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itle
2. Introduction
3. Principle & Theory
4. Apparatus & Reagents
5. Procedure
6. Result
7. Discussion & Feeling
2. Introduction
3. Principle & Theory
4. Apparatus & Reagents
5. Procedure
6. Result
7. Discussion & Feeling
본문내용
량과 결정이 생기는 온도의 그래프를 보면 몰질량과 결정이 생기는 온도 사이의 관계는 비례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용해도 곡선 그래프를 분석해보았다.
용해도는 물(증류수) 100g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을 말하며, 물 1L는 1kg의 무게를 갖는다. 그리고 왼쪽의 용해도 곡선 그래프를 보면 질산칼륨의 22에서의 용해도는 약 40이다. 실제 실험에서 우리는 증류수 10g에 4g을 다 녹였다. 이것은 증류수 100g에 40g을 녹였다는 말과 같다. 그래프에 따른 용해도 값인 40과 같았다. 즉, 이 말은 정확히 포화상태임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8g, 12g 일 때도 계산해보았다. 먼저 8g일 때를 계산해보면, 증류수 10g에 용질 8g을 다 녹였으며, 이것은 100g에 80g을 녹였다는 말과 같다. 이때의 온도는 43였다. 위의 용해도 곡선에 따르면 43정도에는 75g정도의 용질이 녹을 수 있다. 하지만 5g 정도가 더 녹았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그 때의 용액상태가 과포화 상태였음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12g을 녹일 때를 계산해보면, 증류수 10g에 용질 12g을 다 녹였으며, 이것은 100g에 120g을 녹였다는 말과 같다. 이때의 온도는 66였다. 위의 용해도 곡선에 따르면 66정도에는 123g정도의 용질이 녹을 수 있다. 하지만 120g만이 녹았으므로 3g 정도를 더 녹일 수 있음 알 수 있다. 이것은 그 때의 용액상태가 불포화 상태였음을 말해준다
# 07 Experiment
결과 리포트
- 질산포타슘의 용해도 -
학과(부)
기계자동차공학부
학번
20092554
조
3조
이름
김경호
그리고 용해도 곡선 그래프를 분석해보았다.
용해도는 물(증류수) 100g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을 말하며, 물 1L는 1kg의 무게를 갖는다. 그리고 왼쪽의 용해도 곡선 그래프를 보면 질산칼륨의 22에서의 용해도는 약 40이다. 실제 실험에서 우리는 증류수 10g에 4g을 다 녹였다. 이것은 증류수 100g에 40g을 녹였다는 말과 같다. 그래프에 따른 용해도 값인 40과 같았다. 즉, 이 말은 정확히 포화상태임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8g, 12g 일 때도 계산해보았다. 먼저 8g일 때를 계산해보면, 증류수 10g에 용질 8g을 다 녹였으며, 이것은 100g에 80g을 녹였다는 말과 같다. 이때의 온도는 43였다. 위의 용해도 곡선에 따르면 43정도에는 75g정도의 용질이 녹을 수 있다. 하지만 5g 정도가 더 녹았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그 때의 용액상태가 과포화 상태였음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12g을 녹일 때를 계산해보면, 증류수 10g에 용질 12g을 다 녹였으며, 이것은 100g에 120g을 녹였다는 말과 같다. 이때의 온도는 66였다. 위의 용해도 곡선에 따르면 66정도에는 123g정도의 용질이 녹을 수 있다. 하지만 120g만이 녹았으므로 3g 정도를 더 녹일 수 있음 알 수 있다. 이것은 그 때의 용액상태가 불포화 상태였음을 말해준다
# 07 Experiment
결과 리포트
- 질산포타슘의 용해도 -
학과(부)
기계자동차공학부
학번
20092554
조
3조
이름
김경호
소개글