수성이 있을 때까지 감염은 발생하지 않는다. 미생물의 독성이 강할수록 개인의 감수성은 더 커진다. 병원 환경에서 더 독성이 강한 미생물이 출현하고 있는데 이는 3세대 세파로스포린계 항생제의 잦은 사용과 그에 따른 항생제에 대한 내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감염에 대한 개인의 타고난 방어기전도 저항력에 영향을 미친다. 감염성 인자에 대한 저항력은 백신에 의해 혹은 실제로 병에 걸림으로써 강화된다.
※참고문헌
▶기본간호학 신광출판사 강규숙 상 666-678p
▶최신기본간호학 현문사 김명자외 2001년
▶기본간호학 현문사 김명사외 1997년
▶의학 미생물과 감염질환 수문사 김태운 2000년
▶병원미생물학 고려의학 이건섭 2002년
5) 침입구
미생물은 탈출할 때와 같은 통로를 통해 체내로 들어올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염된 바늘이 대상자의 피부를 찌를 때 미생물은 체내로 들어간다. 도뇨관에 의해 소변의 흐름이 막히면 미생물이 요도를 따라 올라간다. 개방침상에 감는 무균 붕대를 잘못 다루는 것은 병원체를 노출된 조직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다. 신체 방어기전을 감소시키는 요소들은 병원체가 들어갈 기회를 증가시킨다.
6) 민감한 숙주
개인의 감염여부는 감염성 인자에 대한 감수성에 따르며, 감수성은 병원체에 대한 개개인의 저항 정도에 따라 다르다. 누구나 지속적으로 다수의 미생물과 접촉하기는 하지만 그 사람이 미생물의 수와 강도에 감수성이 있을 때까지 감염은 발생하지 않는다. 미생물의 독성이 강할수록 개인의 감수성은 더 커진다. 병원 환경에서 더 독성이 강한 미생물이 출현하고 있는데 이는 3세대 세파로스포린계 항생제의 잦은 사용과 그에 따른 항생제에 대한 내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감염에 대한 개인의 타고난 방어기전도 저항력에 영향을 미친다. 감염성 인자에 대한 저항력은 백신에 의해 혹은 실제로 병에 걸림으로써 강화된다.
※참고문헌
▶기본간호학 신광출판사 강규숙 상 666-678p
▶최신기본간호학 현문사 김명자외 2001년
▶기본간호학 현문사 김명사외 1997년
▶의학 미생물과 감염질환 수문사 김태운 2000년
▶병원미생물학 고려의학 이건섭 2002년
추천자료
병리학 (근골격계 질환)
면역과 면역반응
2010년 1학기 식품위생관리 중간시험 핵심체크
[성인간호학] COPD (만성폐쇄성폐질환)
2012년 2학기 식품위생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의학] 면역 - 특이성, 비특이성 면역반응에 관해서
2013년 2학기 식품위생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혈액과 조혈기관장애 대상자 간호
2014년 2학기 식품위생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식품위생학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아동간호 실습 소아당뇨(IDDM)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 Insulin-dependent di...
2015년 2학기 식품위생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간호학] 천식 (병태생리 증상 징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